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여 관중 열광… 현지 중고대생들, 케이팝 동아리 확산 중

 

 

HUB poto.jpg
▲ 케이팝(K-Pop)의 신생 걸 그룹 H.U.B.가 9월 14일 오후 5시 마이애미가든 소재 아시안지원센터에서 공연, 한인 30명을 포함한 250명의 관중들을 열광시켰다.
 

(마이애미=코리아위클리) 김현철-박윤숙 기자 = 전 세계 한류 전파에 앞장 서고 있는 케이팝(K-Pop)의 신생 걸 그룹 H.U.B.가 9월 14일 오후 5시 마이애미가든 소재 아시안지원센터(Asian Community Resource Center)에서 공연, 한인 30명을 포함한 250명의 관중들을 열광시켰다.

H.U.B.(리더 효선, 솔로 루이, 선영, 얘인, 채리)의 이번 공연은 작년의 마이애미 다운타운 필모어마이애미 극장 공연에 이어 두 번째다.

 

대부분의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젊은 세대)가 참석한 이번 공연에서 H.U.B.는 약 한 시간 동안 ‘벗꽃 피는 날, ’미친 듯이‘ 등 14곡을 소개, 관중들을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이번 공연 중 하얄리아 한인 고교생 조성민군과 김주리양은 현지 외국인 한류 클럽의 학생들에게 어떻게 한류 클럽을 미국학교에서 만들게 되었고, 한국을 좋아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즉석 인터뷰를 통해 참석 한인들의 긍지를 높여 주었다.


하얄리아 고교생, FIU 대학생 등 케이팝 팬들은 최근 각자 학교 단위로 케이팝 동아리를 조직하기 시작, 연습에 열중하고 있어서 머지않아 현지 학생들이 중심이 된 공연도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케이팝은 2002년부터 활약해 온 가수 ‘비’(2011, 타임지 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선정), 최근의 싸이(‘강남스타일’로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인 ‘핫 100’에서 7주간 2위, 현재 유튜브 조회 수 31억뷰, 2012년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아이튠스 뮤직비디오 차트 1위), 방탄소년단(BTS, 최근 빌보드 메인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1위) 등의 활약으로 전 세계에 ‘코리아’를 알렸다.

지난 8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 간, 로스앤젤레스‘LA컨벤션센터’와 ‘스테이플스센터’에서 열린 ‘KCON 2018 LA’에는 9만 4천명여의 최다 관객이 운집하여 세계 음악계를 놀라게 했다.

케이팝은 삼성전자 등과 함께 한국 브랜드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의 중국인 관광객은 3배 이상, 미국인 관광객은 31% 증가, 케이팝의 인기와 더불어 화장품, TV쇼, 드라마, 음식에 대한 관심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종합 컨텐츠 기업인 씨제이 이앤엠(CJㆍENM)은 6년 전부터 아시아,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등지에서 한류 콘서트 KCON(Korea Convention)를 개최하고 있는데, 그 중 미국은 지금까지 KCON을 찾은 전 세계 누적 관객 약 70만 명 중 40여만 명이 참여한 KCON의 핵심 거점 국가이기도 하다.

이번 공연을 주최한 KCE(Korean Community Empower=한인번영회, 대표: 김명호 플로리다주 교통청장)는 최근 남부플로리다 한인청소년들의 앞길을 열어주기 위해 발족한 모임으로 미국 주류사회에서 활약 중인 현지 한인 인사들이 이끌고 있다.

한편, 김형규 차기 마이애미 한인회장은 “한국을 알리는 이런 좋은 사업은 많이 홍보해야 한다”며 임기에 앞서 미리 임원회의를 열어 홍보에 열을 올리고 찬조금을 전달하기도 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0 캐나다 레드디어 한글학교, Westerner day 퍼레이드 참가 CN드림 16.08.03.
749 미국 뉴욕 한인소상인들 쿠오모 주지사 단속 반발 file 뉴스로_USA 16.07.31.
748 미국 ‘억울한 옥살이’ 이한탁씨 새보금자리 file 뉴스로_USA 16.07.30.
747 캐나다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 헌화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16.07.30.
746 캐나다 밴쿠버한인노인회, 대한노인회 밴쿠버지회로 승인 밴쿠버중앙일.. 16.07.30.
745 캐나다 한국과 BC주, 경제 및 문화 교류 확대 밴쿠버중앙일.. 16.07.30.
744 미국 ‘매시 경험담’ 들은 올랜도 한국전 정전협정 기념식 코리아위클리.. 16.07.29.
743 미국 마이애미지역 한인회, 한국전 정전 63주년 기념 코리아위클리.. 16.07.29.
742 미국 대학 과목 난이도는 교수 방식서도 차이 file 코리아위클리.. 16.07.29.
741 미국 뉴욕거리광고 원조 한태격대표 file 뉴스로_USA 16.07.29.
740 미국 뉴욕 상원의원 선거 촉각..정승진후보 긴급 회견 file 뉴스로_USA 16.07.28.
739 미국 美 유니온시티 ‘한국의 날’ 행사 file 뉴스로_USA 16.07.28.
738 미국 워싱턴서 한국 재즈를 만나다 file 뉴스로_USA 16.07.28.
737 미국 성추행 누명 韓피아니스트 美명문대에 1억4천만달러 소송 file 뉴스로_USA 16.07.27.
736 미국 ‘이노비’ 뉴욕암병원 감동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6.07.27.
735 미국 美 한인학생들 워싱턴서 한반도평화기원행사 file 뉴스로_USA 16.07.25.
734 미국 수강신청은 감당할 만큼 해야 코리아위클리.. 16.07.22.
733 미국 마이애미호남향우회 새 회장에 김창학씨 코리아위클리.. 16.07.22.
732 미국 중앙플로리다한인회, 625참전용사 연락 희망 코리아위클리.. 16.07.22.
731 미국 ‘싸드 반대’ 유엔에도 청원..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file 뉴스로_USA 16.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