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카툰 1).jpg

갈수록 미묘해지는 정치 및 각 분야 현실을 한정된 그림 칸 안에 절묘하게 담아내 상황 자체를 비꼬거나 웃음을 주는 호주 미디어의 인기 카툰들을 한 눈에 보는 ‘Behind the Lines 2018’ 전시회가 문을 열었다. 이를 주관하는 ‘호주 민주주의 박물관’은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 소속의 풍자만화가 매트 골딩(Matt Golding)씨를 ‘Cartoonist of the Year’로 선정했다. 사진은 그의 카툰 ‘Curiouser and Curiouser’. 호주 정치 권력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빗대어 묘사한 풍자이다.

 

‘호주 민주주의 박물관’, 인기 카툰 선별한 ‘Behind the Lines’ 전시

페어팩스 미디어 소속 매트 골딩씨, ‘Cartoonist of the Year’ 선정

 

호주 정치 부문에서 올해는 특히 많은 변화가 일어난 해였다. 자유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는 국민당(National Party)의 바나비 조이스(Barnaby Joyce) 대표 겸 연방 부총리가 담당 비서관과의 스캔들로 사임했으며, 정작 본인들조차 몰랐던 이중국적 신분이 드러나 의원직을 내놓거나 사임 후 보권선거를 치른 이들도 여럿이 나왔다.

압권은 올해 중반 불거진 자유당 내 권력투쟁이었다.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에 대한 유권자 지지도 하락으로 자유당 내에서는 새 당대표 선출 움직임이 본격화됐고, 내무부(Department of Home Affairs)를 맡고 있던 우파 정치인 피터 더튼(Peter Dutton)의 당권 도전에 턴불 총리가 자리를 지켜내기는 했지만 그의 재도전 움직임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하면서 자유당은 내년 총선을 9개월여 앞두고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대표 체제로 전환됐다.

익살과 해악, 풍자를 기본 요소로 하는 카툰(Cartoon)은 보통 한 컷의 그림으로 문제의 핵심을 보여주는 측면에서 오히려 글보다 더 큰 위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특히 정치 카툰은 특정 상황을 한정된 그림칸 안에 보다 적절하게 담아내려는 의도에서 다소 과장된 신체적 특징이나 표정을 만들어내게 되고 또 이것이 어느 정도 용인되는 분위기 때문에 시사 문제를 바라보는 독자들에게 때론 웃음을, 때론 분노를 던진다.

 

종합(카툰 2).jpg

매트 골딩(Matt Golding)씨의 또 다른 인기 카툰. 지난 10년 사이 7명의 총리(Prime Minister)가 등장한 상황을 드러낸 것이다.

 

종합(카툰 3).jpg

‘Cartoonist of the Year prize 2018’을 차지한 매트 골딩(Matt Golding)씨.

 

권력의 핵심에 있는 정치권 상황은 종종 서커스의 곡예 이상 드라마틱한 장면을 만들어내곤 한다. 그리고 카투니스트들은 그것을 적절하게 때론 날카롭게 담아내 보여준다.

매년 이들 카투니스트들의 시사 풍자를 선별해 전시하면서 최고의 작품을 선정하는 카툰 전시회가 문을 열었다. 캔버라의 옛 의회(Old Parliament House)에 자리한 ‘호주 민주주의 박물관’(Museum of Australian Democracy. MOAD)이 매년 개최하는 ‘Behind the Lines’가 그것이다.

MOAD의 큐레이터 리비 스튜어트(Libby Stewart)씨는 “올해 선별된 카툰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은 각 상황들을 날카롭게 풍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상대로 올해 선별 전시된 카툰 가운데는 스콧 모리슨이 턴불을 몰아낸 자유당의 지도력 공백이 두드러진다. 이를 소재로 한 카툰 가운데 정치권력의 미묘한 상황을 가장 잘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 소속의 풍자만화가 매트 골딩(Matt Golding)씨가 ‘Curiouser and Curiouser’라는 카툰으로 ‘올해의 카투니스트’(Cartoonist of the Year) 상을 차지했다.

이해하기 힘든 정치권 상황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상상되는 한 장면으로 묘사한 그의 카툰은 이번 풍자만화가 전시되는 ‘Old Parliament House’의 전시장 입구에 걸려져 카툰들이 보여주는 ‘기묘한 정치 현실’을 상징적으로 대변했다.

