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baae462cdc41.jpg

정유·화학업계가 일제히 베트남으로 향한다. 현지 공장 신설부터 유력기업 지분 매입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 투자와 공략에 나섰다. '넥스트 차이나'로 불릴 만큼 성장 잠재력이 상당해서다. 미국과 중국 무역전쟁의 반사이익으로 성장 잠재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SK(285,500원 상승6000 2.1%)그룹과 LG화학 (367,000원 상승6000 1.7%), 효성(48,350원 상승100 0.2%), 코오롱인더 (63,600원 상승300 0.5%)스트리 등은 최근 한 달 사이 연이어 베트남 투자 계획을 내놓았다. 

우선 SK는 그룹에서 정유·화학사를 담당한 SK이노베이션을 비롯한 5개 계열사가 공동 출자한 동남아 투자사를 통해 베트남 식품·자원 기업 '마산그룹' 지분 9.5%를 약 5300억원에 매입하기로 했다. 

SK그룹은 현지 국영기업 민영화나 전략적 대형 M&A 등을 마산그룹과 공동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SK이노베이션도 또 다른 사업 기회를 현지에서 잡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SK이노베이션은 베트남에 1개의 석유생산광구와 2개의 탐사 광구를 보유 중이다. 

LG화학은 베트남 첫 완성차 업체 빈패스트와 전기차 배터리 공급 등 사업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내년 출시할 전기 스쿠터 생산을 위해 LG화학이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전해진 상태다. 향후 스마트폰과 전기 승용차, 전기 버스 배터리 등으로 협업을 확장한다는 구상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베트남 빈증성에 연산 1만6800톤 규모의 타이어코드 생산공장을 준공했다. 이 공장은 최신 생산설비를 전 공정에 도입하고 원사생산부터 제직, 열처리, 완제품에 이르는 일괄 생산체계를 갖췄다.

이 밖에 효성은 섬유 제조 계열사 효성티앤시는 베트남 동나이 스판덱스 공장에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원료 수입부터 생산·출하까지 제조 전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분석·제어 관리 등을 통해 공장 효율화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 

업계가 일제히 투자 속도를 끌어올린 배경은 베트남의 높은 성장 잠재력이다. 올해 상반기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은 작년 상반기보다 7.08% 증가해 최근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특히 베트남 자동차 판매대수는 2013~2017년 연평균 27%씩 늘어날 만큼 급성장 중이다. 베트남 산업정책전략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 80만대로 예상된 현지 자동차 시장 규모는 2035년 180만대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정유·화학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구조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미중 무역전쟁으로 베트남 성장 속도가 더 가팔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주중 미국상공회의소가 중국에 법인을 둔 430여 개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응답 기업들의 18.5%가 동남아를 꼽았다. 지역별로 가장 높은 비중이었는데, 특히 베트남이 중국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실제로 중국을 떠나 베트남에 투자가 쏠릴 경우 지역 경제 성장 속도도 올라가 기존 투자효과가 배가될 것"이라며 "한국 업계로서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호치민 라이프플라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20 캄보디아 캄보디아, 공장 가동 재개했으나 노동력 부족현상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9 캄보디아 앙코르왓 티켓 판매로 100만 달러 수입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8 캄보디아 훈센 총리, 미얀마 쿠데타 지도자와 화상 회담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7 캄보디아 캄보디아 주식시장 거래량 증가. ‘올해 8개사 상장’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6 캄보디아 태국, 5월 1일자로 국경개방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5 캄보디아 ‘실외 마스크해제’ 캄보디아가 먼저 시행…한국은 5월 2일부터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4 캄보디아 캄보디아 2022 경제 성장률 5.4%로 하향 조정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3 캄보디아 캄보디아 학교 폭력, 금품 갈취는 기본, 교사 폭행 등 심각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2 캄보디아 캄보디아, 우기 오기도 전에 폭우로 6명 사망, 재산 피해 막대 뉴스브리핑캄.. 22.05.04.
1711 몽골 대한민국 국민들, 몽골 방문 사증 신청 의무 한시적으로 벗어나 file GWBizNews 22.05.04.
1710 몽골 몽골이 원전 수출국으로 한 발짝 다가서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9 몽골 정부는 비자 면제 결의안 초안 검토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8 몽골 올해 약 1만 가구가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첫 4개월 동안 보장된 주택담보대출은 2,000가구가 채 안 돼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7 몽골 MIAT는 일주일에 5번 울란바타르에서 프랑크푸르트로 비행을 논의하고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6 몽골 당의 움직임과 분열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5 몽골 국제통화기금은 몽골 경제가 진짜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밝혀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4 몽골 몽골 관광객들은 이제 비자 없이 한국을 여행할 수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3 몽골 안 바울은 몽골 유도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다고 밝혀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2 몽골 A.Ariunzaya 장관은 2023년 1월 1일부터 최저임금을 550,000투그릭으로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혀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
1701 몽골 극심한 날씨 변화 예상 file 몽골한국신문 22.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