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학졸업자).jpg

‘2018년 졸업생 성과 조사’(2018 Graduate Outcomes Survey) 결과 약대 졸업생들이 가장 높은 취업률(정규직)을 보였으며, 창조예술 전공자들은 졸업 후 일자리를 구하는 데에 가장 힘겨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8년도 졸업자들의 73%가 졸업 후 4개월 안에 취업에 성공,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한 대학교의 졸업식 현장.

 

정규직 취업률 1위는 약대 졸업생, 창조예술 분야 전공자 취업률 가장 낮아

 

지난 1월11일(금), NSW 주 고등학교 졸업생 수천 명이 2019년도 1차 대학교 합격 통지서를 받은 데 이어 다른 주(State) 대학입학 결과도 발표됐다. 대학에 진학하는 청소년들은 졸업 후 취업률을 감안해 전공을 선택하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대학 졸업생들이 마주하는 취업 시장의 현실은 과연 어떨까?

NSW 주 대학 합격자 발표가 있던 지난 금요일(11일), ABC 방송은 연방정부의 설문조사를 인용, 대졸자들의 전공별 취업 상황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을 보도,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 연방 정부가 12만 명 이상의 대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2018년 졸업생 성과 조사’(2018 Graduate Outcomes Survey)에 따르면 대졸자의 4분의 3가량이 졸업 후 4개월 내 취업에 성공했다.

그러나 전공별로 큰 차이가 있다. 약학 전공자들은 졸업과 거의 동시에 일자리를 구해 4개월 내 정규직 취업률이 97.2%에 달했다. 이어 의대 졸업생들의 정규직 취업률이 94.9%로 뒤를 이었다. 재활치료, 치과, 수의학, 엔지니어 전공자 또한 높은 취업 전망을 보여줬다.

한편 일부 전공은 취업 전망이 훨씬 낮았다. 창조예술 분야 전공자의 경우 단기간 내 정규직 고용률은 52.2%로 가장 낮았으며 관광, 서비스업,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전공자들도 59.6%로 취업률 하위권에 기록됐다. 심리학 전공자들 또한 3분의 1이 일자리를 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여러 학과를 공부한(generalist degrees) 이들도 졸업 후 단기간 내에 취업하기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 아니라 학교에서는 일명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s)이라고 하는 과학-기술 -엔지니어링-수학이 다른 과목보다 더 강조되고 있지만, 이 분야도 졸업 후 4개월 내 취업에 성공한 비율은 64.6%에 그쳐 그리 높지 않은 취업률이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대학교 학위가 있을 경우 취업률이 높고 연봉도 많으며 특히 대학원 졸업생들이 가장 큰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 졸업 후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57%가 ‘대학교에서의 전공이 현재 직업에 중요하다고 느낀다’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정규직 및 파트타임으로 근무하고 있는 39%의 졸업생들은 자신이 가진 기술과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대학교 학위,

장기적으로 유용하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일자리 전망이 낮은 학문 분야 졸업생들이 전공과는 완전히 다른 직업에 취업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학교 학위가 정규직 취업과 보수에 장기적으로 얼마나 유용할까?

2018년도 졸업자들의 73%가 졸업 후 4개월 안에 취업에 성공해 2014년 이후 최대의 비율을 나타냈다. 10년 전, 세계금융위기가 있기 바로 이전, 이 수치는 85%에 달했다. 이후 졸업생들이 노동시장에서 살아남기가 점차 더 어려워진 가운데 호주 대학협회(Universities Australia. UA)는 “이번 결과는 상당히 고무적”이라는 반응이다.

UA의 앤-마리 랜스다운(Anne-Marie Lansdown) 부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대학교육이 지속적으로 투자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학생들이 직업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대학들이 잘 준비시켜 졸업생에 대한 고용주의 만족도가 크게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댄 테한(Dan Tehan) 교육부 장관은 “대학교육은 성공과 번영으로 향하는 강력한 길”이라며 올해 대학에 입학한 모든 이들에게 “대학 입학은 엄청난 기회임과 동시에 자신의 야망을 깨달아가는 디딤돌로 삼을 것”을 조언했다.

한편 연방 정부는 지난해 대학교 전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Course Seeker(https:// www.courseseeker.edu.au) 사이트를 개설했다.

 

■ 2018년 정규직 고용률

상위 5개 전공

-약학 : 97.2%

-의학 : 94.9%

-재활치료 : 89.3%

-치의학 : 86.8%

-수의학 : 84.7%

(해당 수치는 각 전공별 노동참여율을 반영한 것임)

 