“매년 하는 말이지만 올해는 정말 놀라운 한 해였다”는 스튜어트 큐레이터는 “헌법 44조에서 명시한 이중국적자의 의회 활동 금지로 의원직을 내놓아야 의원들, 그 가운데 국민당 대표이며 부총리를 맡았던 바나비 조이스 의원이 있었는데, 이 문제는 꽤 오래동안 지속되어 온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올해 주요 정치적 이슈가 됐던 일로 동성결혼 합법화 문제도 빼놓지 않았다.

 

종합(카툰 4).jpg

지난 5월26일 자 호주 전국지 ‘The Australian’에 게재된 에릭 레베케(Eric Lobbecke)씨의 카툰. 핵무기를 체스 판위에 놓고 회담을 진행하며 위험한 줄다리기를 하는 북한과 미국 지도자를 담아냈다.

 

그런 가운데 그는 집권 여당 내의 지도력 공백을 가장 큰 이슈로 언급했다. “사람들은 자유당 지도자의 리더십 부재를 피부로 인지하기 전에 새로운 대표 체제로 가는 것을 지켜보았고, 곧이어 웬트워스(Wentworth) 보궐선거가 치러지면서 ‘자유당의 지도력 공백’이라는 전시회는 막을 내린다”고 설명했다. 지난 8월 턴불 총리가 자유당 대표직 물론 의원직을 사임하면서 그의 지역구인 웬트워스 보궐선거에서 자유당은 무려 100년 이상 지켜온 이 지역에서의 의원 배출에 실패, 상당한 충격을 감수해야 했다.

이번 MOAD 전시회에서 ‘올해의 풍자만화가’로 선정된 몰딩씨는 “올해 정치 상황은 다른 해와 구별되는 몇몇 분명한 변화가 있었다”며 “전 세계적으로 우파 세력이 힘을 얻은 것이 그런 변화들”이라고 말했다. 국가사회주의를 지향하는 나치스(Nazis)의 출현, 일부 국가에서의 부르카(burka. 무슬림 여자들이 얼굴은 물론 몸 전체를 감싸기 위해 입는 옷) 착용 금지, 백인 우월주의를 우회적으로 표현한 ‘It's OK to be White’ 운동 등 우리의 민주주의 여정에 의아함을 갖게 하는 많은 일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정치적 게임이라는 고되고 힘겨운 세계에 빠져 지내지만 이를 카툰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은 원더풀하다”는 말로 카투니스트로서의 보람을 언급했다.

올해 자신에게 ‘Cartoonist of the Year’의 영광을 안겨준 카툰에 대해 그는 “본질적으로 많은 것들을 담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아이디어”라며 “때론, 보는 이들로 하여금 의문을 갖게 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지만 만약 아이디어가 강하다면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또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전시회에는 캐시 윌콕스(Cathy Wilcox. The Age 및 Sydney Morning Herald), 마크 나이트(Mark Knight. Herald Sun), 마이클 루닉(Michael Leunig, The Age 및 Sydney Morning Herald), 존 셰익스피어(John Shakespeare, Sydney Morning Herald), 데이빗 로우(David Rowe, Financial Review), 여기에 제이슨 챗필드(Jason Chatfield, The New Yorker)씨의 풍자만화들도 눈길을 끌었다.

 

종합(카툰 5).jpg

시드니 웬트워스(Wentworth) 지역구 보궐선거(턴불 전 총리 사임에 따른)에서 100년 이상 의석을 지켜온 자유당이 무소속 케린 펠프스(Kerryn Phelps. 가운데) 후보에게 패한 장면을 묘사했다. 무너진 모래성에 깔린 자유당 후보 데이빗 샤마(David Sharma. 왼쪽) 후보와 그를 전략적으로 이 지역구 후보로 내세웠던 모리슨 총리(Scott Morrison. 오른쪽) 총리.

 

MOAD의 대릴 카프(Daryl Karp) 박물관장은 이번 카툰 전시와 관련, “호주의 정치 풍자는 아주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며 빼어난 풍자만화에 찬사를 보냈다.

카프 관장은 “우리(호주)는 지난 10년 사이 7명의 새 총리가 집권하는 것을 보았고 2007년 이래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가 절반 이상 하락한 상황이었지만 그럼에도 풍자만화가들이 우리를 웃게 만드는 힘을 잃지 않았다는 것에 마음이 놓인다”고 말했다.

