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멜번 사건 0).jpg

지난 11월9일(금) 멜번(Melbourne) 중심가 버크 스트리트(Bourke Street)에서 발생한 흉기난동 사건의 범인 하산 칼리프 시레 알리(Hassan Khalif Shire Ali)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그의 범행동기와 테러 연관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연방 총리는 이번 행위를 ‘테러’로 못 박으며 “정신질환은 궁색한 변명”이라고 비난했다. 사진 : ‘Sky News’ 화면 캡쳐.

 

‘테러 행위’로 규정... 극단주의 근절 위한 무슬림 지도자들 노력 촉구

 

지난주 금요일(9일) 멜번(Melbourne) 중심가 버크 스트리트(Bourke Street)에서 발생한 흉기난동 사건으로 호주사회에 또 다시 테러에 공포감이 더해 가는 가운데, 범인의 정신질환 병력을 둘러싸고 범행 동기와 테러와의 연관성 여부에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오후, 멜번의 도심 한복판에서 차량 화재와 흉기난동 사태가 벌어졌다. 범인은 여러 개의 가스통이 든 자동차로 건물을 들이받은 뒤 차량에서 내려 시민 3명을 흉기로 무차별 공격했다. 이후 현장에 출동한 경찰과 대치하던 범인은 가슴에 총을 맞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레스토랑 경영자 시스토 말라스피나(Sisto Malaspina. 74세)씨를 포함, 무고한 시민 3명이 범인의 흉기에 찔려 사망했다.

ABC 방송에 따르면 테러범은 하산 칼리프 시레 알리(Hassan Khalif Shire Ali)라는 이름의 30대 남성으로 소말리아 출신이다. 사건 발생 후 시레 알리의 가족들은 그가 정신적인 문제를 앓고 있어 간절히 도움을 요청했다며, 그를 정치게임의 대상으로 삼지 말고 ‘진정한 테러리스트’가 아니므로 연민을 가지고 대해달라고 호소했다.

이 같은 가족들의 호소에 대해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연방총리는 “끔찍한 테러공격 행위에 대한 궁색한 변명”이라고 비난했다. 모리슨 총리는 무슬림 커뮤니티 지도자들에게도 시레 알리가 극단주의 무슬림이 된 데에 대한 일부 책임이 있다며 이를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

모리슨 총리는 채널 10(Ten Network)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범인이 테러범인지 아니면 단지 미친 사람인지’의 질문과 관련해 “범인은 테러리스트다. 극단주의 테러리스트이다”라고 못 박았다. 이어 “정신질환과 같은 다른 문제들도 이 사건과 연관이 있다고 인정한다”며 오해는 말아 달라면서도 “범인은 극단주의자이고,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을 흉기로 살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리슨 총리는 “현재 무슬림 커뮤니티에 합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용납할 수 없는 악을 퍼뜨리고 무고한 사람들을 공격하고 있다”면서 “무슬림 커뮤니티 리더들이 개입해 이슬람의 급진화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리슨 총리는 이맘(Imam. 이슬람교 조직의 지도자, 인도자)과 다른 이슬람교 지도자들에게 “어떤 사람이 가입하는지, 누가 이슬람 사원 안에서 아이들과 대화하는지, 그리고 누가 집단 내에서 어울리지 못하는 젊은이들을 데리고 사원 밖으로 나가는 지를 면밀히 살펴봐 달라”고 촉구했다.

 

종합(멜번 사건 1).jpg

멜번 도심 한 가운데서 가스통을 실은 트럭을 건물에 충돌시킨 뒤 칼을 들고 행인을 향해 무차별 공격을 가한 사건이 발생, 충격을 주고 있다. 사진은 이를 저지하는 경찰을 향해 공격하는 범인의 모습. 잠시 후 경찰이 쏜 총을 맞은 범인은 병원으로 이송된 후 사망했다. 사진 : 인스타그램(nohsoohyun86).

 

모리슨 총리는 이번 사건과 관련한 그의 발언이 인종차별적이라는 비난에 대해 “호주의 대다수 무슬림들은 품위 있고 근면하며 훌륭한 사람들로, 이들은 무슬림 집단이 보다 안전하기를 원한다”며 “이슬람 종교집단에 들어오는 사람들의 잘못된 행위가 문제”라고 말했다.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연방총리도 라디오 방송 2GB에서 “호주의 대다수 무슬림들은 호주의 삶의 방식을 받아들이는 좋은 사람들이나, ‘불신 죽음’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일부 소수 집단이 있다”며 모리슨 총리의 발언에 전적인 지지를 보냈다.

