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표창원).jpg

세계한인민주회의 호주민주연합(대표 김종국)의 초청으로 호주를 방문, 오는 2월2일(토) 시드니 동포들과 토크 콘서트를 갖는 표창원 의원(사진). 이번 콘서트에서 표 의원은 100년 한국의 역사를 통해 민주주의를 세운 선조들의 혜안을 살펴보며, 한국의 현재와 미래를 논하고, 한국과 호주의 동포들 간의 미래에 대한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는 2월1일(금), ‘호주 동포와 꿈꾸는 대한민국 100년’ 주제로

 

세계한인민주회의 호주민주연합(대표 김종국)은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53)을 초청, ‘호주 동포와 꿈꾸는 대한민국 100년’을 주제로 2월 2일(토) 표창원 토크 콘서트를 개최한다.

세계한인민주회의 호주민주연합은 금주 수요일(9일) 오후 12시 동포 미디어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표 의원은 이번 토크 콘서트에서 한국의 소식과 함께 2019년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을 맞아 3.1운동으로 촉발된 민족 자주독립의 기운과 과거 왕이 다스리던 봉건주의(군주국가)에서 벗어나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인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했던 차별이 없는 나라, 인권이 존중되는 나라를 세우기 위한 우리 선조들의 혜안을 이야기 할 예정이다.

또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해에서 한국 독립유공자들이 수립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연원 및 변천사를 통해 지난 100년 한국의 역사와 미래를 살펴보고, 이에 대해 한인 동포들과 토론하는 시간도 갖는다.

표창원 의원은 국회의원이 되기 전 한국 내에서 가장 유명한 범죄 프로파일러, 범죄학자, 교수, 작가, 방송인 등으로 다방면에서 활동해왔다. 오랫동안 경찰대학 교수로서 강의를 해 오던 그는 현 정부 이전,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인재영입 위원장이 발탁한 ‘영입 인재 1호’로 민주당에 입당했으며 이후 20대 총선에서 경기도 용인시(정) 선거구에 출마, 51.6%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표 의원은 특히 범죄심리학 분야의 전문가로 인정받아 여러 방송매체를 통해 범죄 사건이나 경찰 및 검찰에 관련된 사건에서 의견을 피력해온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국회의원 당선 후 표 의원은 시사 예능(‘썰전’, ‘강적들’ 등)이나 뉴스 위주로 방송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국회의원으로서는 드문 경찰 출신이라는 이력을 바탕으로 현재는 법제사법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표 의원은 시드니 일정을 마치고 6일부터 뉴질랜드로 이동, ‘좋은 세상 뉴질랜드 한인모임’(대표 곽상열) 주최로 진행되는 ‘오클랜드 교민들을 위한 강연회’ 및 뉴질랜드 정부 공식 초청 일정을 이어갈 예정이다.

 

■ 토크 콘서트 일정

-일시 : 2019년 2월 2일(토) 오후 4시~7시

-장소 : The Sydney Latvian Theatre(32 Parnell St, Strathfield)

-참석 신청 : 전자메일(dcwkaust@gmail.com) 또는 문자 메시지(0401 093 385). 참석자 이름을 밝혀야 함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표창원).jpg (File Size:62.8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03 호주 NSW 주민들, 빠르게 타 지역으로 이주 호주한국신문 15.04.02.
2402 호주 NSW 주 정부 ‘개혁 패키지’, 카운슬 합병 강행 호주한국신문 15.04.02.
2401 호주 시드니 인구, 1년 내 500만 명 돌파할 듯 호주한국신문 15.04.02.
2400 호주 “영국은 왜 호주군을 갈리폴리 작전에 배치했던가?” 호주한국신문 15.04.02.
2399 호주 터키인의 시각에서 본 갈리폴리 전투 호주한국신문 15.04.02.
2398 호주 자유-국민 재집권 성공... 베어드, 새 정부 출범 호주한국신문 15.04.02.
2397 호주 “베어드의 승리, 애보트에겐 좋은 소식만은 아니다” 호주한국신문 15.04.02.
2396 호주 베어드, ‘개혁 패키지’ 위한 일부 개각 단행 호주한국신문 15.04.02.
2395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현 수준 동결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4.09.
2394 호주 시드니, ‘도심 고층화’ 현상 뚜렷... 맨해튼 닮아가 호주한국신문 15.04.09.
2393 호주 총영사관, ‘워홀러’ 대상 ‘드림캠프‘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4.09.
2392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QLD 순회 영사 호주한국신문 15.04.09.
2391 호주 “독도영유권 교과서 검정 당장 백지화하라” 호주한국신문 15.04.09.
2390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 “계속되지는 않을 것” 호주한국신문 15.04.09.
2389 호주 호주인 30%, 건강식 및 바른 식습관 ‘혼동’ 호주한국신문 15.04.09.
2388 호주 120년 전의 시드니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호주한국신문 15.04.09.
2387 호주 노동당 루크 폴리 대표, NSW 야당 내각 구성 호주한국신문 15.04.09.
2386 호주 시드니의 ‘솔로들’, ‘성공한 여성’ 아니면 ‘고독한 남성’ 호주한국신문 15.04.09.
2385 호주 토니 애보트 수상, ‘불법 마약과의 전쟁’ 선포 호주한국신문 15.04.09.
2384 호주 인도네시아 행정재판소, ‘발리나인’ 항소 기각 호주한국신문 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