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전철 1).jpg

3년 전 시작된 시드니 경전철 공사는 애최 계획과 달리 공사가 계속 지연, 출퇴근자는 물론 공사구간 스몰 비즈니스들로부터 큰 불만을 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2년, 이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실시한 조사 결과 경전철의 효율성은 크지 않았다는 새 문서가 공개됐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 조지 스트리트 상의 공사 현장.

 

컨설팅 사, “효율성 낮다” 의견... BCR 평가, 억지로 끌어올려

 

지난 2016년 공사가 시작된 시드니 경전철(Sydney CBD light rail)은 계속된 공사 지연으로 시드니 거주민들의 가장 큰 불만을 사고 있다. 특히 주요 공사 구간인 도심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와 서리힐(Surry Hills) 구간의 스몰 비즈니스들이 공사 지연으로 인한 영업 손실을 하소연하는 상황에서, 이들 중 60여 업체는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집단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뿐 아니라 공사를 맡은 스페인 건설회사 ‘악시오나’(Acciona)는 이에 앞서 정부의 잘못된 발주로 1억 달러 넘는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며 이에 대한 배상을 제기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사전 계획 단계에서 이를 점검한 컨설턴트들은 이 프로젝트가 주 정부에 상당한 손실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컨설턴트에 의해 작성된 이 평가 보고서는 당시 운송부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장관(현 주 총리)에게 전달됐다.

페어팩스 미디어와 ABC 방송이 입수한 2012년 시드니 경전철 평가는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을 중심으로 하여 예상할 수 있는 26개 경전철 노선을 가상하여 검토한 것으로, 이들 모두 투자효율(benefit-cost ratios, BCR. 프로젝트 원가와 효과간의 관계를 확정하는 편익비용비) 0.8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분석이었다.

BCR은 어떤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1.0 미만의 BCR은 의사 결정권자에게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없다는 신호로 간주된다. 결국 이처럼 낮은 BCR은 경전철 라인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비용이 NSW 주 납세자의 세금 이상으로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검토 보고서는 경전철의 혜택이 ‘도심 출퇴근자를 위한 약간의 시간 절약’이며, 그나마 ‘예상 소요 시간은 버스와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종합(경전철 2).jpg

NSW 주 정부가 추진하는 12킬로미터 구간의 시드니 도심 경전철 노선.

 

이어 주 정부가 경전철 라인 추진 계획을 본격화한 뒤인 2013년 초, 이에 대한 두 번째 검토에서 BCR은 1.1에서 1.3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이는 자동차 도로의 40%를 폐쇄, ‘보행자에게 돌아가는 혜택’을 1억6천만 달러로 책정함으로써 첫 번째 검토에 비해 경전철의 이점을 억지로 끌어올린 것이며, 또한 여기에 ‘비사용 가치’ 5천만 달러를 추가했다. 이는 유용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개인이 이 시스템을 얼마만큼 가치 있게 여기는지를 보여주는 특이한 척도가 아닐 수 없으며, 이의 건설에 따른 혼란, 건설 구간의 거주민 및 비즈니스들에 끼치는 간접비용은 검토되지 않았다.

결국 이 프로젝트는 반복되는 공사 지연에 법적 소송이 발생해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정부에 상당한 압박감을 주는 상황이 됐다.

주 정부의 계획과 달리 경전철 프로젝트 공사비는 21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여기에다 서쿨라키에서 랜드윅 및 킹스포드(Kingsford)까지 12킬로미터 구간 라인 건설을 맡은 스페인 하도급 건설업체인 ‘악시오나’ 사가 추가 공사비 청구 소송을 제기하면서 주 정부를 더욱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호주 국립대학교(ANU)의 BCR 전문가 레오 도브(Leo Dobes) 교수는 시드니 경전철과 같은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이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가치’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NSW 주 운송부 앤드류 콘스턴스(Andrew Constance) 장관은 버스를 모델링하면 더 안 좋은 상황이었다고 주장했다.

장관은 지난 주 금요일(14일) ABC 시사 프로그램인 ‘7.30’에서 “동일한 평가 보고서는 버스의 경우 경전철과 비교해 도심 혼잡 상황과 도로 효율성을 더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페어팩스 미디어와 ABC 방송이 입수한 경전철 프로젝트 검토 문서에는 전력 케이블, 하수구 등 도로 내 공공시설로 야기되는 공사 과정의 위험은 언급되어 있다. 아울러 스코틀랜드 에딘버러(Edinburgh) 도심에서 추진됐던, 경전철과 유사한 프로젝트에서 나왔던 ‘공사 지연 가능성과 이로 인한 비용 초과’ 문제를 경고하고 있다.

