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발리나인).jpg

지난 2005년, 마약밀매 혐의로 발리 덴파사 공항에서 체포된 ‘발리나인’(Bali Nine) 멤버 중 한 명인 레나이 로렌스(Renae Lawrence). 9명의 호주 젊은이 중 유일한 여성이었던 로렌스(현재 41세. 사진 왼쪽)씨가 이달 21일 석방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 : 채널 10(Network Ten) 뉴스화면 캡쳐.

 

발리 지방교정당국 책임자, ‘페어팩스 미디어’ 통해 밝혀

 

사형 또는 종신형을 선고받고 발리 교도소에 수감 중인 호주인 마약밀매 조직, 일명 ‘발리나인’(Bali Nine) 중 유일한 여성인 레나이 로렌스(Renae Lawrence)가 오는 21일 석방될 것이라고 금주 월요일(12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올해 41세의 레나이가 교도소에서 삭방되면 현재 남아 있는 6명(2명 사형집행, 1명은 수감 중 암으로 사망)의 ‘발리나인’ 중 가장 먼저 풀려나는 멤버가 된다.

신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발리 주 지방교정국(Bali provincial correction division)의 슬라멧 프리안토로(Slamet Prihantoro) 국장은 시드니 모닝 헤럴드 등을 발행하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를 통해 레나이 로렌스가 오는 11월21일 석방될 것이라고 밝혔다.

프리안토로 국장은 이어 “이날(11월21일) 로렌스는 추방을 위해 인도네시아 이민국에 이송될 것이며 그녀가 호주로 돌아가면 이후부터는 우리의 책임을 떠나게 된다”고 덧붙였다. 로렌스는 발리 교도소를 나온 당일 또는 다음날 호주로 추방될 가능성이 있다.

로렌스는 8.3킬로그램의 헤로인을 호주로 밀반입하려다 발리에서 체포된 9명의 밀매조직 중 7명과 함께 종신형을 선고받았지만 이후 20년으로 감형된 바 있다. 이후 로렌스는 모범적 수감생활을 보였으며 인도네시아 종교 관련 법정 기념일 및 독립기념일을 기해 두 차례 더 감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발리 법정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던 그녀는 애초 발리 소재 중범죄자 수용으로 악명 높은 케로보칸 교도소(Kerobokan prison)에 수감되었으나 이후 네가라 교도소(Negara prison)로 이감되었으며 현재는 방글리 교도소(Bangli prison)에서 복역 중이다.

발리 법정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가 20년 형으로 감형된 로렌스와 달리 시 이 첸(Si Yi Chen), 마이클 크주가즈(Michael Czugaj), 매튜 노만(Matthew Norman), 스콧 러시(Scott Rush), 마틴 스티븐스(Martin Stephens) 등 5명의 ‘발리나인’ 멤버는 종신형 상태로 복역하고 있다. 이들 중 스콧 러시 외 4명은 지난 2012년 감형을 신청했으나 승인되지는 않았다.

마약 사범에 대해 강력한 입장을 견지해 온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은 호주 정부의 지속적인 요청에도 불구, ‘발리 나인’ 중 사형선고를 받았던 2명의 감형을 허용하지 않았으며 종신형에 처해진 다른 멤버들에게도 선처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의 감형은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승인이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 레나이 로렌스는 교도소 안에서 지독한 신경쇠약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발리나인’은...

‘발리나인’은 지난 2005년 4월17일, 8.3킬로그램의 헤로인(호주에서의 시가 약 400만 달러)을 소지하고 태국을 출발, 발리를 경유하여 호주로 입국하려다 발리 덴파사(Denpasar) 공항에서 현지 경찰에 체포된 9명의 호주 젊은이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앤드류 찬(Andrew Chan), 시 이 첸(Si Yi Chen), 마이클 크주가즈(Michael Czugaj), 레나이 로렌스(Renae Lawrence), 탄 둑 탄 응엔(Tan Duc Thanh Nguyen), 매튜 노만(Matthew Norman), 스콧 러시(Scott Rush), 마틴 스티븐스(Martin Stephens), 뮤란 스쿠마란(Myuran Sukumaran)이다.

이들은 발리 법정에서 사형 또는 무기징역 형을 선고받고 발리 케로보칸 교도소(Kerobokan prison)에서 복역해 왔으며, 이들 중 리더 역할을 해온 앤드류 찬과 뮤란 수쿠마란은 호주 정부의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2015년 3월 사형 형장이 있는 누사캄방간(Nusakambangan) 교도소로 이감됐으며, 4월29일(수) 이른 새벽 총살형을 당했다.

