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총리 재임).jpg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전 재무장관이 자유당 새 대표로 선출, 집권 여당 당수로 총리에 취임하면서 정계의 리더십 부재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2007년 케빈 러드(Kevin Rudd. 노동당) 이후 현재까지 불과 10여년 사이 총리는 6차례나 교체됐다. 사진은 제12대 총리로 최장 기간 재임(5,882일) 기록을 갖고 있는 로버트 멘지스 경(Sir Robert Menzies. 자유당).

 

케빈 러드(노동당) 이후 모리슨(자유당)까지, 역대 평균 재임보다 짧아

 

리더십 불안은 현대 호주 정치에서 하나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일까?

지난 8월 말, 수면 위로 부상된 ‘자유당 내전’이 1, 2차 당권 투표 끝에 스콧 모리슨을 수장으로 선출하면서 막을 내렸다. 하지만 지난 1996년부터 2007년 연방 총선까지 자유-국민 연립 집권 여당을 이끌었던 존 하워드(John Howard) 총리에 이어 노동당(Kevin Rudd 총리)이 정권을 잡은 이래, 지난 11년 사이 호주 총리는 무려 여섯 차례나 바뀌었다.

연방 총선에서 승리해 총리 자리에 오른 이들도 있지만 절반 이상은 각 당 대표의 집권에 도전해 총리로 등극한 경우였다.

2007년 총선에서 12년간 이어진 자유-국민 연립 정부를 무너뜨리고 노동당 승리를 이끈 케빈 러드(Kevin Rudd)는 첫 임기를 마치기 얼마 전인 2010년, 자신이 발탁한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부총리의 당권 도전에서 패하며 총리 자리를 내주었다. 이후 길라드는 2010년 총선에서 승리, 임기를 이어갔으나 2013년 6월 러드의 대표직 도전에서 패해 자리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러드 총리는 재취임한 3개월 후 치러진 총선에서 패해 자유-국민 연립에 정권을 내주어야 했다. 2013년 9월, 총선 승리로 28대 총리 자리에 오른 토니 애보트(Tony Abbott) 또한 2년 남짓 재임한 가운데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의 당권 도전에서 밀려났다.

2013년 총선 직전, 야당이었던 자유당 대표 경선에서 애보트와 맞붙은 턴불은 1표 차이로 대표 자리를 꿰차지 못했으나 2년여 후 2015년 9월14일 밤, 애보트의 지지도 하락을 틈탄 복수전(?)에서 당내 의원 54명의 지지를 받아 44표에 그친 애보트를 물리치고 새 대표 및 29대 총리로 취임했다.

집권 이후 턴불 총리는 잠시 탄탄한 지지도를 이어갔으나 곧이어 하락세로 돌아서 2016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공세를 간신히 막아냈으며, 2기 임기 이후에는 이렇다 할 정책을 내놓지 못한 채 속절없이 무너지는 자유당의 지지기반을 바라보아야 했다.

이런 가운데 자유당 내에서 턴불 총리의 리더십 문제가 거론됐고 그 중심은 애보트 전 총리, 그와 함께 보수 강경 인사로 구분되는 피터 더튼(Peter Dutton) 내부무 장관이었다. 사실 이번 당권 경쟁의 배경에는 토니 애보트 전 총리를 비롯한 당내 보수 진영이 자리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이들은 호주 보수 미디어를 등에 업고 있었다.

이 와중에서 턴불은 1차 당권 투표에서 45대38로 더튼의 도전을 막아냈지만 더튼은 이에 굴하지 않고 상황이 허락되면 재도전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당내 분위기를 파악한 턴불은 명예로운 퇴진을 고심하게 됐고, 자신의 지지자인 스콧 모리슨을 내세운 것으로 파악된다. 퇴진을 하되 모리슨을 내세워 더튼을 앞세운 애보트와 대리전을 치른 것이고, 결국은 애보트의 설욕전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다.

 

역대 총리 재임기간 1,181일

2000년대 들어 ‘단명’

 

애보트를 밀어내고 총리 자리에 오른 턴불의 재임 일수는 1,074일이다. 호주의 6개 식민 정부가 하나의 연방으로 탄생된 1901년, 초대 총리 자리에 오른 에드먼드 바턴 경(Sir Edmund Barton. 996일 재임) 이후 역대 총리들의 재임 기간을 기준으로 턴불의 재임 일수를 보면, 중간 재임기간(899일)보다는 길지만 평균 재임기간(1,161일)에는 미치지 못한다. 일부 총리들의 장기 집권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평균 재임기간을 기준으로 특정 인사의 임기를 판단하는 것에 다소 무리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 2007년 케빈 러드 이후 지난 8월24일 말콤 턴불까지 5명(러드의 재집권으로 실질적으로는 4명) 총리의 평균 재임 기간은 783일이다. 이는 분명 중간 재임기간은 물론 평균 재임 일수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최근 호주 정계의 ‘불안한 리더십’이 도마에 오른 것은 바로 이런 배경에서이다.

