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인구 1).jpg

호주 통계청(ABS)의 최근 인구증가 분석 결과 호주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해 내년 말 3천만 명에 이르며, 2066년에는 4천200만 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멜번은 20년 뒤 시드니의 인구를 넘어서 호주 최대 도시가 된다는 분석이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을 오가는 사람들. 사진 : aap

 

내년 말 3천만 명 돌파 예상... 멜번 인구, 20년 내 시드니 능가 전망

 

호주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 내년 말 3천만 명에 이르며, 2066년에는 4천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지난주 금요일(23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의 최근 자료를 인용해 전한 것으로, ABS는 인구 전망 보고서에서 출산율, 수명 및 이민자 비율 등 서로 다른 요소를 기반으로 ‘높은 성장’, ‘중간성장’, ‘낮은 성장’이라는 세 가지 예상 모델을 제시했다.

‘중간 성장’ 모델에 따르면 호주 인구가 2030-31년에는 3천만 명, 2043-44년에는 3천400만 명, 2058-59년에는 4천만 명, 2066년까지 4천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높은 성장’ 시나리오는 2066년까지 최대 5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ABS는 또한 호주 전국적으로 도시화가 지속돼 각 주(State) 및 테리토리(Territory)의 주요 도시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빅토리아(Victoria) 주의 성장 속도가 가장 빨라 2066년까지 ‘중간 성장’ 시나리오에서는 멜번 도시 인구가 1천200만 명에 이르며 ‘최고 성장’ 시나리오에서는 1천4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최고 성장’ 모델은 20년 내 멜번 인구가 시드니를 넘어서고 2031년에는 호주 최고 도시가 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NSW 주의 인구성장은 다른 주에 비해 다소 더딘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됐다. 분석 결과 NSW 주에서 다른 주로 이동하는 순 이동인구가 줄어들 경우 주 전체 인구는 현재 790만 명에서 2066년까지 1천550만 명에 도달할 것이며, 시드니 인구는 1천20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만약 NSW에서 타 주로의 이동인구가 증가하게 될 경우 NSW 주 인구는 2066년까지 1천100만 명, 시드니의 인구는 800만 명 수준에 그치게 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이번 ABS 자료는 현재 호주의 남녀 평균 수명이 각각 83세, 86세인 상황에서 ‘중간 성장’ 모델에 따라 여성 한 명 당 1.8명을 출산하고, 매년 22만5천명의 이민자가 유입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료는 또한 인구 고령화가 지속돼 2066년까지 평균 연령은 40세가 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중간 성장’ 모델에 따라 2042년까지 85세 인구는 현재의 두 배, 65세 인구 또한 현재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해 380만 명에서 67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고령연금 수급 자격이 주어지는 은퇴연령은 2023년까지 67세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는 지난 19일(월), 한 연설을 통해 이민자 유입 제한 정책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총리는 “비록 호주의 인구증가가 경제성장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우리는 이 성공에 대한 희생양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어 “호주 대도시의 도로들은 꽉 막혀있고, 버스와 기차도 승객들로 가득 차 있으며, 학교는 더 이상의 신규 등록생을 받을 수 없을 만큼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면서 “대도시에 있는 호주인들은 인구성장에 대해 ‘그만, 그만, 그만’(enough, enough, enough)이라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ABS 자료와 관련해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인구통계학자인 리즈 알렌(Liz Allen) 박사는 “호주는 향후 인구 고령화로 인한 경제적 악영향을 상쇄하고자 이민자들에게 의존하고 있다”고 전제한 뒤, “이번 통계청 자료는 인구 성장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정치인들이 인구를 정책과 재정 실패의 희생양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지난 8월 호주의 인구시계는 2천500만 명을 돌파, 2004년 10월 2천만 명을 넘어선 이후 불과 14년 만에 500만 명이라는 빠른 증가를 기록했다.

 

