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100인과 함께 한 제100주년 삼일절 기념식이 3월 1일 낮 4시 30분에 오클랜드한인회 주관으로 한인회관에서 열렸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이 자리에는 주오클랜드 분관 홍배관 총영사, 김윤호 참사관, 멜리사 리 National Party 의원, 안기종 민주평통 회장 및 교민 2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어린이, 청소년 등이 100명 이상 참석하여 청년, 장년, 노년 층이 다양하게 어우러진 매우 의미있는 행사로 진행이 되었다.

 

이날 행사는 오클랜드의 단체장 20인이 각 독립유공자 이름 휘장을 두르고 행사장에 등장하여 한사람씩 소개 되는 퍼포먼스로 시작이 되었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공식 행사에서 박세태 한인회장은 "우리 민족이 더 이상 가슴 아픈 역사가 더 이상 반복되지 않고 단절되기 위해서는 이제는 우리 모두가 종교, 철학 등의 다름을 초월한 정신적 일치 단결이 필요함"의 내용으로 기념사를 전했고 이어서 홍배관 총영사의 대한민국 대통령 기념사 대독이 진행되었다.  이어 유승재 한민족한글학교 BOT의장의 기미독립선언문 낭독과 한일수 박사의 '3.1절 100주년의 의미와 우리의 각오'라는 주제의 특강 그리고  '더 좋은 세상 뉴질랜드한인 모임'의 Honouring 위안부 주제의 스페셜 영상 시청의 시간이 마련되었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특히 공식 행사 후 청소년, 청년, 장년, 노년 등 각 세대 대표들의 소감을 발표하는 시간이 있었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청소년 대표로 오클랜드 한국학교 중학교 3학년 홍지윤 양은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7인의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옥중에서 부른 노래 가사를 낭독하며, "사진으로만 보았던 유관순 열사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되었고 순국열사, 애국지사가 있어 우리가 이 곳에 있을 수 있는 것이며 이 자리에서 독립유공자와 어르신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다."의 소감을 발표하여 참석한 교민들께 가장 큰 박수를 받았다.

 

청년 대표로 나온 오클랜드대학교 K-POP Planet 김민석 회장은, "10살에 이곳으로 이민을 왔다. 나는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삼일절, 민주화운동, 대통령 탄핵 등이 어떻게 대한민국에서 가능했나 궁금하여 어머님께 여쭈어 보았더니 그것은 바로 '우리는 다음 세대를 생각해서이다.' 라는 말씀을 하셨다. 나는 정말 한국인이라는게 자랑스럽다."라고 소감을 발표했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장년 대표인 김승현 상공인연합회 사무총장은, '지난 100년과 달리 앞으로의 100년은 더욱 화합하고 젊은 세대와 힘차게 나아가자.'의 강한 메시지를 전하였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노년 대표 96세 최남규 어르신은, 행사에 참석한 청소년을 향해 '우리 스스로가 건강을 지켜 수신제가치국평천하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이날 행사장에는 유승재 의장 본인이 직접 붓으로 작성한 기미독립선언서 전문과 당시 배포한 선언서(사본)이 전시되었고, 100주년 기념 케익과 특히 사단법인 예명원에서 만든 태극기 100개 꽃꽂이 장식은 매우 아름다와 교민들의 기념 촬영 장소가 되었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2시간에 거쳐 진행된 이날 행사는 의미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재미있게 역사를 이해하고 다양한 세대간의 소통이 이루어진 매우 값진 시간으로 마무리 되었다. 

 

4fa1ea38b3f3fc10a3b62a5e5aaa1840_1551673
 

source: 오클랜드 한인회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43 호주 김봉현 대사, 동티모르 전 총리 초청 만찬 호주한국신문 15.03.19.
2442 호주 스트라스필드 기차역 보행자 터널 재단장 추진 호주한국신문 15.03.19.
2441 호주 NSW 주 대법원, ‘코만체로’ 전 두목 재구금 호주한국신문 15.03.19.
2440 호주 NSW 주 병원 의료인력 수급, 여전히 ‘빨간불’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9 호주 한 미술품 애호가, 국립미술관에 소장품 기증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8 호주 시드니 랜드마크 ‘본다이 파빌리온’ 새 단장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7 호주 마틴 플레이스 린트 카페, 오늘 재오픈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6 호주 경찰, 불법 무기수입 시드니 남성 기소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5 호주 시간당 1천 달러의 고소득, 어떤 직업에서 가능한가...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4 호주 외환변동 자료로 부당이익 챙긴 2명, 징역형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3 호주 ‘자수성가’한 호주의 여성 부자는 누구?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2 호주 애보트의 비인기, 주 선거 영향은 크게 없을 듯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1 호주 호주 대테러부대, 잠재 지하디스트 출국 저지 주력 호주한국신문 15.03.19.
2430 호주 ‘발리나인’ 등 11명 사형수 집행, 다시 몇 주 연기 호주한국신문 15.03.19.
2429 호주 ABC 방송, NSW 주 선거 유권자 조사(Vote Compass) 호주한국신문 15.03.19.
2428 뉴질랜드 러셀 크로, 호주 시민권 신청 거부돼 file 굿데이뉴질랜.. 15.03.26.
2427 뉴질랜드 한국-뉴질랜드 FTA (자유무역협정) 정식서명 file 굿데이뉴질랜.. 15.03.26.
2426 호주 시드니 ‘부동산 붐’ 불구, 일부 지역 더딘 상승세 호주한국신문 15.03.26.
2425 호주 NSW 주립미술관, ‘The Photograph and Australia’ 사진전 호주한국신문 15.03.26.
2424 호주 제30대 한인회장 선거, 출마자 2명 확정적 호주한국신문 1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