종합(머독).jpg

턴불 총리의 사퇴와 모리슨 전 재무장관의 대표직 선출 및 총리 취임으로 일단락된 ‘자유당 내전’과 관련해 케빈 러드(Kevin Rudd) 전 총리가 턴불 축출의 핵심 배후 인물로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총리와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 뉴스 코퍼레이션(News Corp) 회장을 지목하면서 “호주 민주주의를 훼손시키는 인물들”이라고 비난을 쏟아냈다. 사진은 호주, 미국, 영국 등에서 미디어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루퍼트 머독.

 

케빈 러드 전 총리, ‘자유당 내전’ 배후 핵심 인물로 두 보수인사 지목

 

집권 자유당의 내부 분열로 지난 8월24일(금)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가 사퇴하고, 스콧 모리슨(Scote Morrison) 재무장관이 집권 여당 대표로 새 총리 자리를 차지한 가운데 케빈 러드(Kevin Rudd) 전 총리(노동당)가 턴불을 밀어낸 ‘자유당 내전’의 배후 인물로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총리와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 뉴스 코퍼레이션(News Corp) 회장을 지목하면서 비난을 쏟아냈다.

금주 월요일(27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러드 전 총리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에 직접 의견서를 전달해 “호주 민주주의를 훼손시키고 정치폭력 소동을 일으키고 있다”며 이들을 비난했다.

이번 자유당 당권 경쟁은 지난 8월21일(화), 턴불 총리와 피터 더튼(Peter Dutton) 내무장관의 1차 대결(48대35로 턴불이 앞섰음)에 이어 24일(금)다시 자유당 의원 전체 투표가 진행되면서 턴불이 사퇴한 가운데 최종적으로 스콧 모리슨 전 재무장관과 더튼의 대결로 압축, 모리슨이 45대40으로 더튼을 꺾고 새 대표로 선출됐다.

러드 전 총리는 “호주 정치가 여론조사에 대한 집착과 어린 정치인들 주도의 ‘젊은 노동당/젊은 자유당’ 문화에 중독됐다”고 표현했다.

2007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노동당 대표로 26대 총리를 역임했던 러드 전 총리는 같은 당 줄리안 길라드(Juliia Gillard) 의원의 도전으로 당 대표 자리를 빼앗겼다가 2013년 6월 다시 총리직을 ‘재탈환’했다. 그러나 그 해 9월 총선에서 자유당에 패했으며 얼마 뒤 정계에서 사퇴했다.

러드 전 총리는 의견서에서 “호주 정치를 망치는 가장 큰 요인은 호주 민주주의의 최대 암(cancer)적 존재로 불리는 토니 애보트 전 총리와 머독 회장에 대한 부정, 중독성, 혐오”라고 주장했다.

러드 전 총리의 집권 시기는 여야 간에 전례 없는 정치적 유혈사태가 있던 시기로, 25대 총리직을 역임했던 존 하워드(John Howard. 1996-2007) 전 총리 이후 지난 10년 간 호주에는 7차례나 총리가 교체됐다. 이에 따라 이번 자유당 내 턴불 총리 축출 사건은 호주 정치계에서 보수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러드 전 총리는 의견서에서 “애보트 전 총리는 오로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정치계에서 이기겠다는 생각 뿐, 정책에는 신경을 쓴 적이 없다”며 “그의 주도로 실행된 긍정적인 정책은 하나도 없다”고 비판했다.

러드 전 총리는 집권 당시 뉴스 코퍼레이션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뉴스 코퍼레이션에서 발행하는 전국 일간지 ‘디 오스트레일리안’(The Australian) 전 편집국장 크리스 키첼(Chris Mitchell) 아들의 대부(godfather) 급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번에 그가 페어팩스 미디어에 전달한 의견서에는 뉴스 코퍼레이션에 대한 신랄한 비난이 포함되어 있다.

러드 전 총리는 “머독은 언론사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자신의 극우 이념적 견해를 드러내는 하나의 정치적 당을 운영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머독은 호주 출신이며 영국 일간지 ‘더 선’(The Sun)과 미국의 24시간 뉴스 전문 채널 ‘폭스뉴스’(Fox News) 등을 소유한 미국 언론재벌로,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EU 탈퇴)를 뒤에서 주도한 인물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했다. 그가 ‘더 선’을 통해 브렉시트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힌 탓이다. 미국에서 폭스 뉴스는 2009년 공화당(The Republican Party) 주도로 시작된 극우 민족주의 운동 ‘티파티’(Tea Party)를 홍보하고, 트럼프(Donald Trump)의 승리를 도운 일등공신 언론사로 여겨지고 있다.

