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3_의료비.jpg

 

프랑스 보건부의 연구보고서는 프랑스가 EU국가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의료비 지출이 가장 많은 나라라고 지적했다. 

레 제코(Les Echos)지는 2019년에 ‘의료보험지출 국가목표’ (Ondam)를 2.4% 인상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2018년에는 2.3% 인상되었다. 이렇게 되면 1년 의료비 지출총액 2,000억 유로에 내년에 2억 유로가 추가된다. 

인구의 노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의료비 지출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출예산을 통제하지 않으면 매년 4% 증가할 수 있다.

 

프랑스의 년 간 치료 및 의약품비 (약, 장비, 등) 소비에 드는 비용 총액은 2017년에 1,993억 유로(국내 총생산의 8.7%), 국민 1인당 2,977유로였다고 보건부통계국(DREES)이 9월10일 발표했다. 이 금액에는 병원치료비 928억 유로, 민간 의료기관 치료비 534억 유로, 약제비 155억 유로, 의료 운송(응급구조), 안경, 등 50억 유로가 포함되어 있다. 

 

2017년에 의료비 지출은 1.3% 증가하여 역대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016년의 증가율은 2%였다. 이같은 증가 속도의 둔화는 병원 치료비 둔화 때문이라고 통계국이 설명한다.  

지출비용 중에서 사회 보장(Sécurité sociale) 의료보험이 77.8%를 차지한다. 그 다음이 보충 보험 기구들, 즉 상호부조(mutuelles) 기구, 공제(prévoyance) 기구, 의료보험 회사들 부담이었는데 전체의 13.2%였다. 단 7.5%의 의료지출이 가계 즉, 국민 개인의 부담이었다. 의료 지출 중 국민 개인 부담이 EU 국가들 중 프랑스가 가장 낮다. 

 

프랑스가 국내총생산 (GDP/PIB) 대비 의료비 지출이 EU 평균치 보다 1.1% 높다. 프랑스는 국내총생산 대비 의료 보건비 지출이 OECD 국가들 중에서는 가장 높고, 전 세계에서는 미국과 스위스 다음 세 번째로 높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 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0 프랑스 이한치한? 연말 추위를 즐기는 방법 프랑스존 14.12.18.
189 프랑스 이국정취 가득한 프랑스의 폴리네시아, 글래낭 군도 프랑스존 14.12.18.
188 프랑스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마르세유, Marseille 프랑스존 14.12.18.
187 프랑스 작은 정성 큰 베품, 함께 보내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프랑스존 14.12.18.
186 독일 독일, 미국 다음 두번째로 중요한 이주국가 유로저널 14.12.11.
185 영국 영국 노동자들, 실질임금 하락 가장 커 유로저널 14.12.11.
184 프랑스 재불한인회장 세대교체, 한인사회 도약의 계기로 file 프랑스존 14.12.04.
183 프랑스 화기애애했던 재불한인회장선거 & 재불한인송년의 밤 프랑스존 14.12.04.
182 프랑스 종교의 역사와 예술의 도시, 아비뇽, Avignon 프랑스존 14.12.04.
181 프랑스 ‘닷 파리’ 도메인, 본격 개통 프랑스존 14.12.04.
180 프랑스 미노토르의 미로가 되어버린 피카소 박물관 유로저널 14.11.23.
179 프랑스 프랑스인들 대다수가 동성애 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11.23.
178 영국 영국 최저임금 일자리, 동유럽 노동자들이 채워 유로저널 14.11.23.
177 독일 독일 대학교가 외국 학생들에 인기가 높은 이유 유로저널 14.11.23.
176 동유럽 슬로바키아 ,유로존 경기회복 둔화에 내년 성장률 하향 전망 유로저널 14.11.21.
175 스페인 스페인 거주 라틴아메리카인들, 재정위기이후 대폭 스페인 떠나 유로저널 14.11.21.
174 독일 독일인구 20%이상, 이주배경 가져 유로저널 14.11.19.
173 영국 영국 공교육, 심각한 재정난으로 정상 교육 대책 마련 시급해 유로저널 14.11.17.
172 프랑스 미노토르의 미로가 되어버린 피카소 박물관 유로저널 14.11.06.
171 독일 이주가정 자녀, 학교성과 높아졌으나 노동시장 불이익 커 유로저널 1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