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하원 교육 위원회 안건 통과

 

 

bible2.jpg
▲ 미국내 많은 주들이 성경 읽기 수업 채택을 시도하고 있다고 보도한 <폭스뉴스>. 올해 플로리다 주의회에도 동일한 안건이 올라왔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올해 플로리다 주의회에서 성경공부를 공립학교에서 선택 수업으로 제공하도록 한다는 안건이 올랐다.

7일 하원 교육 위원회를 11대 3으로 통과한 이 안건은 플로리다주 외 5개 주에서 검토중인 입법안과 유사한 것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찬사와 보수 성향의 기독교 단체들로부터 지지를 얻고 있다.

지난 1월 말 <폭스뉴스>가 앨라배마, 미시시피, 미주리, 노스다코타, 웨스트버지니아 등에서 공립학교 성경 공부 수업과 관련한 입법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는 내용의 방송을 내보냈다. 그러자 트럼프는 트위터에서 "수많은 주들이 성경읽기 수업(Bible Literacy)을 도입해 학생들에게 성경공부 선택권을 준다"며 “(전통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는가? 정말 좋다!”라고 썼다.

한편 법안이 하원에 정식 상정되려면 앞으로 두개의 소위원회를 거쳐야 한다.

의회내 지지자들은 안건이 학생들에게 ‘지혜’와 국가의 ‘역사적 기초’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일례로 마이크 힐(공화) 하원 의원은 “우리의 공립학교 제도에는 지혜가 매우 필요하다"며 "나는 성경이 역사적 배경뿐만 아니라 우리 아이들에게 주는 지혜 때문에 가르쳐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을 포함한 반대자들은 안건이 미국 헌법을 위반하는 기독교 수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법적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반대자들은 수업이 법을 위반하지 않는 방식으로 성경을 가르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상정안 주역이자 기독교 선교회를 운영하고 있는 킴벌리 데니얼스 주하원 의원(민주 잭슨빌)은 지난해에도 공립학교에 "인 갓 위 트러스트(In God We Trust)" 표지를 게시하도록 성사시킨 바 있다. 이 법안은 당시 상원안이 나오지 않아 묻힐 것 같았으나 다른 교육법안과 통합됐고, 결국 의회를 통과해 주지사 서명을 받았다.

데니얼스 의원은 K-12 교육위 회의에서 이번 법안이 헌법적 소송 위협을 당할 만한 성질의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즉 성경은 가장 널리 팔리는 서적으로, 공립학교 수업은 단순히 읽는 코스(literacy course)라는 것이다.

법안(HB 195)은 주내 각 교육구에 '성경의 객관적 연구'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고 '종교의 중립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무화한다.

법원은 공립학교가 매일 성경 읽기나 종교적 가르침이 아닌 세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성경을 공부할 수 있다고 판결한 바 있다. 일부 플로리다 학교들은 이미 세계 종교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민주당 의원들은 법안이 기독교에 촛점을 맞추게 되어 결국 법정 소송에 직면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닌다고 말한다. 성경에 기반을 둔 커리큘럼이 과연 종교적 중립성을 유지할 수 있을 지 의문스럽다는 것이다. 또 부모가 자녀에 성경을 배우기 원한다면 이를 개인적 방법으로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란인 출신인 안나 에스카마니 의원은 데니얼스 의원에게 그가 내놓은 법안에 ‘코란을 또다른 종교적 서적으로 올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고, 이에 데니얼스는 '노!' 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신이 기독교인으로 자녀에게 기독교를 가르치고 있다는 제랄딘 톰슨(민주) 의원은 ‘이번 안건이 성경을 가르치고 종교를 가르친다고 규정하고, 여타 종교를 무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크리스 라트발라 의원(공화)은 "선택 과목일뿐이다. 학생이 이 과정을 듣기 싫으면 아무도 강요하지 않는다. 그들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57 캐나다 BC 렌트보조금 8월말까지 연장 지원 밴쿠버중앙일.. 20.06.23.
4056 캐나다 全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밴쿠버중앙일.. 20.06.23.
4055 캐나다 [22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퀘벡주 사망자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아 밴쿠버중앙일.. 20.06.24.
4054 캐나다 밴쿠버시 야외 수영장 7월부터 개장 밴쿠버중앙일.. 20.06.24.
4053 캐나다 "자살한다는 여성 질질 끌고, 꼭 발로 머리 밟아야 했니?" 밴쿠버중앙일.. 20.06.24.
4052 캐나다 주캐나다대사관 국방무관부 연구행정직원 모집 중 밴쿠버중앙일.. 20.06.25.
4051 캐나다 6.25전쟁 70주년 행사 서울공항서 개최 밴쿠버중앙일.. 20.06.25.
4050 캐나다 해외거주 가족이 재외동포여도 마스크 보낼 수 있다 밴쿠버중앙일.. 20.06.25.
4049 캐나다 주택렌트비 연체는 아직도 퇴거 유예 대상 밴쿠버중앙일.. 20.06.26.
4048 캐나다 재외국민 비대면 국내 의료진 진료 길 열려 밴쿠버중앙일.. 20.06.26.
4047 캐나다 국적신고 공관방문접수 올해 말로 재연기 밴쿠버중앙일.. 20.06.26.
4046 캐나다 [25일 코로나19 업데이트] 4일 연속 BC주 사망자 나와...총 5명 밴쿠버중앙일.. 20.06.27.
4045 캐나다 프레이저밸리 보건소 관할 공립학교 교사 확진자로 밝혀져 표 밴쿠버중앙일.. 20.06.27.
4044 캐나다 트뤼도, 대학졸업생 대상 새 금전적 지원책 발표 밴쿠버중앙일.. 20.06.27.
4043 미국 [속보] 플로리다 신규환자 9585명... 전체 환자 13만명 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6.28.
4042 캐나다 포코 공원에서 음주 시범적 허용 밴쿠버중앙일.. 20.06.30.
4041 캐나다 코로나 이후 한국문화 해외홍보 전략은…학술대회 열린다 밴쿠버중앙일.. 20.06.30.
4040 캐나다 재외동포 사증(F-4) 신청시 결핵검사 결과 의무 제출? 밴쿠버중앙일.. 20.06.30.
4039 캐나다 캐나다 정부 워킹홀리데이 유효기간 90일 연장 밴쿠버중앙일.. 20.07.01.
4038 캐나다 캐나다 58%, 공공장소 마스크 필수 착용 찬성 밴쿠버중앙일.. 2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