또 다른 ‘발리나인’ 멤버인 탄 둑 탄 응엔은 지난 5월9일 암으로 사망했다. 응엔은 체포 후 법정에서 앤드류 찬 등과 함께 사형이 선고됐으나 이후 종신혐으로 감형받았으며, 올해 들어 신장암이 밝혀져 자카르타의 한 병원으로 이송, 치료를 받아오다 이날 오전 7시10분 사망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발리나인).jpg (File Size:43.6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01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광역시드니 상위 소득 10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000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호주의 고소득 상위 10개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9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남성 비해 여성 수입 높은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8 호주 곤스키 보고서, 학년별 아닌 ‘개인 맞춤형 교육’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7 호주 시드니 저소득층 대상 ‘적정 임대료’ 주택, 턱없이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6 호주 ‘파워하우스 뮤지엄’, 2023년 파라마타로 이전 개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5 호주 “트리-멘더스”... 시드니에 나무 500만 그루 심기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4 호주 NSW 주, 다문화 커뮤니티 독감 예방 프로그램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3 호주 크라운그룹, 시드니 도심 프로젝트 ‘Eastlakes Live’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라이드 주택, 60년 전 675파운드→124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간판 및 차림표에 영어 문구 삽입 ‘의무화’ 톱뉴스 18.05.03.
2990 호주 2018-19 예산안 ‘준 적극재정안…?’…법인세수 급증에 정부 ‘안도’ 톱뉴스 18.05.03.
2989 호주 호주, “남북정상회담, 북한에 대한 외교적, 경제적 압박의 승리” 톱뉴스 18.05.03.
2988 호주 [정상회담 D-0] '停戰 65년' 마침표 찍고 평화체제 토대의 ‘이정표 설정’ 톱뉴스 18.05.03.
2987 뉴질랜드 공사 현장에서 8천달러 상당의 부엌용 가구 사라져 NZ코리아포.. 18.05.03.
2986 뉴질랜드 SPCA, 정규 직원보다 급여 없는 자원봉사자가 훨씬 많아... NZ코리아포.. 18.05.03.
2985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호주 소유 은행들, 키위에게 바가지 씌웠나? 조사 NZ코리아포.. 18.05.03.
2984 뉴질랜드 경찰, 20년 동안 수 천 건의 성범죄를 무혐의 코드로 잘못 입력 NZ코리아포.. 18.05.03.
2983 뉴질랜드 은퇴 앞둔 74세의 뉴질랜드의 최고령 경찰관 NZ코리아포.. 18.05.02.
2982 뉴질랜드 뉴질랜드 실업률 10년래 최저 기록 경신 NZ코리아포.. 18.05.02.
2981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응급실 찾는 환자수 최고 기록 NZ코리아포.. 18.05.02.
2980 뉴질랜드 오클랜드 모터웨이 확장 공사 중, 마오리 역사유물 발굴 NZ코리아포.. 18.05.02.
2979 뉴질랜드 2018년도 뉴질랜드 교장단 한국방문 연수 알차게 마무리... NZ코리아포.. 18.05.02.
2978 뉴질랜드 수감자들, 교도관들로부터 성폭행과 성추행 당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8.05.02.
2977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물고기, 티마루 해변에서 발견 NZ코리아포.. 18.05.02.
2976 뉴질랜드 “아마존 택스” 온라인 해외 구매,GST 15% 부과 방안 최종 발표 NZ코리아포.. 18.05.01.
2975 뉴질랜드 오클랜드 콘테이너 항구 위치, 새로운 도심 개발 조감도 소개돼 NZ코리아포.. 18.05.01.
2974 뉴질랜드 새로운 전화 사기, 분당 50달러 이상 손해볼 수도... NZ코리아포.. 18.04.30.
2973 뉴질랜드 조기 교육 분야 교사들-부상 위험 등 높아, 관련 정책 시급 NZ코리아포.. 18.04.30.
2972 뉴질랜드 지난 3월, 석유류 수입 큰 폭 증가로 월간 무역수지 적자 기록 NZ코리아포.. 18.04.29.
2971 뉴질랜드 NZ 찾은 방문객 “5년 만에 연간 120만명 증가했다” NZ코리아포.. 18.04.29.
2970 뉴질랜드 판문점 선언에 대한 뉴질랜드 언론 반응 NZ코리아포.. 18.04.28.
2969 뉴질랜드 심야에 과속 질주했던 오토바이 “경찰차는 피했지만 하늘의 눈에서는 못 벗어나” NZ코리아포.. 18.04.28.
2968 뉴질랜드 "평화, 새로운 시작", 남북 정상회담 소식 NZ에서도... NZ코리아포.. 18.04.27.
2967 뉴질랜드 향후 10년간, 280억 달러 예산으로 오클랜드 도로 개선 NZ코리아포.. 18.04.27.
2966 뉴질랜드 뉴질랜드, 1인당 탄소 방출량 가장 높은 국가들 중 하나 NZ코리아포.. 18.04.27.
2965 뉴질랜드 억세게 운좋은 사람, 로또 1등 두 번 당첨 NZ코리아포.. 18.04.27.
2964 뉴질랜드 이혼 후, 여성이 남성 2배의 경제적 부담 NZ코리아포.. 18.04.27.
2963 뉴질랜드 가출 하루 만에 돌아온 오클랜드 동물원 앵무새 NZ코리아포.. 18.04.26.
2962 뉴질랜드 유아용 스낵에서 발견된 구워진 바퀴벌레 NZ코리아포.. 18.04.26.
2961 호주 빠르게 변화하는 직종... 2024년 일자리 창출은 어느 부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60 호주 시드니 경전철 또 지연... 완공시기, 2020년 3월로 미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9 호주 퀸즐랜드 주, ‘경제’ 부분에서 가장 ‘Hot’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8 호주 브리즈번 작가 에밀리 오그래디, ‘보겔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7 호주 연방 정부의 사립학교 보조금 확대에 공립학교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6 호주 The 9 best holiday homes in Australia to stay at over the long weekend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5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다양한 문화유산 소개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4 호주 호주 구세군, 올해 ‘Red Shield Appeal’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3 호주 수년간 이어진 주택 가격 상승, 자선단체 수익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2 호주 저탄수화물 맥주, 일반 맥주와 ‘체중 영향’ 차이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