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마이애미 지역 성형외과서 8명 사망이 발단

 

 

butt.jpg
▲ 마이애미지역 NBC 방송사가 플로리다 주 하원에 오른 성형 관련 법안 내용을 보도하고 있다.
 
(마이애미=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 주 하원의원이 치명적인 성형외과를 처벌할 수 있도록 하자는 법안을 내놓았다. 주인공은 마리아 페레즈와 마이크 살라 의원이다.
이 법안을 제출한 동기는 최근 8명의 여성이 마이애미 성형외과에서 수술을 받은 후 사망한 데 따른 것이다.

법안의 대략적 골자는 주정부가 사고 병원과 의사들이 수년 동안 성형외과 시설에서 일하는 것을 금지하고 병원도 페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5일 제출된 이 법안은 8명의 여성이 마이애미 지역 성형외과에서 전문 교육을 받지 않은 의사들이 하루에 8차례까지 수술을 한 후 사망한지 며칠만에 나온 것이다. 환자 가족들은 이 성형외과의 불법 수술 라인을 공장 조립라인(factory assembly line)이라고 부른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과정에서 장에 구멍이 난 후 입원한 두 명의 여성을 포함한 성형 환자들의 사망과 부상에도 불구하고, 주 정부는 이 시설들이 계속 가동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법안 지지자 중 하나인 공화당 아니테레 플로레스 주 상원의원은 "환자들은 안전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 미 전역에서 (플로리다로 오는) 사람들도 있었기 때문에 이 문제는 국가적인 문제"라고 주장했다.

성형외과가 있는 지역에 선거구를 두고 있는 플로레스 의원은 "젊은 성형환자를 가진 가족에게는 가슴 아픈 사건으로, 그들은 기대를 품고 왔던 이곳에 와서 생의 마지막을 맞았다"고 가슴 아파 했다.

사건의 발단이 된 성형외과는 졸리 성형외과(Jolly Plastic Surgery)로 알려졌다. 이 성형외과는 여러명의 투자자가 소유하고 있으며, 매년 전국에서 할인 가격과 소셜 미디어 광고로 수천 명의 여성을 끌어들이는 플로리다 내 12개 이상의 고액 성형외과 중 하나로 밝혀졌다.

패쇄 당할 경우 5년 동안 문 못 열어

지금까지 주 보건부는 환자가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했을 때 시설을 폐쇄할 수 없었다고 했지만, 이번에 제출된 법안은 주 정부에게 이 병원들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이 법안은 의사들만 성형외과 시설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 패쇄당할 경우 이를 소유한 의사는 최소 5년 동안 다른 시설을 운영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법안은 등록되지 않은 병원을 운영하는 의사가 적발될 경우 상당한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환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시술은 성형수술의 가장 위험한 절차 중 하나인 '브라질 엉덩이 들어올리기'(Brazilian butt lift)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이애미에서 인기 있는 이 '힙업' 시술은 지난 5년 동안 플로리다에서 수많은 사망자를 낳았고, 결국 이번에 이를 규제하는 법안 제출에 까지 이르도록 했다.

이 수술을 받고 있는 여성들 중 4명은 의사들이 실수로 근육 깊숙이 체지방을 주입하고 혈관을 찢은 후 사망했으며, 이는 몇 분 만에 사망하는 치명적인 색전증을 만들어 낸 것으로 기록과 인터뷰에 나타났다.

2016년 성형 수술 중 의사의 중대한 실수로 29세의 딸이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태미 메도스 라는 남성은 제출된 법안에 대해 "오랜 전에 통과되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2세, 8세 딸을 두고 있는 메도스는 “플로리다 주 정부가 어떻게 그같은 병원을 계속 운영하게 할 수 있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는 것을 볼 때 정부가 이를 멈추게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번에 제출된 법안을 통과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그동안 주 하원이 각종 의료수술 면허에 까다로운 절차를 추가하려 했으나 실패해 왔고, 이번에 제출된 법안의 핵심 사항들 중 ‘의사들이 5년 동안 다른 시설로 옮겨가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너무 심하다는 것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877 캐나다 대면 수업 유학생만 9월 새 학기 캐나다 입국 가능 밴쿠버중앙일.. 20.08.14.
3876 캐나다 12일 BC주 코로나19 새 확진자 85명 발생 밴쿠버중앙일.. 20.08.14.
3875 캐나다 써리 거리 주차 시비로 차 파손 밴쿠버중앙일.. 20.08.14.
3874 캐나다 BC 코로나19 재유행 막기 위한 특단 조치 요구 밴쿠버중앙일.. 20.08.15.
3873 캐나다 재난지원금 연장보다 EI 적용 확대 밴쿠버중앙일.. 20.08.15.
3872 캐나다 주립공원 당일예약제 불만 고조 밴쿠버중앙일.. 20.08.15.
3871 미국 민주-공화 대선후보 수락연설, '나홀로 집에서'? file 코리아위클리.. 20.08.16.
3870 미국 뉴욕주, '부정부패' 혐의 전미총기협회 해산 소송 제기 file 코리아위클리.. 20.08.16.
3869 미국 트럼프, 실업급여 400불 추가 지급 등 행정명령 서명 file 코리아위클리.. 20.08.16.
3868 미국 재개장 디즈니월드 테마공원, 다음달 운영시간 단축 file 코리아위클리.. 20.08.16.
3867 미국 오렌지 카운티, 이번엔 '마이크로-그랜트' 무상보조금 풀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8.16.
3866 미국 주정부, 세입자 퇴거 임시 중지 9월초로 재차 연장 file 코리아위클리.. 20.08.16.
3865 미국 "올해 허리케인, 당초 예상치 훨씬 웃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8.16.
3864 캐나다 코로나19? 트럼프 때문? 밴쿠버 공권력 인종차별 악화 밴쿠버중앙일.. 20.08.18.
3863 캐나다 밴쿠버 오존 주의보 발령 밴쿠버중앙일.. 20.08.18.
3862 캐나다 한국 경제성장률 OECD 국가 중 1위...캐나다는? 밴쿠버중앙일.. 20.08.18.
3861 캐나다 버나비가 위험하다...17일 새벽 2건의 총격사건 밴쿠버중앙일.. 20.08.19.
3860 캐나다 중고등학생 개학하면 마스크 착용하고 등교해야 밴쿠버중앙일.. 20.08.19.
3859 캐나다 BC 주말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최다기록 갱신 밴쿠버중앙일.. 20.08.19.
3858 캐나다 ICBC 비대면 서비스 강화 밴쿠버중앙일.. 2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