애보트 전 총리는 이어 “소수의 사악한 테러리스트들이 전체 무슬림들에 대한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있어 비극적”이라며 우려감을 표한 뒤 “호주의 무슬림들은 특히 잘 살고 싶어하는 괜찮은 사람들”이라고 덧붙였다.

멜번 버크 스트리트에서 발생한 흉기난동 사건의 범인 하산 칼리프 시레 알리는 1988년 소말리아 출생으로 1990년대 가족과 함께 호주에 이주했다. 그의 가족들은 멜번의 소말리아 커뮤니티 내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존중을 받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시레 알리의 가족들은 멜번 서부의 호퍼스 크로싱(Hoppers Crossing)에 자리한 성 마리아 이슬람사원(Virgin Mary Mosque)에 다녔으며, 시레 알리는 대부분 멜번 북쪽 지역의 예배에 참석했다.

한편 ABC 방송에 따르면 시레 알리는 가족들과 함께 멜번 교외 웨리비(Werribee)에서 살다가 최근 약물남용 문제로 집에서 나와 다른 곳으로 옮겨갔다.

시레 알리는 호주 정보국 및 테러 담당 경찰 부서에 잘 알려진 인물이다. 2015년 호주보안정보국(Australian Security Intelligence Organisation. ASIO)은 시레 알리가 시리아로 여행을 계획했다는 혐의로 그의 여권을 취소시킨 바 있다.

경찰은 그가 급진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극단주의 무장세력(IS)과 연계된 인물이라고 여겼으나 호주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하지는 않는다고 판단, 합동 대테러팀(Joint Counter Terrorism Teams. JCTT)의 주요 관심대상 인물에 올려놓지는 않았다. 대테러팀은 시레 알리의 테러공격 배후에 깔린 동기를 추적하고 있는 중이다.

