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모바일 결제시장 확장 중

2018년 베트남의 모바일 결제시장의 거래액은 3천810만 달러에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며 사용자는 247만 명에 달한다.

한국무역협회에서 발표한 ‘2018년 베트남 모바일 결제산업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모바일 결제 거래액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57.9% 성장해 2022년에는 2억3천7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기간 모바일 결제 사용자는 연평균 21.6% 증가함으로써 2022년 54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모바일 결제는 모바일 지갑, POS(Point of Sales) 시스템, QR코드, 모바일 뱅킹 및 온라인결제플랫폼으로 분류된다. 현재까지 27개의 비은행기관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허가를 받았다. 

모바일 결제산업은 상대적으로 적은 은행계좌 보유 인구, 인터넷 및 스마트폰 보급률 증가, 소매 및 전자상거래 사용 급증, 편의성 등의 요인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베트남 국민 중 59%만이 은행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 반면, 주변국인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은행계좌 보유 비중은 각각 86%와 92%에 달한다. 

2017년 베트남의 인터넷 사용자는 총 5천38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6.4%에 달한다. 또한 최근 몇 년 간 베트남 전자상거래는 매년 20% 이상 성장하고 있다. 

한편 베트남 모바일 결제 전문기업들은 모바일결제시장의 경쟁심화, 일관성 없는 규제, 자금지원 및 관리제약 등을 방해요인으로 지적했다. 베트남 모바일 결제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대다수의 모바일 결제 전문기업들은 제한된 수의 소비자를 두고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베트남 중앙은행(SBV)은 베트남 국립지불회사(NAPAS)만을 모바일 결제수단으로 요구했는데, SBV는 동시에 정부규제기관이자 NAPAS의 최대주주이므로 타 모바일결제기업 간의 경쟁이 불공정하다. 

또한 대다수의 베트남의 모바일 결제기업들은 여전히 사업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으로 자본 및 전문 관리 인력이 부족한 상태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의 모바일 결제산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외국 기업의 경우 라이선스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모바일 결제시장에 진입하는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 국내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베트남 국내은행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 또한 모바일 결제산업을 확대하는 데 중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호치민 라이프플라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00 몽골 B.Battsetseg 장관, 몽골은 열 가공된 소고기와 양고기를 중국에 수출한다고 밝혀 file 몽골한국신문 22.04.27.
1799 몽골 5월 28일 토요일은 차 없는 날 file 몽골한국신문 22.04.27.
1798 몽골 LRT에 관해 E.Bat-Amgalan, Ch.Khurelbaatar의 의견 file 몽골한국신문 22.04.27.
1797 몽골 공정경쟁소비자보호청은 식품 가격 상승에 관한 연구를 진행 file 몽골한국신문 22.04.27.
1796 몽골 전국에서 67명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2.04.27.
1795 몽골 울란바타르-이르쿠츠크를 열차로 이동하려면 PCR 검사 필요 file 몽골한국신문 22.04.27.
1794 캄보디아 2021년 외국인 직접 투자 11.2% 급증 뉴스브리핑캄.. 22.04.27.
1793 캄보디아 캄보디아 마을 보안대, 선거 기간 평화와 질서 유지 뉴스브리핑캄.. 22.04.27.
1792 캄보디아 캄보디아 전국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뉴스브리핑캄.. 22.04.27.
1791 캄보디아 5월 초까지 홍수 계속될 가능성 높아 뉴스브리핑캄.. 22.04.27.
1790 캄보디아 ‘살 사람이 없다’ 캄보디아 농민들, 망고 30톤 버려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9 캄보디아 총리 :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시 하루 10만달러 지출 줄여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8 캄보디아 보건부, 캄보디아 뎅기열 확산 주의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7 캄보디아 캄보디아, 2018년부터 말라리아 사망자 0명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6 캄보디아 캄보디아, 3차 미접종자 공공장소 입장 불가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5 캄보디아 RAC 총장, “쓰레기장에 CCTV 설치해야”…, 범칙금·과태료 강화 촉구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4 캄보디아 캄보디아, 미국 전기차 생산업체 진출 환영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3 캄보디아 연휴 지나도 주말 관광객 30만 명, 회복세 확인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2 캄보디아 프놈펜-시아누크빌 고속도로 건설 90% 완료 뉴스브리핑캄.. 22.04.27.
1781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바칸탑, 복원 완료 임박 뉴스브리핑캄.. 2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