■ 2018년 정규직 고용률

하위 5개 전공

-창조예술 : 52.2%

-관광, 호스피텔리티, 개인 서비스,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 59.6%

-커뮤니케이션 : 60.5%

-인문학, 문화 사회 과학 : 64.3%

-심리학 : 64.5%

(해당 수치는 각 전공별 노동참여율을 반영한 것임)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대학졸업자).jpg (File Size:88.1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01 호주 ASEAN-호주, 대북 압박 기조 유지 톱뉴스 18.03.23.
2800 호주 산불 초토화 NSW 타쓰라 마을…가옥 100채 이상 파손 톱뉴스 18.03.23.
2799 뉴질랜드 저렴한 항공기 비용,학기 중 휴가 떠나는 학생들 수 늘어나 NZ코리아포.. 18.03.23.
2798 뉴질랜드 남성이거나...부모가 비만이거나...어린 시절 상황이 성인 비만과 연관 NZ코리아포.. 18.03.23.
2797 뉴질랜드 뉴질랜드 담배 공급 두 회사, 과당 경쟁으로 법정에... NZ코리아포.. 18.03.23.
2796 호주 시드니 거주민들, ‘도시 확대’에 대한 거부감 강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95 호주 올 7월부터 고령연금 수급 연령 등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94 호주 서부 시드니 지역 임금착취 심각... 사업체 60%가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93 호주 시드니 야간 경제 파탄... 새 정책이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92 호주 2018 러시아 월드컵, 32개국 전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91 호주 호주 여행업, 중국인 이어 인도인 급증으로 ‘호황’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90 호주 호주 여성에게 총기 발사한 미 경찰관, 살인혐의 인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9 호주 10대 인스타그램 스타들, ‘셀프 마케팅’ 비법이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8 호주 NSW 주 정부, 특정 지역 고밀도 주택단지 추진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7 호주 시드니, ‘2018 전 세계 고물가 도시’ 열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6 호주 NESA, ‘컴퓨터’ 기반의 HSC 시험 도입 ‘연구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5 호주 Job's yours... “직장 구하려면 담배 먼저 끊어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4 호주 “호주, 소득 불평등 시작되고 있다”... 키팅 전 총리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3 호주 캔터베리-뱅스타운 지역 범죄, 지난 3년 사이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2 호주 시드니 경매 화제- 뉴타운의 폐허 테라스 주택, 105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2.
2781 뉴질랜드 오바마 전미국대통령 방문, NZ에 긍정적인 혜택 예상 NZ코리아포.. 18.03.22.
2780 뉴질랜드 세계적 럭비 선수 조나 로무, 이름 딴 길 개통 예정 NZ코리아포.. 18.03.22.
2779 뉴질랜드 흡연, 건강 뿐 아니라 구직도 어렵게 해 NZ코리아포.. 18.03.22.
2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순수 이민 입국자수, 여전히 기록상 높은 편 NZ코리아포.. 18.03.22.
2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사생활 보호 규정 강화될 예정 NZ코리아포.. 18.03.21.
2776 뉴질랜드 NZ미드와이프 부족, 호주에서 갓 졸업한 인력 투입 예정 NZ코리아포.. 18.03.21.
2775 뉴질랜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전용기로 오클랜드 도착 NZ코리아포.. 18.03.21.
2774 뉴질랜드 150년 역사 뒤로 하고 문 닫는 캐드버리 더니든 공장 NZ코리아포.. 18.03.20.
2773 뉴질랜드 보호종 돌고래, 그물에 걸려 5마리나 죽은 채 발견돼 NZ코리아포.. 18.03.20.
2772 뉴질랜드 환자에게 폭행당해 응급실에 실려간 정신병원 간호사들 NZ코리아포.. 18.03.20.
2771 뉴질랜드 주인들 “기후변화가 가져올 새로운 위험에 대한 이해 필요해” NZ코리아포.. 18.03.20.
2770 뉴질랜드 아던 총리, 뉴질랜드에서 석유 및 가스 발굴 금지 방안 검토 중 NZ코리아포.. 18.03.20.
2769 뉴질랜드 학생비자 인도 여성들, NZ입국 원하는 인도 남성들에게 이용당해 NZ코리아포.. 18.03.20.
2768 뉴질랜드 환자에게 폭행당해 응급실에 실려간 정신병원 간호사들 NZ코리아포.. 18.03.20.
2767 뉴질랜드 큰 파도 만나 절벽 붙잡고 버틴 끝에 간신히 구조된 스노클러들 NZ코리아포.. 18.03.19.
2766 뉴질랜드 오클랜드 남-북부 2만 3천 세대 신규 주택 건설, 장기적으로... NZ코리아포.. 18.03.19.
2765 뉴질랜드 세계적인 "미 투" 캠페인, 뉴질랜드에서도... NZ코리아포.. 18.03.19.
2764 뉴질랜드 자전거 헬멧 ‘선택사항’으로 변경하지는 캠페인 진행, 일반인 호응은 크지 않아 NZ코리아포.. 18.03.18.
2763 뉴질랜드 공짜 해외여행 유혹에 걸려 감옥살이 하게된 마약 운반책들 NZ코리아포.. 18.03.18.
2762 뉴질랜드 첫 주택 구입자 절반은 투자용, 주택 소유 개념 바뀌어 NZ코리아포.. 18.03.17.
2761 뉴질랜드 UN조사, 뉴질랜드 사람이 호주 사람보다 더 행복한 생활 NZ코리아포.. 18.03.17.
2760 뉴질랜드 과거 러시아 스파이, 가짜 뉴질랜드 신분으로 활동 NZ코리아포.. 18.03.16.
2759 뉴질랜드 부정한 돈 : 매년 뉴질랜드에서 $1.35 billion 자금 세탁 NZ코리아포.. 18.03.16.
2758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출산 임박 산모, 경찰 도움으로 병원 도착 후 출산 NZ코리아포.. 18.03.16.
2757 뉴질랜드 오클랜드 신규 주택 부지, 30년 전에 비해 1/3 정도 줄어들어 NZ코리아포.. 18.03.16.
2756 호주 호주 인구 진단- 고령화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2755 호주 호주 인구 진단- 인프라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2754 호주 호주 중앙은행, “토지개발 제한이 집값 40% 상승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2753 호주 비명과 탄성은 기본, World's 11 most amazing pedestrian walkways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2752 호주 ‘Jack Irish’ 시리즈의 범죄소설 대가, 피터 템플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