한편 초대 총리인 바턴 경 이후 가장 장수한 총리는 대부분 보수 진영에서 나왔다. 최장 기간 재임은 12대 총리인 로버트 멘지스 경(Sir Robert Menzies. 자유당, 1949년 12월19일-1966년 1월26일)으로 5,882일에 달하며, 25대 총리인 존 하워드(John Howard. 자유당, 1996년 3월11일-2007년 12월3일)가 4,284일로 두 번째 장수 총리였다. 이외 22대 총리인 말콤 프레이저(Malcolm Fraser. 자유당, 1975년 11월11일-1983년 3월11일) 2,677일, 10대 총리인 조셉 라이온스(Joseph Lyons. 1931년 노동당으로 출발해 그해 United Australia Party 창당, 1932년 1월6일-1939년 4월7일) 2,648일, 8대 총리인 스탠리 브루스(Stanley Bruce. 국민당, 1923년 2월9일-1929년 10월22일) 2,447일, 7대 총리인 빌리 휴즈(Billy Hughes. 노동당-국민당-무소속-호주연합당-자유당, 1915년 10월27일-1923년 2월9일) 2,183일이다.

이와 달리 노동당은 보수 진영에 비해 집권 횟수가 적고 총리 재임 기간도 짧았다. 노동당 수장으로 가장 오랜 기간 총리에 재임한 인물은 23대 밥 호크(Bob Hawke. 1983년 3월11일-1991년 12월20일)로 3,206일 동안 총리 자리에 있었으며 1천 일 이상 장기(?) 재임한 총리는 16대 벤 치플리(Ben Chifley, 1945년 7월13일-1949년 12월19일. 1,620일), 24대 폴 키팅(Paul Keating, 1991년 12월20일-1996년 3월11일. 1,543일), 14대 존 커틴(John Curtin, 1941년 10월7일-1945년 7월5일. 1,367일), 5대 앤드류 피셔(Andrew Fisher, 1972년 12월5일-1975년 11월11일. 1,152일), 27대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2010년 6월24일-2013년 6월27일. 1,099일), 21대 고프 휘틀럼(Gough Whitlam, 1972년 12월5일-1975년 11월11일. 1,071일) 등 6명, 이외에는 1천 일을 넘기지 못했다.

 

