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Onyu Choi

 -

February 22, 2019

지난 일년간 약 36,000명의 시민이 퀘벡 내 다른 지역에서 몬트리올로 전입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에 59,633명의 시민이 몬트리올을 떠나 퀘벡 내 다른 시로 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한 해동안  몬트리올의 순유출은 몬트리올 인구의 약 1.24%인 24,000명에 이른다. 지난 2009-2010년 이후로 퀘벡주 내 가장 큰 도시간 이동을 기록했다.

몬트리올을 떠난 인구들 중 다수가 로렌시아 몽트랑블랑 지역에 정착했다. 특히 지난 일년간 로렌시아의 순유입은 약 인구의 1%인 6,294명에 달했다. 이어서 몬트리올의 남쪽에 위치한 몬트레이 지역의 순유입은 8,918명으로 지역 인구의 0.58%이다. 라노디에르 지역의 순유입은 약 3,300명, 즉 인구의 0.67%이다.이렇게 몬트리올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다. 하지만 퀘벡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계속되는 교외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몬트리올의 인구는 유학생들과 외국인 근로자들을 포함한 해외 이주민들의 유입과 출산으로 인한 자연증가로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몬트리올의 Benoit Dorai 시의원은 감소하는 인구에 대응하여 몬트리올의 주택 조건과 도시의 유동성에 초점을 맞춰 삶의 질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 전했다. 이어서 이러한 변화를 직접 느끼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겠지만 시민들의 관점에서 더욱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Lionel Perez 시의원은 몬트리올에서 거주하는 것이 사치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자칫 잘못하면 중산층이 빈약해 지는 불평등한 사회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출처: https://www.cbc.ca/news/canada/montreal/montrealers-moving-out-1.5027575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37 캐나다 코퀴틀람서 미국 여성이 캐나다 소녀들 인종차별 모욕 밴쿠버중앙일.. 20.07.01.
4036 미국 조지 플로이드 동생 "고통 느끼는 것 자체에 지쳤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35 미국 미군 역사상 최초 흑인 참모총장 탄생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34 미국 므누신 재무장관 "미국 경제 봉쇄 다시 없을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33 미국 미 연방대법원, 성 소수자 직장 차별 금지 판결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32 미국 이번엔 애틀랜타에서 흑인 총격 사망… 다시 시위 격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31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환자 폭발적 증가, 2차 셧다운 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30 미국 주정부 대학 장학금 신청 마감, 한 달 늘어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29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사망자 상당수, 기저 질환 보유자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28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사망자 83%가 65세 이상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2.
4027 캐나다 상업용 렌트 세입자 보호 지속 밴쿠버중앙일.. 20.07.03.
4026 캐나다 캐나다 한인 한국 돌아가기 또 멀어져 밴쿠버중앙일.. 20.07.03.
4025 캐나다 BC주 80% 가정 450달러 추가 환경세환급 밴쿠버중앙일.. 20.07.03.
4024 캐나다 밴쿠버 환경사회운동가 레이 윤 '신기루' 전자책자 출간 밴쿠버중앙일.. 20.07.04.
4023 캐나다 재외국민 보호도 이제 빅데이터로 한다 밴쿠버중앙일.. 20.07.04.
4022 캐나다 한인신협, 한인공립요양원기금 1만불 쾌척 밴쿠버중앙일.. 20.07.04.
4021 미국 목 누루기 금지하지 않는 주에 연방 지원금 보류 코리아위클리.. 20.07.05.
4020 미국 "이걸 어쩌나"… 트럼프 대선 유세장 빈자리 '숭숭' 코리아위클리.. 20.07.05.
4019 미국 볼튼 전 보좌관, 논란 속 백악관 경험 회고록 출간 코리아위클리.. 20.07.05.
4018 미국 EIDL 긴급재난융자 신청 재개... 신청 절차 간단 file 코리아위클리.. 20.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