호주에서는 수십 년간 부유층의 세금인하 정책 지지, 기후변화 대응 탄소배출 규제 내용을 담은 ‘파리기후협약’(Paris Agreement)에 따른 정책 반대 및 다문화주의 정책을 반대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턴불 전 총리 지지측은 이번 ‘자유당 내전’을 놓고 뉴스 코퍼레이션과 동 기업이 소유한 영국기반 뉴스전문 채널인 스카이 뉴스(Sky News)의 적극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이 외에도 채널나인(Channel 9) 방송인 레이 하들리(Ray Hadley)와 페어팩스 미디어가 소유한 라디오 방송국 2GB.com의 진행자 앨런 존스(Alan Jones) 등 호주의 유명 방송인들도 턴불 총리의 사퇴를 지지한 인물들로 꼽히고 있다.

채널 나인의 크리스 울만(Chris Uhlmann) 수석 정치부 특파원은 “존스, 하들리, 애보트 전 총리의 수석 보좌관이었던 페타 크레들린(Peta Credlin) 등 ‘Sky after dark’ 프로그램의 진행자들이 턴불 전 총리의 사퇴를 이끈 주요 인물들”이라고 지목하기도 했다.

페어팩스 미디어에 따르면 턴불 총리와 가까운 원로 자유당 의원들은 크레들린 및 존스와 함께 전 자유당 의원이었던 로스 캐머론(Ross Cameron)과 스카이 뉴스 진행자들이 몇몇 자유당 의원들에게 연락해 턴불 총리를 비난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크레들린은 “정치와는 상관없이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는 것일 뿐”이라며 이번 사건에 연루되지 않았다고 반박했으며, 존스에 대한 질문에도 답변을 피했다.

턴불 총리는 사퇴를 결정하기 전 기자회견을 통해 “당내 소수집단이 자신들의 지도력 강화를 위해 의회 밖의 힘을 이용, 다른 의원들을 왕따시키고 또 위협하고 있다”며 자신의 총리직 사퇴에 압력을 가하는 외부적 힘이 존재하고 있음을 드러낸 바 있다.

턴불 전 총리와 가까운 몇몇 측근들은 당시 그의 발언을 두고 2GB 진행자들과 뉴스 코퍼레이션을 겨냥한 것이라고 확신했다.

자유당의 원로 의원들은 페어팩스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뉴스 코퍼레이션은 턴불 전 총리가 집권한 이래로 그의 리더십에 관한 편파적 보도를 지속해왔다”며 특히 루퍼트 머독이 자신의 첫째 아들 라클란 머독(Lachlan Murdoch)과 함께 호주를 방문했을 때가 특히 심해 머독의 지시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뉴스 코퍼레이션 관계자들은 “머독은 뉴스의 방향에 대해 지시하는 사람이 아니다”며 이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였지만, 일부는 “머독이 호주를 방문하면 통례적으로 뉴스 코퍼레이션의 정치 파트가 영향을 받게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페어팩스 미디어에 따르면, 정치 일각에서 그리고 뉴스 코퍼레이션 관계자들은 뉴스 코퍼레이션의 공동회장인 라클란 머독이 턴불 전 총리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부친(루퍼트)보다 훨씬 더 보수적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또한 라클란이 크레들린과 애보트 전 총리 모두와 상당히 가까운 사이로 알려져 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루퍼트 머독은 자신이 소유한 미디어를 통해 정치계에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보해왔다. 영국에서 그의 타블로이드 신문은 과거 노동당의 지지를 받아왔으나, 최근에는 보수당의 지지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 머독은 예비선거 당시 트럼프에 반대했다가 그가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되자 적극적인 후원자로 발 빠르게 갈아타 현재는 트럼프의 열렬한 지지자 역할을 하고 있다.