■ 역대 호주 총리 재임 일수

-Sir Edmund Barton : 996일

-Alfred Deakin : 216일

-Chris Watson : 113일

-George Reid : 321일

-Alfred Deakin : 1,227일

-Andrew Fisher : 201일

-Alfred Deakin : 331일

-Andrew Fisher : 1,152일

-Joseph Cook : 450일

-Andrew Fisher : 405일

-Billy Hughes : 384일

-Billy Hughes : 95일

-Billy Hughes : 2,183일

-Stanley Bruce : 2,447일

-James Scullin : 806일

-Joseph Lyons : 2,648일

-Sir Earle Page : 19일

-Robert Menzies : 855일

-Arthur Fadden : 40일

-John Curtin : 1,367일

-Frank Forde : 7일

-Ben Chifley : 1,620일

-Sir Robert Menzies : 5,882일

-Harold Holt : 692일

-John McEwen : 22일

-John Gorton : 1,155일

-William McMahon : 636일

-Gough Whitlam : 1,071일

-Malcolm Fraser : 2,677일

-Bob Hawke : 3,206일

-Paul Keating : 1,543일

-John Howard : 4,284일

-Kevin Rudd : 934일

-Julia Gillard : 1,099일

-Kevin Rudd : 83일

-Tony Abbott : 727일

-Malcolm Turnbull : 1,074일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총리 재임).jpg (File Size:42.7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01 뉴질랜드 오클랜드 아파트 건설 붐, 올해 안에 2천 7백 세대 신축 NZ코리아포.. 18.07.17.
3300 뉴질랜드 경찰의 자동차 추적 건수, 지난 8년간 60%이상 증가 NZ코리아포.. 18.07.17.
3299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인도로 가던 20대 나이의 국제선 탑승객, 심장마비로 숨져 NZ코리아포.. 18.07.17.
3298 뉴질랜드 무인 양심가게에서 예쁜 꽃들 훔쳐간 도둑 NZ코리아포.. 18.07.17.
3297 뉴질랜드 CHCH를 무대로 활동했던 미국 NASA의 ‘하늘 천문대’ NZ코리아포.. 18.07.16.
3296 뉴질랜드 키위 아기를 아프게 하는 매독 감염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3295 뉴질랜드 뉴질랜드 병원 직원들-매일 폭력에 노출되는 사건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3294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로 몰려든 전국의 ‘레고(Lego)마니아들’ NZ코리아포.. 18.07.14.
3293 뉴질랜드 온라인으로 구입한 총기, 문 앞에 그냥 두고 가버린 택배회사 NZ코리아포.. 18.07.14.
3292 뉴질랜드 NZ 최저임금 등 인상 향후 5년간 계속... NZ코리아포.. 18.07.13.
3291 뉴질랜드 카드로나 스키장 “국내 최대 규모로 확장한다” NZ코리아포.. 18.07.12.
3290 뉴질랜드 어린이 조기 교육센터, 아동 학대 등 불만신고 339건 NZ코리아포.. 18.07.12.
3289 뉴질랜드 NZ, 비자 면제국 순위 공동 7위, 뉴질랜드 여권 파워 하락 NZ코리아포.. 18.07.12.
3288 뉴질랜드 미-중 간 무역 전쟁, 뉴질랜드와 호주 달러에도 영향 미쳐 NZ코리아포.. 18.07.12.
3287 호주 NSW 주 살인사건 40% 이상, ‘가정폭력’ 연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86 호주 만취 여성고객 2명 도로변에 방치한 한인식당에 벌금 부과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85 호주 노동당 원로 제니 맥클린 의원, 정계은퇴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84 호주 각계 전문가들이 본 ‘피어몬트 브릿지’ 개선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83 호주 흡연... ‘급성백혈병-여성 불임 원인’ 인식은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82 호주 24시간 대중교통 운행, 시드니 밤 문화 되살릴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81 호주 ‘Sydney Metro West’... 소요시간별 일자리 창출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80 호주 M4 상의 Northern Road 교차로, 밤 시간 일시 ‘폐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79 호주 NSW 주 다문화 지역사회 사업 지원금, 17만 달러 책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7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7월 첫주... 대부분 주택, 잠정 가격에 못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77 뉴질랜드 40%이상의 학교에서 설탕 듬뿍 든 음료 판매 중 NZ코리아포.. 18.07.11.
3276 뉴질랜드 뉴질랜드대학생 절반 이상.우울증 스트레스 등 학업 중단 심리 NZ코리아포.. 18.07.11.
3275 뉴질랜드 기내 통화로 벌금 부과받은 교통부 장관 NZ코리아포.. 18.07.10.
3274 뉴질랜드 의료 진단서로 자녀들 등교 안 시키며, 학교 야외 활동만...엄마 유죄 NZ코리아포.. 18.07.10.
3273 뉴질랜드 연어 양식회사의 이사로 나서는 빌 잉글리시 전 총리 NZ코리아포.. 18.07.10.
3272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발견된 시신 “부검 불구 여전히 사인은 ‘미상(unexplained)’” NZ코리아포.. 18.07.10.
3271 뉴질랜드 추격하던 범인에게 물어뜯긴 경찰견 NZ코리아포.. 18.07.10.
3270 뉴질랜드 ‘Steam Veggies’ 상표 달린 수입 냉동식품 리콜 중 NZ코리아포.. 18.07.10.
3269 호주 시드니 웨스트 페난트힐즈 10대 남매 사살 용의자 '아버지' 숨진채 발견 톱뉴스 18.07.09.
3268 호주 호주 무역 수지 5개월 연속 흑자행진…호주 달러화 급등 톱뉴스 18.07.09.
3267 호주 호주 낙농업계, 기술이민 확대 촉구 톱뉴스 18.07.09.
3266 뉴질랜드 수 백 마리 닭 풀어, 무지개 도마뱀도 잡고 달걀도 전달하고... NZ코리아포.. 18.07.06.
3265 뉴질랜드 휴식없는 14시간 근무, 노예처럼...택배 기사의 힘듬 NZ코리아포.. 18.07.06.
3264 뉴질랜드 1달러 항공요금, 사기범들의 조작 NZ코리아포.. 18.07.06.
3263 뉴질랜드 수술 대기중이었던 환자 44명, 이름이 사라져... NZ코리아포.. 18.07.06.
3262 뉴질랜드 과거 고소공포증이었던 사업가, 70미터 번지 점프 건설 계획 NZ코리아포.. 18.07.06.
3261 호주 고령연금, 해외여행 시에도 받을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60 호주 100달러 위조지폐 기승... 의심 위조지폐 신고 및 배상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9 호주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바람직하다?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8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올해 공사 개시... 비행경로는 미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7 호주 호주 최고 권위의 방송대상, Logies awards 2018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6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5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23개월 연속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4 호주 건설현장 사망원인 1위, ‘고공 작업장’ 안전문제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시드니 하버 전망 아파트, 높은 낙찰가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252 뉴질랜드 키위 5명중 3명, 한달에 한 번 이상 온라인 물품 구입 NZ코리아포.. 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