호주는 지난 2010년 노동당 정부의 부총리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가 케빈 러드(Kevin Rudd) 총리(노동당 대표)의 당권에 도전, 새 총리가 되었으며 3년 뒤에는 케빈 러드가 다시 당권 투표를 통해 노동당 대표직을 되찾으며 집권 여당의 갈라드를 밀어내고 총리 자리에 앉았다.

이어 치러진 연방 총선에서 러드의 노동당은 자유-국민 연립에 패해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자유당 대표에게 정권을 넘겨주었으며, 2015년에는 자유당 당 대표 경선에서 1표 차이(러드 정부 당시인 2009년 대표 경선에서 턴불은 애보트와 맞붙어 41표를 획득, 42표를 얻은 애보트에 패했다)로 애보트에게 자리를 내주었던 말콤 턴불이 당권에 도전해 애보트를 밀어내고 총리 자리에 앉았다.

하지만 그도 지난 8월 피터 더튼의 도전에 직면했으며, 자유당 의원 투표에서 더튼을 물리치기는 했으나 재도전을 천명한 데 대해 부담을 느끼고 사임하면서 새로이 치러진 의원투표에서 모리슨이 당 대표로 선출, 제30대 총리 자리에 올랐다. 이로써 호주는 지난 2007년 케빈 러드의 집권 이래 10년 사이 무려 7명의 총리가 바뀐 것이다.

한편 ‘Behind the Lines 2018’는 ‘호주 민주주의 박물관’(MOAD) 전시에 이어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일반에 선보인다.

