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2.jpg

 

BC주 이미 1명 발병 보고

필리핀·인도·유럽도 예외없어

워싱턴주 35명 확진환자 발생

 

전 세계적으로 선진국 후진국 가릴 것 없이 홍역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확진 환자가 증가하고 BC주에 접한 워싱턴주에서도 35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하면서 BC주 보건관계 당국이 주의령을 발령했다.

 

BC질병관리본부(BC Centre for Disease Control, BCCDC)는 지난 25일 워싱턴주주지사가 워싱턴주에 홍역 사태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고 전했다. 워싱턴주 바로 아래에 위치한 오리건주에서도 1명의 확진 환자가 보고됐다.

 

질병관리본부는 "26일 현재, 아직까지 워싱턴주로부터 홍역에 감염됐는다 보고는 없다"고 밝히고, "그러나 워싱턴주와 바로 접해져 있고 왕래가 많기 때문에 아직 홍역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감염자하고 노출될 가능성은 높다"고 우려했다. 

 

28일까지 워싱턴주에서 홍역 확진판정을 받은 환자는 모두 35명이다.. 이 중 34명은 남부 클라크카운티에서 나왔다. 다른 1명은 시애틀이 있는 킹 카운티에서 보고됐다. 확진 환자 대부분은 10세 미만으로 최근 대형마트와 공항 등에 다녀온 뒤 감염됐다. 클라크카운티는 컬럼비아강을 사이에 두고 오리건주의 주도인 포틀랜드와 맞닿은 곳이다. 환자 1명이 지난주 포틀랜드에서 열린 농구경기에 다녀간 것으로 확인돼 더 퍼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BC질병관리본부는 대부분 BC주민이 홍역 예방주사를 맞아 면역력을 갖고 있지만 1년 미만의 영유아는 면역이 생기기 전이라 위험하다고 조심할 것을 당부했다.

 

홍역은 전염성이 강해 호흡기관 분비물 뿐만 아니라, 기침이나 재채기 등 공기로도 감염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미국으로 여행을 떠나기 전에 예방주사 접종 영부 등 홍역 관련 면역상태를 확인할 것을 강조했다.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을 예방해주는 혼합백신인 MMR 백신이 홍역예방 백신으로 병원, 가정의, 그리고 많은 약국에서 접종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BC주에서는 아기가 태어나서 첫 12개월 안에 2회 용량의 홍역면역 백신 주사를 맞게 되어 있다. 4살 또는 취학하기 전에 2번째 접종을 한다. 또 1970년 이후 출생자로 취학연령 어린이나 대학생, 그리고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에게도 2회 용량의 접종이 권고된다. 

 

BC주에서는 홍역 발병이 매년 몇 건이 발생했는데, 주로 홍역이 확산된 지역을 방문하고 온 경우다. BC주에서는 2010년과 2014년에 홍역이 크게 확산된 적이 있다. 2018년도에도 6건의 홍역이 질병관리본부에 보고됐다. 이들 중 2명은 인도와 필리핀을 각각 방문하고 온 여행자이다. 나머지 4명의 감염자는 외국에서 감염된 환자에 의해 전염된 경우다.

 

2019년 현재 한 건의 홍역 환자가 감영보고가 됐는데, 이 환자는 필리핀에서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성인이다. 밴쿠버지역에도 인도계나 필리핀계 이민자가 많아 이들의 필리핀 방문이 잦기 때문에 워싱턴주 뿐만 아니라 홍역이 만연하는 지역 방문자로부터 전염될 가능성도 높다. 특히 최근에는 베트남·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 이탈리아·프랑스·그리스 등 유럽국가에서 홍역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민자의 비율이 높은 밴쿠버는 취약할 수 밖에 없다.

 

현재 한국에서도 홍역 전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면서 이번 설날 해외여행에 주의하라고 한국 질병관리본부가 안내를 했다.

 

만약 홍역에 감염이 의심되거나, 홍역 증상을 보이면 811번으로 전화를 해 간호사에게 상태를 알려야 한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1. 1.jpg (File Size:19.2KB/Download:14)
  2. 2.jpg (File Size:224.9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457 캐나다 BC 교육부, 오카나간 지역 83번 교육청 위원회 해산시켜 밴쿠버중앙일.. 16.06.18.
8456 미국 미국 대학교육 이수 부적격 학생 부지기수 코리아위클리.. 16.06.18.
8455 미국 혼이 나가버린 올랜도.... '세상에서 가장 슬픈 도시'가 되다 코리아위클리.. 16.06.19.
8454 캐나다 거침없는 노틀리 주수상, “내뱉은 말은 반드시 실천” CN드림 16.06.21.
8453 캐나다 연방 정부와 BC, 메트로 지역 교통 투자 합의 밴쿠버중앙일.. 16.06.21.
8452 캐나다 도슨 크릭 홍수, 다리 난간에 걸린 차량 일가족 구한 영웅들 화제 밴쿠버중앙일.. 16.06.21.
8451 캐나다 밴쿠버 경찰, "약물복용자들 경찰 두려워해 현장 출동 최소화" 밴쿠버중앙일.. 16.06.21.
8450 미국 올랜도 뒤덮은 5만 촛불 "동성애자도 보호 받아야" file 코리아위클리.. 16.06.21.
8449 캐나다 클락 수상 홍수 피해 지역 방문, 복구 예산 6천 5백만 달러 지원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8 캐나다 웨스트밴 경찰, 곰 습격 차량 사진 공개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7 캐나다 코퀴틀람 노숙인 보호시설 폭탄 신고, 다행히 폭탄 발견되지 않아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6 캐나다 폐교 반대 리치몬드 학부모들, 얍 MLA 사무실 앞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5 캐나다 밴쿠버 교육청 폐교 후보 명단 발표, 대부분 초등학교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4 캐나다 또 다시 핏불에 물린 부상자 발생, 이번에는 써리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3 캐나다 포트만 요금 피하는 영상 인터넷에 올라와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2 캐나다 범죄율 증가 칠리왁, 게츠 시장 "경찰 인력 증원 필요"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1 미국 교과서 공부를 비즈니스 하듯 신중히 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16.06.25.
8440 미국 플로리다 인기 주택시장… 큰 곳은 중부에 몰려 코리아위클리.. 16.06.25.
8439 미국 미국 사회의 회색지대, ‘슈가대디’ 원조교제 사이트 코리아위클리.. 16.06.25.
8438 미국 연방수사국, 올랜도 총기난사 사건 타임라인 밝혀 코리아위클리.. 16.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