 

종합(경전철 3).jpg

시드니 경전철 구간인 동부 무어파크 역(Moore Park station) 가상도(사진).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NSW 주 정부는 현재 추진 중인 서큘라키(Circular Quay)-랜드윅(Rabdwick) 및 킹스포드(Kingsford) 구간을 비롯해 26개 노선을 놓고 검토했으나 그나마 현 구간이 다소 나은 BCR 평가를 받았다.

 

에딘버러의 도심 교통망 프로젝트는 도심에 놓여 있는 오래된 하수도와 파이프로 인해 공사 진행에 어려움을 겪으며 6년이 소요됐다. 이로 인해 공사비용은 애최 계획된 3억7,500만 파운드에서 7억7,600만 파운드로 두 배 이상 소요됐다.

프로젝트 검토 보고서에서 컨설턴트들은 경전철 공사를 시작할 경우 공공시설 관계자들이 이런 위험을 사전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딘버러 경전철 조사에서 비용의 추가발생 원인에 대한 전문가적 증거를 제시했던 스코틀랜드 엔지니어 존 칼슨(John Carlson)씨는 “시드니의 22억 달러 규모 프로젝트가 에딘버러와 같은 함정에 빠졌다”면서 “이 프로젝트는 애초 계약된 비용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3년여 이어지고 있는 공사가 계속 지연되고 있으며, 매장되어 있던 케이블과 하수관 등의 계산되지 않은 비용으로 주 정부는 법적 소송에 휘말려 있다.

그럼에도 콘스턴트 장관은 이 프로젝트를 지지했다. 장관은 ABC 방송 ‘7.30’ 프로그램에서 “공사가 95% 완료됐고 경전철 시험운행을 했다”고 말했다.