트럼프는 자신의 트위터에 폭스 뉴스 프로그램의 아침 및 저녁 방송 진행자들에 대한 견해를 언급, 폭스뉴스의 팬임을 드러내기도 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머독).jpg (File Size:49.6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01 호주 ASEAN-호주, 대북 압박 기조 유지 톱뉴스 18.03.23.
4000 호주 “몸도 마음도 편치 않은” 아웅산 수치 기자회견•공개연설 회피 논란 톱뉴스 18.03.23.
3999 호주 다양성 속 화합의 장, 하모니데이 기념만찬 현장! 톱뉴스 18.03.23.
3998 호주 [#호주 스타 해시태그 컷] 정은지 화보같은 일상 톱뉴스 18.03.23.
3997 뉴질랜드 지난해 NZ장기 불법체류자 추방에 17억 달러 사용 NZ코리아포.. 18.03.26.
3996 뉴질랜드 눈 먼 알파카 돕기 위해 주민들 도움 요청 중인 경찰 NZ코리아포.. 18.03.27.
3995 뉴질랜드 초대형 고래들 무리지어 나타난 카이코우라 앞바다 NZ코리아포.. 18.03.27.
3994 뉴질랜드 눈표범 도입, 서던 알프스에 풀어놓자는 청원 논란 NZ코리아포.. 18.03.27.
3993 뉴질랜드 제초제 ‘라운드업’ “논란 불구하고 계속 사용” NZ코리아포.. 18.03.27.
3992 뉴질랜드 불법체류자 단속 손 놓다시피 한 이민부, 지난 5년 동안 추방비용 746만달러 NZ코리아포.. 18.03.27.
3991 뉴질랜드 오클랜드 “온라인 단기숙소 사업자의 재산세 올린다” NZ코리아포.. 18.03.27.
3990 뉴질랜드 10년 만에 돌아온 한 가족의 보물상자 NZ코리아포.. 18.03.27.
3989 뉴질랜드 착륙 위해 하강하던 여객기에 5m 이내로 접근했던 드론 NZ코리아포.. 18.03.27.
3988 뉴질랜드 지난 10년 동안 출산 휴가 사용 아버지 수 큰 변동없어 NZ코리아포.. 18.03.27.
3987 뉴질랜드 아메리카 컵 베이스 위치 선정, 최종 합의 이뤄져 NZ코리아포.. 18.03.27.
3986 뉴질랜드 등교 중 숨진 고교생 “큰 충격 속 지인들, 가족에게 깊은 조의 전해” NZ코리아포.. 18.03.29.
3985 뉴질랜드 카이코우라 주변 국도 1호선 “지진 후 처음, 24시간 운행 재개된다” NZ코리아포.. 18.03.29.
3984 뉴질랜드 에어 뉴질랜드 미국 시카고행 직항, 11월 30일부터... NZ코리아포.. 18.03.29.
398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이스터 연휴’ 한 주 앞두고 매물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82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매물이 가장 많은 시즌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81 호주 시드니의 라이브 음악 명소 ‘The Basement’, 영업 종료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80 호주 싱가포르 ‘창이공항’, 6년 연속 ‘최고 공항’에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9 호주 호주 주요 복지 단체들, “법인세 인하 막아달라”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8 호주 당뇨-암-관절염-천식 등 의약품, 정부 보조에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7 호주 “미래 호주 생활수준, 낙관 어렵다”... 경제전문가들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6 호주 NSW 집권 여당과 야당, 내년도 주 선거전 돌입?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5 호주 Uluru; 20 things that will surprise first-time visitors(1)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4 호주 콴타스 QF9, 퍼스-런던 히드로 구간 첫 직항 운항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3 호주 노동당 지지 계층 견고, 자유-국민 연립 여당, ‘긴장’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2 호주 쿠링가이, 사회경제적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1 호주 주택 구매자-임대자들이 선호하는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3970 호주 [발행인 엽서] 미국 플로리다…TAS 포트 아서…시드니 스트라스필드 톱뉴스 18.04.01.
3969 호주 호주 “러시아 월드컵 보이콧 할 수 있다” 경고 톱뉴스 18.04.01.
3968 호주 연방정부, 글로벌인재비자’(Global Talent Scheme) 시험가동 톱뉴스 18.04.01.
3967 호주 “시민권 취득 요건 강화법안을 지지하십니까?” 톱뉴스 18.04.01.
3966 뉴질랜드 뉴질랜드 신차 시장 수요 늘어, 태국이 두번째 NZ코리아포.. 18.04.03.
3965 뉴질랜드 오클랜드 렌트비는 계속 상승, 집주인은 수리 등 유지 작업에 인색 NZ코리아포.. 18.04.03.
3964 뉴질랜드 작은 상처 무시했다가 병마와 호되게 싸웠던 청소년 사이클 국가대표 NZ코리아포.. 18.04.03.
3963 뉴질랜드 벌집 태우려다 집까지 홀랑 태울 뻔한 남성 NZ코리아포.. 18.04.03.
3962 뉴질랜드 여유분 음식물 80%까지 할인 판매하는 앱, 오클랜드 소개 예정 NZ코리아포.. 18.04.03.
3961 뉴질랜드 가상 화폐 투자자들도 소득세 내야... NZ코리아포.. 18.04.04.
3960 뉴질랜드 “ ‘제21회 영연방 경기대회’ 호주 골드 코스트에서 오늘부터 시작” NZ코리아포.. 18.04.04.
3959 뉴질랜드 오클랜드 강들이 가장 오염, 넬슨 강은 가장 깨끗 NZ코리아포.. 18.04.04.
3958 뉴질랜드 정부 보호에 맡겨진 아이들 수, 6천 명 넘어서 NZ코리아포.. 18.04.04.
3957 뉴질랜드 전기차 소유자 60%, 친환경적 면에서 만족 NZ코리아포.. 18.04.05.
3956 뉴질랜드 국내 이민 업체, 불법 행위 적발돼 NZ코리아포.. 18.04.05.
3955 뉴질랜드 향후 3년 간 전국적인 연료 세금 인상에 불만의 목소리 NZ코리아포.. 18.04.05.
3954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역별 아파트 매매 소요 기간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395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19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3952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화제- ‘슈퍼리치’들의 저택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