-Parramatta Riverside Theatre : 2019년 1월29일부터 2월21일

-Old Treasury Building, Melbourne : 2019년 2월26일부터 4월29일

-Bunker Cartoon Gallery, Coffs Harbour : 2019년 5월1일부터 7월6일

-State Library, Queensland : 2019년 7월29일부터 11월2일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카툰 1).jpg (File Size:97.2KB/Download:22)
  2. 종합(카툰 2).jpg (File Size:55.6KB/Download:28)
  3. 종합(카툰 3).jpg (File Size:28.4KB/Download:31)
  4. 종합(카툰 4).jpg (File Size:68.6KB/Download:19)
  5. 종합(카툰 5).jpg (File Size:82.6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01 뉴질랜드 1등급 역사적 건물로 돌진한 유조트럭, 차량 기능에 문제 있었던 듯 NZ코리아포.. 18.04.13.
3900 뉴질랜드 2018 한인의 날 행사, 축제의 한마당 성황리 막내려 NZ코리아포.. 18.04.15.
3899 뉴질랜드 남섬 홍역 환자 6명째, 퀸스타운 여성 환자 비행기로 이동해... NZ코리아포.. 18.04.16.
3898 뉴질랜드 남성 교장보다 여성 학교장들이 더 많아 NZ코리아포.. 18.04.16.
3897 뉴질랜드 NZ노인,65세 넘어서도 생활비와 납부금 때문에 계속 일해 NZ코리아포.. 18.04.16.
3896 뉴질랜드 뉴질랜드 의학협회, 블랙 마켓 증가 경고 NZ코리아포.. 18.04.17.
3895 뉴질랜드 “아이언 아이즈” 현대무용으로 표현하는 북한 이야기, 17일 첫 공연 NZ코리아포.. 18.04.17.
3894 뉴질랜드 위급할 때 통신장비 중요성 보여준 등반객들, 악천 후 속에 3일 만에 구조돼 NZ코리아포.. 18.04.17.
3893 뉴질랜드 대장암 스크린 프로그램 착오, 30명 암으로 발전 NZ코리아포.. 18.04.18.
3892 뉴질랜드 안작 데이 기금 모금함 도난, RSA 분노 표해 NZ코리아포.. 18.04.18.
3891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버스 전용차선, 1년동안 백만 달러 이상 벌금 NZ코리아포.. 18.04.18.
3890 뉴질랜드 IMF, 외국인 부동산 취득 금지-차별적 조치라 지적 NZ코리아포.. 18.04.19.
3889 뉴질랜드 의사 치료비 대신 낸 여성, SNS에서 그녀의 선행 칭찬 NZ코리아포.. 18.04.19.
3888 뉴질랜드 오클랜드 북서쪽 6천 여 세대 신규 주택 단지, 무산 가능성 NZ코리아포.. 18.04.19.
3887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정치인, 아시안 차 번호판 A로 바꿔야 한다고... NZ코리아포.. 18.04.19.
3886 뉴질랜드 올해 예산안에서 시민이 가장 원하는 우선 순위는? NZ코리아포.. 18.04.19.
388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예비 구매자 선호지역 주택 수요,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4 호주 NSW 주, ‘바위낚시 구명조끼’ 자발적 참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3 호주 ‘인터랙티브 맵’으로 시드니 전역의 ‘불안전’ 구역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2 호주 전 세계 1% 상위 부자들의 자산 증가 가속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1 호주 사립학교 한 해 수입, 공립학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0 호주 멜번, ‘라이브 음악’ 메카로... 공연장 수 가장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9 호주 자유당 알렉산더 의원, “주택가격 안정화 전쟁 끝나지 않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8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7 호주 광역시드니, 최고 ‘Workholic’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6 호주 호주 내 해외 유학생, 54만 명 넘어... 역대 ‘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5 호주 지난 5년 사이 일자리 100만 개, 최대 직업창출 분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4 호주 “이민자 줄면 호주 경제도 쇠퇴, 생활수준 저하...”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3 호주 시드니 남서부 산불 ‘소강 국면’…홀스워씨 주민들 ‘안도’ 톱뉴스 18.04.20.
3872 호주 시드니 여객기 폭파 모의 테러 용의자 2명 이라크서 체포 톱뉴스 18.04.20.
3871 호주 자유당 텃밭 지역에 몰린 이민자들 톱뉴스 18.04.20.
3870 호주 “기술이민자는 국가 부 창출의 견인차” 톱뉴스 18.04.20.
3869 호주 호주정부, 가족 이민 초청자 재정 요건 대폭 강화 99개 비자 조항은 10개로 축소 톱뉴스 18.04.20.
3868 호주 첫 주택 구입자를 위한 최선의 대출 비결 톱뉴스 18.04.20.
3867 뉴질랜드 선물가게 도둑질에 사용된 구세군 트럭 NZ코리아포.. 18.04.20.
3866 뉴질랜드 3명 죽은 교통사고 가해 운전자 “보석 조건 어긴 20세 마약 전과자” NZ코리아포.. 18.04.20.
3865 뉴질랜드 규정대로 임금 지급하지 않은 식당 대표 “7만 달러 벌금 내게 돼” NZ코리아포.. 18.04.20.
3864 뉴질랜드 밤하늘 휘황 찬란하게 수놓은 남극 오로라 출현 NZ코리아포.. 18.04.21.
3863 뉴질랜드 폭발 직전의 차량에서 생명 구해낸 용감했던 경찰관과 주민 NZ코리아포.. 18.04.21.
3862 뉴질랜드 부모가 천 킬로를 넘는 거리를 달려 자식을 데려온 이유는? NZ코리아포.. 18.04.23.
3861 뉴질랜드 1955년 이후 해외에 묻힌 NZ군인 유해, 고국 환송 시작 NZ코리아포.. 18.04.23.
3860 뉴질랜드 말썽 많은 더니든의 연례 길거리 학생 파티 “큰 문제 없이 끝났다” NZ코리아포.. 18.04.23.
3859 뉴질랜드 관광객 증가로 둥지 위협받는 멸종 위기 펭귄들 NZ코리아포.. 18.04.23.
3858 뉴질랜드 1/4분기 전국의 목장 매매 부진 원인은 “소 전염병” NZ코리아포.. 18.04.23.
3857 뉴질랜드 빨래 널다 기겁한 할머니, 주택으로 돌진한 승용차 NZ코리아포.. 18.04.23.
3856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부부, 6개월 만에 또다시 아보카도 절도 피해 NZ코리아포.. 18.04.24.
3855 뉴질랜드 세 명의 여성 동시 임신시킨 중국 이민자, 추방 3년 보류 NZ코리아포.. 18.04.24.
3854 뉴질랜드 스마트폰 중독, 사람을 우울하게 해 NZ코리아포.. 18.04.24.
3853 뉴질랜드 안작군 루트 관광, 갈로폴리 버스 전소돼 NZ코리아포.. 18.04.26.
3852 뉴질랜드 퀸스 타운의 번지 점프,카운트 다운에도 미소만... NZ코리아포.. 1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