■ 연도별 호주 인구

-1918년 : 500만 명

-1959년 : 1천만 명

-1981년 : 1천500만 명

-2004년 : 2천만 명

-2018년 : 2천500만 명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인구 1).jpg (File Size:85.1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51 호주 시드니 경매 화제- 모스만 타운하우스, 예상가격 이하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2950 뉴질랜드 퀸스 타운의 번지 점프,카운트 다운에도 미소만... NZ코리아포.. 18.04.26.
2949 뉴질랜드 안작군 루트 관광, 갈로폴리 버스 전소돼 NZ코리아포.. 18.04.26.
2948 뉴질랜드 스마트폰 중독, 사람을 우울하게 해 NZ코리아포.. 18.04.24.
2947 뉴질랜드 세 명의 여성 동시 임신시킨 중국 이민자, 추방 3년 보류 NZ코리아포.. 18.04.24.
2946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부부, 6개월 만에 또다시 아보카도 절도 피해 NZ코리아포.. 18.04.24.
2945 뉴질랜드 빨래 널다 기겁한 할머니, 주택으로 돌진한 승용차 NZ코리아포.. 18.04.23.
2944 뉴질랜드 1/4분기 전국의 목장 매매 부진 원인은 “소 전염병” NZ코리아포.. 18.04.23.
2943 뉴질랜드 관광객 증가로 둥지 위협받는 멸종 위기 펭귄들 NZ코리아포.. 18.04.23.
2942 뉴질랜드 말썽 많은 더니든의 연례 길거리 학생 파티 “큰 문제 없이 끝났다” NZ코리아포.. 18.04.23.
2941 뉴질랜드 1955년 이후 해외에 묻힌 NZ군인 유해, 고국 환송 시작 NZ코리아포.. 18.04.23.
2940 뉴질랜드 부모가 천 킬로를 넘는 거리를 달려 자식을 데려온 이유는? NZ코리아포.. 18.04.23.
2939 뉴질랜드 폭발 직전의 차량에서 생명 구해낸 용감했던 경찰관과 주민 NZ코리아포.. 18.04.21.
2938 뉴질랜드 밤하늘 휘황 찬란하게 수놓은 남극 오로라 출현 NZ코리아포.. 18.04.21.
2937 뉴질랜드 규정대로 임금 지급하지 않은 식당 대표 “7만 달러 벌금 내게 돼” NZ코리아포.. 18.04.20.
2936 뉴질랜드 3명 죽은 교통사고 가해 운전자 “보석 조건 어긴 20세 마약 전과자” NZ코리아포.. 18.04.20.
2935 뉴질랜드 선물가게 도둑질에 사용된 구세군 트럭 NZ코리아포.. 18.04.20.
2934 호주 첫 주택 구입자를 위한 최선의 대출 비결 톱뉴스 18.04.20.
2933 호주 호주정부, 가족 이민 초청자 재정 요건 대폭 강화 99개 비자 조항은 10개로 축소 톱뉴스 18.04.20.
2932 호주 “기술이민자는 국가 부 창출의 견인차” 톱뉴스 18.04.20.
2931 호주 자유당 텃밭 지역에 몰린 이민자들 톱뉴스 18.04.20.
2930 호주 시드니 여객기 폭파 모의 테러 용의자 2명 이라크서 체포 톱뉴스 18.04.20.
2929 호주 시드니 남서부 산불 ‘소강 국면’…홀스워씨 주민들 ‘안도’ 톱뉴스 18.04.20.
2928 호주 “이민자 줄면 호주 경제도 쇠퇴, 생활수준 저하...”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7 호주 지난 5년 사이 일자리 100만 개, 최대 직업창출 분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6 호주 호주 내 해외 유학생, 54만 명 넘어... 역대 ‘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5 호주 광역시드니, 최고 ‘Workholic’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4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3 호주 자유당 알렉산더 의원, “주택가격 안정화 전쟁 끝나지 않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2 호주 멜번, ‘라이브 음악’ 메카로... 공연장 수 가장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1 호주 사립학교 한 해 수입, 공립학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20 호주 전 세계 1% 상위 부자들의 자산 증가 가속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19 호주 ‘인터랙티브 맵’으로 시드니 전역의 ‘불안전’ 구역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18 호주 NSW 주, ‘바위낚시 구명조끼’ 자발적 참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1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예비 구매자 선호지역 주택 수요,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2916 뉴질랜드 올해 예산안에서 시민이 가장 원하는 우선 순위는? NZ코리아포.. 18.04.19.
2915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정치인, 아시안 차 번호판 A로 바꿔야 한다고... NZ코리아포.. 18.04.19.
2914 뉴질랜드 오클랜드 북서쪽 6천 여 세대 신규 주택 단지, 무산 가능성 NZ코리아포.. 18.04.19.
2913 뉴질랜드 의사 치료비 대신 낸 여성, SNS에서 그녀의 선행 칭찬 NZ코리아포.. 18.04.19.
2912 뉴질랜드 IMF, 외국인 부동산 취득 금지-차별적 조치라 지적 NZ코리아포.. 18.04.19.
2911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버스 전용차선, 1년동안 백만 달러 이상 벌금 NZ코리아포.. 18.04.18.
2910 뉴질랜드 안작 데이 기금 모금함 도난, RSA 분노 표해 NZ코리아포.. 18.04.18.
2909 뉴질랜드 대장암 스크린 프로그램 착오, 30명 암으로 발전 NZ코리아포.. 18.04.18.
2908 뉴질랜드 위급할 때 통신장비 중요성 보여준 등반객들, 악천 후 속에 3일 만에 구조돼 NZ코리아포.. 18.04.17.
2907 뉴질랜드 “아이언 아이즈” 현대무용으로 표현하는 북한 이야기, 17일 첫 공연 NZ코리아포.. 18.04.17.
2906 뉴질랜드 뉴질랜드 의학협회, 블랙 마켓 증가 경고 NZ코리아포.. 18.04.17.
2905 뉴질랜드 NZ노인,65세 넘어서도 생활비와 납부금 때문에 계속 일해 NZ코리아포.. 18.04.16.
2904 뉴질랜드 남성 교장보다 여성 학교장들이 더 많아 NZ코리아포.. 18.04.16.
2903 뉴질랜드 남섬 홍역 환자 6명째, 퀸스타운 여성 환자 비행기로 이동해... NZ코리아포.. 18.04.16.
2902 뉴질랜드 2018 한인의 날 행사, 축제의 한마당 성황리 막내려 NZ코리아포.. 18.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