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도시 고밀도).jpg

NSW 주 정부가 오는 2036년까지 시드니 일부 지역을 초고밀도 지역으로 조성하는 ‘세인트 레오나드-크우로스 네스트 2036 개발계획’(ST LEONARDS AND CORWS NEST 2036)을 내놓은 가운데, 제니아 맥카프리(Genia McCaffrey) 전 노스시드니(North Sydney) 시장이 개발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해당 계획의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은 하늘에서 본 노스시드니 중심 구역.

 

맥카프리 전 노스시드니 시장, “무분별한 개발 계획 중단하라” 촉구

 

NSW 주 정부가 2036년까지 시드니를 뉴욕 맨하탄(Mahattan)보다 더한 인구 고밀도 지역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안을 발표한 가운데, 지역적 특성을 약화시키고 개발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무분별한 계획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일요일(1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제니아 맥카프리(Genia McCaffrey) 전 노스시드니(North Sydney) 시장은 “자유-국민 연립(Coalition)이 지난 2011년 선거에서 승리, 집권한 후 시드니에서 놀라운 실험을 진행해왔다”며 “시드니를 빠른 시간 안에 개발해 전 세계 최고의 인구 고밀도 지역으로 만드는 것이 그 계획”이라고 주장했다.

이의 근거로 맥카프리 전 시장이 언급한 문서는 주 정부의 ‘세인트 레오나드-크로우스 네스트 2036 개발 계획’(ST LEONARDS AND CORWS NEST 2036)으로, 세인트 레오나드에 건축될 수천 개의 신규 주거지 공사계획과 함께 향후 20년에 걸쳐 7천500개의 새 주거지를 건설한다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과도한 개발을 반대하는 커뮤니티 단체 ‘OVERdevelopment– we’re OVER’의 대변인이기도 한 맥카프리 전 시장은 “해당 계획으로 1만 명 이상이 이 지역에 추가로 유입되고, 50층 이상의 고층 건물이 새로이 들어서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계획안과 관련해 맥카프리 전 시장은 라이드(Ryde) 지역 개발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계획이라며 이를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NSW 주 기획-환경부 대변인은 “대부분의 건물 제한 높이는 18층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면서 “크로우스 네스트 기차역 위에 들어설 27층 높이의 건물과 지역 카운슬이 결정하는 5개의 주요 부지만이 예외”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스시드니 카운슬이 제안한 세인트 레오나드 지역, 617 Pacific Highway 상에 50층 빌딩을 건설하는 계획이 있다”고 덧붙였다.

대변인은 해당 계획에 대해 “지역 주민들과의 집중적인 논의를 거쳐 입안됐으며, 기획 및 인프라에 대해 지역 정부 전체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겠다”고 설명했다.

대변인은 이어 “주 정부는 학교, 개방된 공간, 자전거 도로 및 자동차 도로 개선공사와 같은 사회기반 시설 신설 및 확충을 위해 개발사들로부터 1억 달러 이상을 거둬들일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지역적 특성과 개방된 공간 및 꼭 필요한 사회기반 시설의 중요성을 인식해 이 계획안에는 고도제한과 밀도의 범위 등 변경사항이 포함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맥카프리 전 시장은 “지역 주민들과의 논의가 충분한 시간과 인력을 가지고 진행되지 않았으며, 상당히 복잡한 계획을 세우는 데에도 적절한 평가나 검토가 제공되지 않아 절차상으로 엉터리였다”고 지적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주말(17일) 크로우스 네스트에는 수백 명의 주민들이 이 지역에 대한 정부의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시위 주최측은 윌로비(Willoughby) 지역구를 기반으로 하는 자유당의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NSW 주 총리와 노스 쇼어(North Shore) 지역구 펠리시티 윌슨(Felicity Wilson) 의원이 해당 개발계획에 대해 소홀히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맥카프리 전 시장은 “이번 개발계획을 둘러싼 주민들의 우려는 노스시드니와 윌로비 지역구의 자유당 의석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이를 계속 무시할 경우 집권 정부만 손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다음 선거에서 표를 주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윌슨 의원은 성명을 통해 “유권자들의 피드백을 환영한다”고 말한 뒤, “크로스 네스트 지역 분위기와 같이 지역 주민들이 가치를 두는 부분의 특성을 보존하도록 기획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당 개발계획이 주거지 과잉공급을 양산하고, 고용 창출과 대중교통 및 개방 공간, 사회기반 시설에 관한 적절한 계획이 부족하다는 우려를 담은 노스시드니 카운슬 보고서도 발견됐다.

이 보고서는 메트로 구역 재조정으로 크로우스 네스트의 자연과 주택 지역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대형 건물들이 늘어나고, 어네스트 플레이스(Ernest Place)와 윌로비 로드(Willoughby Road, Crows Nest)를 가리며, 이 지역 고용창출과 공익을 이끌어내지 못할 것이라는 추가적인 우려도 담고 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도시 고밀도).jpg (File Size:112.9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51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0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9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8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7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6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5 뉴질랜드 [Voice of Community - 굿데이신문 교민 설문조사 결과]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4 뉴질랜드 한눈에 보는 '2014 NZ정부 예산안'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3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2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1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0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9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8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7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6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5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4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3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2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1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0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9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8 호주 호주 비만율 급증, 지난 33년간 80% 늘어나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7 호주 “정부의 200억 달러 의료연구 기금은 과장된 것”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6 호주 본다이 정션 아파트, 분양 4시간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5 호주 대한민국 금속공예 조성준 명장, 시드니서 전시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4 호주 재외동포재단, 인터넷 사이트 ‘한상넷’ 보완 개편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3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푸드 페스티벌’ 주역으로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2 호주 2013년 APSA 최고배우 선정 이병헌, 뒤늦게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1 호주 ATO, ‘분기별 사업활동 보고서’ 빠른 제출 당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0 호주 케언즈 순회영사 및 한인 워홀러 안전 강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9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접수 가능 민원업무 재공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8 호주 5월 시드니 주택가격 1.1% 하락, 08년 12월 이후 최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7 호주 대학 졸업생 6만5천명, 졸업 후 구직 힘들 듯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6 호주 시드니 교통체증, 주중 최악의 하루는 '수요일'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5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4 호주 시드니 유흥가 폭력 줄고 가정폭력은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3 호주 NSW 주 수상, 의료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2 호주 시드니 여성, 200만 달러 온라인 데이트 사기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1 호주 2022 카타르 월드컵 유치 부정 의혹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0 호주 가정폭력 관련, 경찰의 현장 처리권한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6.05.
6609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 불구, 경매 낙찰률 73.3%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8 호주 NSW 스토너 부수상, “한인 사업자 지원에 최선 다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7 호주 한국문화원, QLD 광산도시서 한국문화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6 호주 “한국 주류매체, 평통 호주협의회 활동상 조명”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5 호주 2014 브라질 월드컵 새벽 4시 개막식, 6시 개막전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4 호주 C20 정상회담, 20-21일 멜번대학에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3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오늘(13일)부터 ID 스캔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2 호주 연방 정부, 휴면 계좌 3억6천만 달러 정부로 귀속 호주한국신문 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