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27105905.jpg.

최근 한국과 베트남 양국간의 관심이 뜨겁다.
박항서호의 스즈키컵 우승으로 인해 베트남은 한류 문화와 스포츠 경제에 이르기까지 한국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이에 따라 한-베 양국간의 다양한 교류와 우대 혜택들이 주어지고 있다. 특히 비자 완화 정책이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고 한국의 기업들 역시 관심을 기울이는 부분이다.

한국의 많은 기업과 개인들이 베트남에 진출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비자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최근 베트남에선 기존에 허용되던 6개월 복수비자와 12개월 복수비자 발급이 잠시 중단된 상태이다. 이로써 현재 상용비자로는 최장기간 3개월까지가 최대라고 볼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최근 한국이 베트남에게 베푼 비자 완화는 상당히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인이 기대하는 베트남 비자 완화 정책은 아직 실현단계는 아니지만,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논의되는 만큼 베트남 내 진출한 회사나 진출을 앞둔 기업들은 상용비자 발급 시 주의가 필요하다.

베트남 전문비자 탑비자 구회성 대표는 “아직까지는 가능성만 이야기 하는 단계이며, 한국인들이 기대하는 비자완화 기준이 적용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베트남의 상이한 비자 발급 정책에 따라 현지 이민 혹은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면, 전문 비자 업체와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다는게 업계 설명이다.

대한항공 체크인 카운터에서도 “당일날 비자문제를 겪는 여행객들이 많이 있다”고 전했다. 또 “비자문제를 겪는 여행객이 비자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안전한 비자업체들을 사전에 확인하고 추천한다”고 전했다.
여행객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베트남 긴급 비자 업체는 탑비자(대표:구회성)인데 새벽과 저녁에도 상담이 가능했으며, 가장 빠른 피드백을 하고 있어서 여행객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베트남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 직원도 “베트남에 가기 전, 비자 발급 유무와 안전한 비자 발급이 가능한 업체인지를 꼼꼼히 체크하고 준비해야 한다”설명했다.

 

[호치민 라이프플라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360 몽골 염소털 1kg당 4-8만 투그릭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5.
11359 몽골 민주당 국립정책위원회 후보에 등록증 수여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5.
11358 몽골 [몽골 특파원] 뉴욕 타임즈가 예상한 트럼프-김정은 회담 장소 file GWBizNews 18.03.16.
11357 몽골 등록된 실업자 감소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6.
11356 몽골 2017년에 통과 법, 국가 인장 행사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6.
11355 몽골 교육문화과학부 차관 사임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6.
11354 몽골 인도 국회에 몽골-인도 우호관계를 위한 단체 건립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6.
11353 몽골 인민당 7명 의원 ‘진보주의 협회’ 설립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6.
11352 몽골 S.Bayar 부정부패방지청에 의해 10시간 동안 조사를 받아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6.
11351 몽골 부정부패방지청 조사단 시청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03.16.
11350 몽골 [몽골 특파원] 트럼프-김정은 회담, 북중 국경 지대 광물 동결 풀까? file GWBizNews 18.03.18.
11349 몽골 50~59세 몽골 남성들 중 88 퍼센트가 병역 의무 수행 완료 file GWBizNews 18.03.19.
11348 몽골 2018년에 오유톨고이 광산 12만5천-15만5천 톤 구리 채굴 계획 file 몽골한국신문 18.03.20.
11347 몽골 원유정제 공장 설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 완료 file 몽골한국신문 18.03.20.
11346 몽골 연체 및 부실대출 2조 투그릭에 달해 file 몽골한국신문 18.03.20.
11345 몽골 러시아 대통령, 바트톨가 대통령 생일 축하 서한 file 몽골한국신문 18.03.20.
11344 몽골 산업 분야 활발해져 file 몽골한국신문 18.03.20.
11343 태국 국제학교에서 경비원이 학생 성추행 file 태국교민잡지 18.03.20.
11342 태국 ▶ 뉴욕 주립대학 조사 결과, 9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요 브랜드 생수 90% 이상에 플라스틱 입자 혼입 file 태국교민잡지 18.03.20.
11341 몽골 금융 사이버 범죄 주의 file 몽골한국신문 1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