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뉴욕타임스반박-2.jpg

 

 

위안부 피해자이자 인권운동가 김복동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전한 뉴욕타임스에 일본 정부가 허위의 내용이 있는 서한을 실은 것과 관련,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이를 강하게 반박하는 반론(反論)을 제기했다.

 

서경덕 교수는 18일 일본 정부의 입장이 명백히 사실과 다르다는 내용의 서한을 뉴욕타임스 편집장에게 서한을 보냈고, 뉴욕타임스 편집부 대표 이메일로도 함께 전송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지난 7일 외무성 대변인 명의의 서한을 통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여러차례 위안부에 대해 성실한 사죄(謝罪)와 회한(悔恨)의 뜻을 전했다”며 “이미 위안부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시키려 노력했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조치도 취하고 있다”는 내용을 뉴욕타임스 홈페이지에 실은 바 있다.

 

서경덕 교수는 "일본 정부의 거짓된 주장을 뉴욕타임스에 정확하게 알려주고 싶어 이번 일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전면광고를 뉴욕타임스에 꾸준히 게재해 온 서 교수는 서한과 이메일에 “일본 정부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일본 정부측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를 직접 찾아 뵙고 진정성있는 사죄를 한 적이 단 한번도 없다"고 반론했다.

 

 

뉴욕타임스반박-1.jpg

 

 

또한 일본측 서한에서는 배상 문제도 해결이 끝났다며 또다시 1965년 청구권 협정을 언급하는 등 일본 정부측의 일방적인 기존 주장만 뉴욕타임스에 되풀이 했다.

 

이에 서 교수는 “이미 화해치유재단은 해산된 데다, 일본의 출연금 10억엔을 돌려주겠다는 한국 정부의 방침이 확정된지 오래 됐다”고 정확히 반론했다.

 

이어 서한 마지막에는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에 관해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역사왜곡만을 일삼고 있다. 지난 1월말 뉴욕타임스의 기사처럼 앞으로도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역사적 사실들만 계속해서 기사화를 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경덕 교수는 “산케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앞으로도 외신 보도에 반론을 적극 제기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는데, 우리 역시 일본 정부의 반론에 또 재반론을 하여 역사왜곡을 꾸준히 바로 잡겠다”고 덧붙였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세계위안부기림일’ 영어영상 (2018.8.14.)

서경덕교수팀 역사은폐 일본정부 고발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7943

 

  • |
  1. 뉴욕타임스반박-2.jpg (File Size:120.1KB/Download:30)
  2. 뉴욕타임스반박-1.jpg (File Size:106.6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 ‘제주4·3, 이름 찾기(正名)’ 학술대회 개최 file 뉴스로_USA 18.10.26.
488 17차 세계한상대회 폐막, 청년 일자리 창출 적극 나서 file 코리아위클리.. 18.10.26.
487 소이현-박하선 “10월 26일 안중근 의거일 잊지마세요” file 뉴스로_USA 18.10.30.
486 서경석-백하륜, 中하얼빈 한글학교 교육물품 기증 file 뉴스로_USA 18.10.30.
485 ‘제주4·3 미국책임’ 10만인 서명 美대사관 전달 file 뉴스로_USA 18.11.03.
484 박중훈, 유네스코 세계유산 ‘판소리’ 알린다 file 뉴스로_USA 18.11.03.
483 사건인가, 항쟁인가, 운동인가 file 뉴스로_USA 18.11.03.
482 ‘한반도 평화와 해외동포의 역할’ 정책포럼 file 뉴스로_USA 18.11.03.
481 재외동포재단, 러시아·CIS 지역 고려인 동포 초청 file 코리아위클리.. 18.11.03.
480 춘천중도 선사유적지에 레고랜드 공사 충격 file 뉴스로_USA 18.11.06.
479 “남북교류 백두산호랑이 도입 국회청원” file 뉴스로_USA 18.11.07.
478 한국의 유명 관광지가 된 K-Style Hub file 뉴스로_USA 18.11.18.
477 재외동포재단 초청장학생들, 한국 역사문화체험 file 코리아위클리.. 18.11.19.
476 “자고 일어나면 바뀌는 평양” 로창현기자 강연 file 뉴스로_USA 18.11.25.
475 강명구 DMZ 마라톤으로 피날레 file 뉴스로_USA 18.11.30.
474 부활 김태원, ‘종묘제례’ 국내외 알린다 file 뉴스로_USA 18.12.08.
473 재외동포재단, 영주귀국 사할린 동포에 위문품 전달 file 코리아위클리.. 18.12.12.
472 “환상적인 한국의 의료관광” file 뉴스로_USA 18.12.14.
471 왜곡된 독립운동가 정보 제보해주세요 file 뉴스로_USA 18.12.15.
470 대학생 2018명 올해의 인물 '방탄소년단', file 뉴스로_USA 18.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