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국의 날 1).JPG

겨울이 끝나면서 지난 수 개월간의 가뭄을 보상하듯 비 내리는 날이 수 주 동안 이어졌던 올해 봄, 한국의 날이 열린 지난 주 토요일(27일)은 봄의 절정을 보여주듯 화창한 날씨였다. 2018 Korean Festival이 펼쳐진 이스트우드 공원(Eastwood Park).

 

한국 전통문화-K pop 댄스-다양한 먹거리 ‘풍성... 정부 서비스 기관들 참여

 

시드니 한인 커뮤니티의 최대 이벤트인 ‘2018 한국의 날’(Korean Festival)이 지난 토요일(27일) 이스트우드 공원(Eastwood Park)에서 펼쳐졌다.

시드니한인회가 매년 봄 시즌을 기해 마련하는 ‘한국의 날’은 시드니 지역 한인들의 친목을 위한 장으로 시작된 이래 커뮤니티 규모가 확대되면서 현지 사회에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각 소수민족 사회와 교류함으로써 다문화에 공헌하는 한인사회 최대 이벤트로 자리잡았다.

 

종합(한국의 날 2).JPG

행사장 주변에 마련된 한국음식 스톨에서 먹거리를 기다리는 관람객들. 대중문화 바람과 함께 ‘한류’의 폭이 음식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실감케 한다.

 

종합(한국의 날 3).JPG

올해 한국의 날에는 NSW 주 다문화부 레이 윌리엄스(Ray Williams) 장관 등 주 정부 및 다문화 커뮤니티 지도자들이 축하 인사로 참석했다. 개회식에서 축사를 전하는 이스트우드 경찰 관계자.

 

종합(한국의 날 4).JPG

K-Pop 관련 상품은 현지인들에게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종합(한국의 날 5).JPG

시드니 한인동포 최대 거주지역인 라이드 카운슬 또한 이날 축제에서 스톨을 마련하고 한인 비즈니스 구역인 이스트우드 발전을 위한 정책 등을 적극 홍보했다. 라이드 카운슬 스톨에서의 제롬 락살(Jerome Laxale) 시장(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직원들.

 

종합(한국의 날 6).JPG

관람객들로부터 가장 많은 시선을 모은 태권도 시범. 시드니를 기반으로 40년 넘게 이어오고 있는 화랑태권도 아카데미(대표 김명만. 전 재호주태권도협회 회장)는 초창기부터 시범단을 운영, 다양한 이벤트에서 태권도를 알려오고 있다.

 

종합(한국의 날 7).JPG

올해 한국의 날에는 정부 또는 비영리 기구의 참여가 늘었으며, 관람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해 이목을 끌었다. 이날 B형 간염 예방 캠페인을 전개한 Hepatitis NSW 스톨.

 

올해 행사에서도 시드니한인회(회장 류병수)는 ‘한국’을 주제로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한국 대중문화 바람 확산을 위해 K-Pop과 댄스, 노래 경연 등으로 관람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또한 음식과 기념품 판매를 위한 스톨(stall)을 마련, 현재 호주 현지에서도 인기를 더해가는 갖가지 한국 음식을 소개했다.

특히 올해 이벤트에서는 NSW 주 정부 기관이 각 서비스를 소개하는 스톨이 늘어나 커뮤니티 이벤트로써의 Korean Festival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평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한국의 날 1).JPG (File Size:124.8KB/Download:19)
  2. 종합(한국의 날 2).JPG (File Size:119.0KB/Download:22)
  3. 종합(한국의 날 3).JPG (File Size:100.6KB/Download:13)
  4. 종합(한국의 날 4).JPG (File Size:125.8KB/Download:18)
  5. 종합(한국의 날 5).JPG (File Size:95.1KB/Download:14)
  6. 종합(한국의 날 6).JPG (File Size:104.8KB/Download:17)
  7. 종합(한국의 날 7).JPG (File Size:136.3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63 호주 또 다시 발생한 워홀러 사망에 한인사회 충격 호주한국신문 15.04.24.
2362 호주 “호주 생활비, 19개 선진국 중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04.24.
2361 호주 전문가들, “호주 경제 위기 지속” 진단 호주한국신문 15.04.24.
2360 뉴질랜드 파머스톤 노스 남성, 화재 주택서 소녀 구하다 중상 file 굿데이뉴질랜.. 15.04.25.
2359 뉴질랜드 시민들, 차량 내에서 폭행 당하고 목 졸리던 여성 구출하고 범인 잡아 file 굿데이뉴질랜.. 15.04.25.
2358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페 웨이트리스 “존 키 총리가 머리카락 잡아당기며 괴롭혀” file 굿데이뉴질랜.. 15.04.25.
2357 호주 ANU 스즈키 교수, 아베 총리의 ‘언어유희’ 비난 호주한국신문 15.04.30.
2356 호주 UTS, ‘북 이주학생 영어교육 장학 프로그램’ 발표 호주한국신문 15.04.30.
2355 호주 호주 유명 레스토랑 근무했던 한인 워홀러 피해 호주한국신문 15.04.30.
2354 호주 MCC NSW, 안작 100주년 기념식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4.30.
2353 호주 ‘발리나인’ 두 사형수 감형 노력 ‘물거품’ 호주한국신문 15.04.30.
2352 호주 애보트 정부, 인도네시아 주재 호주대사 소환 호주한국신문 15.04.30.
2351 호주 ‘발리나인’, 체포서 사형까지 10년 과정은... 호주한국신문 15.04.30.
2350 호주 ‘발리나인’과 함께 집행된 다른 6명의 사형수는... 호주한국신문 15.04.30.
2349 호주 인도네시아 언론들도 자국 사형제도 비난 호주한국신문 15.04.30.
2348 뉴질랜드 Queen St의 부활: 애플∙티파니∙자라 오클랜드 시장 물망 굿데이뉴질랜.. 15.05.01.
2347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13개 과목 세계 상위 50위권 진입 굿데이뉴질랜.. 15.05.02.
2346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 공급부족 때문 아니다” 호주한국신문 15.05.07.
2345 호주 호주 구세군, ‘2015 자선기금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5.05.07.
2344 호주 어번 카운슬, 고령자 돌봄 서비스 제공 호주한국신문 1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