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세계한인회장대회가 5일 오후 사흘간의 공식일정을 마치고 폐막했다. 전 세계 한인회장들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모국 정부의 노력을 적극 지지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75개국 한인회장과 연합회 임원 등 500명은 이날 오후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우리 한인회장 일동은 모국에 대한 애정과 의지를 담아 아래와 같이 결의한다”며 결의문을 채택했다.

결의문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모국 정부의 노력 적극 지지, 성숙한 한인사회 만들어 나가며 특히 차세대를 적극 육성할 것, 모국 청년들의 해외진출 지원, 재외동포 관련 대한민국 헌법 조항 명문화 요청, 한민족의 상호 이해와 화합 증진을 위한 ‘재외동포 기념관’ 건립 촉구 등 5개 조항으로 이뤄졌다. 

<폐회식에서 참가한 한인회장들이 자발적으로 모은 약 1천800만원의 장학금을 대회 공동의장들이 김점배 글로벌한상드림 이사(왼쪽)에게 전달하고 있다.>

전체회의에 이어 오후 6시부터 진행된 폐회식에서는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마련한 1800만원의 장학금을 국내외 차세대 인재 육성을 돕는 장학재단인 글로벌한상드림에 전달했다

<2018 세계한인회장대회의 폐회를 선언하고 있는 임도재(왼쪽), 백승국(오른쪽) 대회 공동의장.>

이번 대회 공동의장인 임도재 아프리카중동한인회총연합회 회장과 백승국 대양주한인회총연합회 회장은 공로패를 받았고, 우수 한인회 운영사례로 선정된 탄자니아한인회, 미 LA한인회, 재일본한국인연합회, 재오스트리아한인연합회, 엘살바도르 한인회 등에 대한 시상식도 열렸다. 

한우성 재외동포재단 이사장은 환송사에서 “대회기간 내내 모국과 동포사회 상생 발전을 위해 고민하는 한인회장들의 모습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며 “모국의 평화정착과 번영에 힘과 지혜를 모아주기 바라며, 세계로 뻗어나가는 하나의 대한민국의 원동력이자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오전에 진행된 ‘제12회 한인의 날’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500여명의 내외빈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축사에서 “740만 재외동포는 대한민국이 가진 큰 힘”이라며 “우리 함께 더 커진 하나가 되어 한국인의 새 역사를 써 나가자”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전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12회 세계 한인의 날 기념식에서 오공태 민단 중앙본부 상임고문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하고 있다. >

 

문 대통령은 재외동포사회 권익신장에 기여한 유공자들에게 정부 포장을 전수했다. 일본 내 헤이트스피치 대책법 제정에 힘쓴 오공태 민단중앙본부 상임고문이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를 이끌어 온 김재훈 보잉사 연구소 기술이사가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고상구 베트남 케이앤케이글로벌 회장(동백장), 현광훈 호주 퀸즐랜드한인회장(국민포장), 신예선 미 샌프란시스코 한국문학인협회 명예회장(대통령표창)도 정부 포장을 수상했다. 

재외동포재단 주최로 올해로 19회를 맞은 한인회장대회는 ‘더 커진 하나, 한반도의 빛이 되다’라는 표어 아래 지난 3일 개막해 사흘 동안 진행됐다. 한인회 현안토론, 정책포럼, 정부와의 대화, 문화 공연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 

http://www.topdigital.com.au/node/6580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03 호주 시드니 지역 카운슬, 인구대비 강제합병 ‘우려’ 호주한국신문 15.05.14.
902 호주 호주축구협회, ‘Asian Cup Ambassadors Function’ 주최 호주한국신문 15.05.14.
901 호주 이휘진 총영사, 베어드 NSW 주 수상 예방 호주한국신문 15.05.14.
900 호주 주호주 대사관 ‘김치 외교’ 전개 호주한국신문 15.05.14.
899 호주 부산 수영구 대표단, 국제교류 위해 어번 방문 호주한국신문 15.05.14.
898 호주 서울 구룡중-엠마우스 가톨릭 칼리지 자매결연 호주한국신문 15.05.14.
897 호주 ‘AK LINKS’, ‘제17차 퀸즐랜드 부동산 EXPO’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5.14.
896 호주 글로벌 도시 전문가가 진단하는 대도시로서의 시드니는... 호주한국신문 15.05.07.
895 호주 ‘발리나인’ 두 사형수, 이번 주말 장례식 호주한국신문 15.05.07.
894 호주 인니 호주 대사 소환 철회, 당분간 계획 없어 호주한국신문 15.05.07.
893 호주 ‘발리나인’ 사형수의 마지막 바람은... 호주한국신문 15.05.07.
892 호주 콜빈 AFP 청장, “발리나인 관련, 사과 않겠다” 언급 호주한국신문 15.05.07.
891 호주 NSW 가정폭력 심각, 지난 주 2명 사망 호주한국신문 15.05.07.
890 호주 호주 여성, 이번에는 말레이시아서 사형 직면 호주한국신문 15.05.07.
889 호주 호주 생산성위원회, 정부에 ‘이민비자 매매’ 건의 호주한국신문 15.05.07.
888 호주 호주 녹색당, 디 나탈레 새 대표 선출 호주한국신문 15.05.07.
887 호주 호주인 알코올 소비, 50년 이래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5.05.07.
886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2%로 인하 호주한국신문 15.05.07.
885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 대상 통일교육 진행 호주한국신문 15.05.07.
884 호주 주시드니 한국문화원, 영문 명칭 변경 호주한국신문 1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