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3_하루두끼.jpg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와 사회단체 스쿠르 포퓔래르(Secours populaire)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20%의 프랑스인들이 자녀들의 학교 중식비를 내기도 힘들다고 한다. 

 

올해 12번째 표본조사로 6월 22일~28일 사이 1,016명에 대해 실시한 앙케트 결과이다.

이번 앙케트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인 5명 중 1명이 하루 세 끼 식사에 필요한 식품을 살 형편이 못되며, 27%는 매일 과일과 채소를 사 먹을 수 없고, 22%는 적어도 1주일에 한 번 생선을 먹을 수 없는 형편이다. 저소득층에 두드러진 현상이다.

 

개인소득이 월 1,200유로 이하인 사람들(전 국민의 19%)은 자녀의 학교 점심 값을 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프랑스의 육류 소비가 10년 간 12% 감소했는데, 프랑스인 17%가 육류 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다.

응답자의 65%는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식료품 구입비 지원이 급선무라고 평가했다.

스쿠르 포퓔래르는 전반적으로 프랑스인들 일부의 재정 상태가 2017년에 비해 개선되었다고 평가하나 응답자의 39%는 일생 동안 적어도 한 번 이상 가난한 상황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빈곤층(개인 월 소득 1,118유로 이하)에 속하는 인구는 9백만 명이다. 

 

빈곤선은 2017년에 비해 큰 변동은 없다. 프랑스인 1인 단독세대인  경우 소득이 월 1,118유로 이하이면 가난하다고 간주한다. 빈곤선 소득 1,118 유로는 최저임금(Smic) 1,173 유로에 가깝다. 작년에는 빈곤선이 1,113유로였다. 

 

빈곤선은 남녀에 차이가 있다. 남성의 빈곤선은 월 소득 1,165 유로이고, 여성은 1,075유로다. 빈곤선은 전 프랑스인 소득별로 분류할 때 중산층에 속하는 소득의 60%이다. 주관적인 빈곤선은 남성이 더 높고, 지역별로는 일-드-프랑스가 지방보다 더 높다.

 

올해에도 바캉스와 문화 지출이 프랑스인에게 가장 많은 항목으로 밝혀졌다.  프랑스인 41%가 (2017년에는 45%) 1년에 한 번 휴가를 떠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프랑스인 3명 중 한 명(38%)은 의료 행위에 지출이 어렵고, 27%는 에너지 이용(난방비) 지불에 어려움이 있다. 

프랑스인 절대다수(81%)는 그들의 세대보다 자녀 세대 때 가난에 더 취약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럽의 취약자 지원기금(FEAD)이 2020년에 종료되는데, 이의 경신이 확실시 되지 않고 있으며, 응답자의 70%는 유럽이 식품 취약에 대한 투쟁에 충분히 투자를 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 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0 프랑스 이한치한? 연말 추위를 즐기는 방법 프랑스존 14.12.18.
189 프랑스 이국정취 가득한 프랑스의 폴리네시아, 글래낭 군도 프랑스존 14.12.18.
188 프랑스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마르세유, Marseille 프랑스존 14.12.18.
187 프랑스 작은 정성 큰 베품, 함께 보내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프랑스존 14.12.18.
186 독일 독일, 미국 다음 두번째로 중요한 이주국가 유로저널 14.12.11.
185 영국 영국 노동자들, 실질임금 하락 가장 커 유로저널 14.12.11.
184 프랑스 재불한인회장 세대교체, 한인사회 도약의 계기로 file 프랑스존 14.12.04.
183 프랑스 화기애애했던 재불한인회장선거 & 재불한인송년의 밤 프랑스존 14.12.04.
182 프랑스 종교의 역사와 예술의 도시, 아비뇽, Avignon 프랑스존 14.12.04.
181 프랑스 ‘닷 파리’ 도메인, 본격 개통 프랑스존 14.12.04.
180 프랑스 미노토르의 미로가 되어버린 피카소 박물관 유로저널 14.11.23.
179 프랑스 프랑스인들 대다수가 동성애 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11.23.
178 영국 영국 최저임금 일자리, 동유럽 노동자들이 채워 유로저널 14.11.23.
177 독일 독일 대학교가 외국 학생들에 인기가 높은 이유 유로저널 14.11.23.
176 동유럽 슬로바키아 ,유로존 경기회복 둔화에 내년 성장률 하향 전망 유로저널 14.11.21.
175 스페인 스페인 거주 라틴아메리카인들, 재정위기이후 대폭 스페인 떠나 유로저널 14.11.21.
174 독일 독일인구 20%이상, 이주배경 가져 유로저널 14.11.19.
173 영국 영국 공교육, 심각한 재정난으로 정상 교육 대책 마련 시급해 유로저널 14.11.17.
172 프랑스 미노토르의 미로가 되어버린 피카소 박물관 유로저널 14.11.06.
171 독일 이주가정 자녀, 학교성과 높아졌으나 노동시장 불이익 커 유로저널 1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