레오 도브 교수는 정치인과 관련 부서 책임자들이 컨설턴트들의 검토 보고서에 담은 위험과 비용을 이해하기 위한 경제 개념을 가져야 하며, 기반시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경우 이의 효율성에 대한 엄격한 비교 연구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만약 효율성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은 경전철에 20억 달러를 지출하는 경우 보건 예산은 축소될 수밖에 없고, 의료 장비 부족으로 얼마나 많은 이들이 고통을 받게 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전철 1).jpg (File Size:98.6KB/Download:21)
  2. 종합(경전철 2).jpg (File Size:72.2KB/Download:18)
  3. 종합(경전철 3).jpg (File Size:71.4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01 호주 NSW 2018-19 예산 계획- 교육 및 보건 분야에 우선 집중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0 호주 NSW 2018-19 예산 계획- Winners &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599 뉴질랜드 북섬 와이히 근처 도로, 거대한 싱크홀 NZ코리아포.. 18.06.21.
3598 뉴질랜드 한국 여권, 2018년 세계 여권 순위 2위 NZ코리아포.. 18.06.21.
3597 뉴질랜드 오클랜드 도로는 공사중; 최대 한주에 240개 프로젝트 NZ코리아포.. 18.06.21.
3596 뉴질랜드 맥주, 59% 키위 식사할 때 선택 NZ코리아포.. 18.06.22.
3595 뉴질랜드 일광 시간 짧아 겨울 우울증 올 수도...가벼운 운동으로 기분 전환 NZ코리아포.. 18.06.22.
3594 뉴질랜드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들, 웰링턴 자유무역협의 참석 NZ코리아포.. 18.06.22.
3593 뉴질랜드 키위 셋 중 둘, 운전에 불안감 느껴 NZ코리아포.. 18.06.23.
3592 뉴질랜드 15년째 실종 미스터리, 타우랑가 로또 맨 존 더프 NZ코리아포.. 18.06.23.
3591 뉴질랜드 젊은 여의사, 직장 내 성희롱 견디고 있어 NZ코리아포.. 18.06.23.
3590 뉴질랜드 금메달리스트에서 노숙자로...두려움에 떠는 한 오클랜드의 여성 NZ코리아포.. 18.06.25.
3589 호주 연방인권위원회, 직장 내 성희롱 실태조사 톱뉴스 18.06.25.
3588 호주 사커루즈도, 태극전사도 울린 ‘VAR’ 톱뉴스 18.06.25.
3587 호주 “주택 임대료보다 비싼 호주의 전기세” 톱뉴스 18.06.25.
3586 호주 주택 태양열판 “더 이상 선택 아닌 필수” 톱뉴스 18.06.25.
3585 뉴질랜드 아남극해 오클랜드섬 “천적 박멸작업 본격 시작” NZ코리아포.. 18.06.25.
3584 뉴질랜드 5월까지 연간 순이민자 6만6200명, 비영주권자 장기거주 출국 늘어나 NZ코리아포.. 18.06.25.
3583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발견된 박쥐 머리 미이라 NZ코리아포.. 18.06.25.
3582 뉴질랜드 이른 겨울에 태어나 관광객들 시선 빼앗는 새끼양들 NZ코리아포.. 18.06.26.
3581 뉴질랜드 남부 오클랜드 안과 환자, 너무 오랜 기다림으로 시력 저하 NZ코리아포.. 18.06.26.
3580 뉴질랜드 오클랜드 '해외 주재원 생계비 조사’ 세계 랭킹 20위, 서울은 5위 NZ코리아포.. 18.06.27.
3579 뉴질랜드 고등학교 졸업 후 일하는 젊은이들 증가 추세 NZ코리아포.. 18.06.27.
3578 뉴질랜드 13년 만에 최악의 교통사고, 7명 사망 NZ코리아포.. 18.06.28.
357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폐허’ 상태의 주택에 예비 구매자들 입찰 각축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76 호주 시드니 신공항과 함께 펜리스 지역, 크게 변모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75 호주 지구촌 화제- World's Ugliest Dog contest 20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74 호주 NSW 정부의 프리스쿨 보조, 실질 수혜자는 17.5% 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73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캔버라-퍼스-브리즈번이 주도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72 호주 전 세계 국가 평판도 조사... 호주, 6위로 두 단계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71 호주 시드니 지역서 100달러 위조지폐 또 유통, 주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70 호주 Pitched battles: ‘월드컵’ 축구 전쟁, 실제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2)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69 호주 NSW 주 정부, “예산은 풍족하나 관리는 부족” 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68 호주 학자금 대출 상환 연소득 45,000달러 이상으로 하향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67 호주 호주 유권자들 표심, 집권여당보다 ‘개인 집중’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66 호주 아침 피크 시간대, ‘교통체증’ 악화-향상된 시드니 도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65 호주 지속적 이민자 유입 속, 호주를 떠나는 이들도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564 호주 새 회계연도의 획기적 변화들 [7월 달라지는 제도] 톱뉴스 18.07.01.
3563 호주 연방상원, 취약계층 이민자 시민권 신청비 할인 혜택 폐지조치 백지화 톱뉴스 18.07.01.
3562 호주 호주 청량음료업계, 설탕 함유량 20% 감량 계획 발표…의학계 반응은 ‘써늘’ 톱뉴스 18.07.01.
3561 뉴질랜드 글로벌 사기, 뉴질랜드 피해자 증가 NZ코리아포.. 18.07.02.
3560 뉴질랜드 5개월 동안 외국인 투자자 부동산 매입, 21억 달러 NZ코리아포.. 18.07.03.
3559 뉴질랜드 스콧 도널드슨, 카약으로 타스만 해 건넌 최초의 인물 NZ코리아포.. 18.07.03.
3558 뉴질랜드 세계 최초로 ‘식물성 햄버거’ 기내식으로 선보이는 Air NZ NZ코리아포.. 18.07.03.
3557 뉴질랜드 벽 부수고 들어온 승용차 “잠자던 주인은 침대에서 맞은 편 벽까지 날아가” NZ코리아포.. 18.07.03.
3556 뉴질랜드 노숙자와 걸인과 함께~~머지 카페 시민 참여 증가 NZ코리아포.. 18.07.04.
3555 뉴질랜드 향후 64만 명의 파일럿 더 필요 NZ코리아포.. 18.07.04.
3554 뉴질랜드 뉴질랜드, 겨울 들어 전국 주택가격 0.3%하락 NZ코리아포.. 18.07.04.
355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여성, 아프리카인들을 위해 200만 달러 기부 NZ코리아포.. 18.07.05.
3552 뉴질랜드 윈스턴 피터스 총리 대행, 호주의 키위 17세 소년 감금에 비난 NZ코리아포.. 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