이번 사건으로 지난 2014년 시드니 마틴 플레이스(Martin Place)의 린트 초콜릿 카페(Lindt Cafe) 인질극 사건의 범행동기가 재조명되기도 했다. 범죄과학수사를 맡았던 범죄 심리학자이자 급진화 전문가인 케이트 바렐(Kate Barrelle)씨는 당시 사인분석 결과 범인 만 하론 모니스(Man Haron Monis)가 “의심할 여지가 없은 테러리스트”라며 “정신적 장애가 있는 한 남성의 극단주의적인 행동이었다”고 진단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멜번 사건 0).jpg (File Size:44.8KB/Download:20)
  2. 종합(멜번 사건 1).jpg (File Size:56.8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01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광역시드니 상위 소득 10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000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호주의 고소득 상위 10개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9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남성 비해 여성 수입 높은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8 호주 곤스키 보고서, 학년별 아닌 ‘개인 맞춤형 교육’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7 호주 시드니 저소득층 대상 ‘적정 임대료’ 주택, 턱없이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6 호주 ‘파워하우스 뮤지엄’, 2023년 파라마타로 이전 개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5 호주 “트리-멘더스”... 시드니에 나무 500만 그루 심기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4 호주 NSW 주, 다문화 커뮤니티 독감 예방 프로그램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3 호주 크라운그룹, 시드니 도심 프로젝트 ‘Eastlakes Live’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라이드 주택, 60년 전 675파운드→124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299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간판 및 차림표에 영어 문구 삽입 ‘의무화’ 톱뉴스 18.05.03.
2990 호주 2018-19 예산안 ‘준 적극재정안…?’…법인세수 급증에 정부 ‘안도’ 톱뉴스 18.05.03.
2989 호주 호주, “남북정상회담, 북한에 대한 외교적, 경제적 압박의 승리” 톱뉴스 18.05.03.
2988 호주 [정상회담 D-0] '停戰 65년' 마침표 찍고 평화체제 토대의 ‘이정표 설정’ 톱뉴스 18.05.03.
2987 뉴질랜드 공사 현장에서 8천달러 상당의 부엌용 가구 사라져 NZ코리아포.. 18.05.03.
2986 뉴질랜드 SPCA, 정규 직원보다 급여 없는 자원봉사자가 훨씬 많아... NZ코리아포.. 18.05.03.
2985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호주 소유 은행들, 키위에게 바가지 씌웠나? 조사 NZ코리아포.. 18.05.03.
2984 뉴질랜드 경찰, 20년 동안 수 천 건의 성범죄를 무혐의 코드로 잘못 입력 NZ코리아포.. 18.05.03.
2983 뉴질랜드 은퇴 앞둔 74세의 뉴질랜드의 최고령 경찰관 NZ코리아포.. 18.05.02.
2982 뉴질랜드 뉴질랜드 실업률 10년래 최저 기록 경신 NZ코리아포.. 18.05.02.
2981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응급실 찾는 환자수 최고 기록 NZ코리아포.. 18.05.02.
2980 뉴질랜드 오클랜드 모터웨이 확장 공사 중, 마오리 역사유물 발굴 NZ코리아포.. 18.05.02.
2979 뉴질랜드 2018년도 뉴질랜드 교장단 한국방문 연수 알차게 마무리... NZ코리아포.. 18.05.02.
2978 뉴질랜드 수감자들, 교도관들로부터 성폭행과 성추행 당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8.05.02.
2977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물고기, 티마루 해변에서 발견 NZ코리아포.. 18.05.02.
2976 뉴질랜드 “아마존 택스” 온라인 해외 구매,GST 15% 부과 방안 최종 발표 NZ코리아포.. 18.05.01.
2975 뉴질랜드 오클랜드 콘테이너 항구 위치, 새로운 도심 개발 조감도 소개돼 NZ코리아포.. 18.05.01.
2974 뉴질랜드 새로운 전화 사기, 분당 50달러 이상 손해볼 수도... NZ코리아포.. 18.04.30.
2973 뉴질랜드 조기 교육 분야 교사들-부상 위험 등 높아, 관련 정책 시급 NZ코리아포.. 18.04.30.
2972 뉴질랜드 지난 3월, 석유류 수입 큰 폭 증가로 월간 무역수지 적자 기록 NZ코리아포.. 18.04.29.
2971 뉴질랜드 NZ 찾은 방문객 “5년 만에 연간 120만명 증가했다” NZ코리아포.. 18.04.29.
2970 뉴질랜드 판문점 선언에 대한 뉴질랜드 언론 반응 NZ코리아포.. 18.04.28.
2969 뉴질랜드 심야에 과속 질주했던 오토바이 “경찰차는 피했지만 하늘의 눈에서는 못 벗어나” NZ코리아포.. 18.04.28.
2968 뉴질랜드 "평화, 새로운 시작", 남북 정상회담 소식 NZ에서도... NZ코리아포.. 18.04.27.
2967 뉴질랜드 향후 10년간, 280억 달러 예산으로 오클랜드 도로 개선 NZ코리아포.. 18.04.27.
2966 뉴질랜드 뉴질랜드, 1인당 탄소 방출량 가장 높은 국가들 중 하나 NZ코리아포.. 18.04.27.
2965 뉴질랜드 억세게 운좋은 사람, 로또 1등 두 번 당첨 NZ코리아포.. 18.04.27.
2964 뉴질랜드 이혼 후, 여성이 남성 2배의 경제적 부담 NZ코리아포.. 18.04.27.
2963 뉴질랜드 가출 하루 만에 돌아온 오클랜드 동물원 앵무새 NZ코리아포.. 18.04.26.
2962 뉴질랜드 유아용 스낵에서 발견된 구워진 바퀴벌레 NZ코리아포.. 18.04.26.
2961 호주 빠르게 변화하는 직종... 2024년 일자리 창출은 어느 부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60 호주 시드니 경전철 또 지연... 완공시기, 2020년 3월로 미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9 호주 퀸즐랜드 주, ‘경제’ 부분에서 가장 ‘Hot’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8 호주 브리즈번 작가 에밀리 오그래디, ‘보겔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7 호주 연방 정부의 사립학교 보조금 확대에 공립학교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6 호주 The 9 best holiday homes in Australia to stay at over the long weekend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5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다양한 문화유산 소개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4 호주 호주 구세군, 올해 ‘Red Shield Appeal’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3 호주 수년간 이어진 주택 가격 상승, 자선단체 수익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2 호주 저탄수화물 맥주, 일반 맥주와 ‘체중 영향’ 차이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