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거스리드 연구소 보도자료 이미지 사진 

 

부모 시민권 이상자만 시민권 취득 지지율 최고

한국재벌 시작, 2000년대 초 한국 따라하기 열풍

 

한국의 재벌가나 2000년대 초 한국의 원정출산으로 미국에서 어글리 한국인에 대한 인식이 높았는데, 이제 중국인 위주의 캐나다 원정출산에 대해 캐나다인의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졌다.

 

설문조사전문기업인 앵거스리드 연구소가 14일 발표한 원정출산에 의한 캐나다 시민권 취득 여론 조사에서 절대 다수가 부모 모두 영주권 또는 시민권자 자녀에게만 캐나다 시민권을 줘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캐나다가 속지주의에 의해 부모의 국적 여부와 상관없이 캐나다에서 출생한 아이에게 캐나다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좋다고 대답한 응답율은 40%, 나쁘다고 대답한 응답율은 33%, 그리고 모르겠다가 28%로 나왔다.

 

그런데 출생시민권 부여(birthright citizenship)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고 대답한 비율이 60%로 유지를 지지한 40%보다 앞섰다.

 

그럼 어떤 아이에게 시민권을 줄 것인지에 대한 복수응답에서 양부모가 모두 시민권일 경우가 97%, 영주권자가 92%, 그리고 부모 중 한 명이 시민권자가 88%, 둘 줄 한 명이 영주권자가 82% 등 최소한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가진 부모에게서 태어나야 시민권을 줘야 한다는 대답이 절대적이었다. 부모 모두 취업비자 대해서는 55%로, 학생비자에 대해서는 40%로 나왔다.  

 

반대로 시민권을 줘서는 안되는 경우에 대해, 엄마 혼자 관광비자로 온 경우가 58%, 부모 모두가 관광비자로 온 경우가 64%로 나타났다. 

 

원정출산에 대한 인식에서 심각하다고 본 비율이 55%, 아니다라는 비율이 45%로 나왔다. 

 

한편 지난 2월에도 설문조사전문기업인 Research Co.이 BC주만울 대상으로 실시한 원정출산 관련 조사에서 82%의 주민들이 원정출산으로 불공정하게 캐나다의 교육, 의료보건, 사회복지 혜택에 접근하고 있다고 봤다.  

 

원정출산으로 오히려 캐나다인이 병원에서 밀려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63%가 동의한다고 대답했다. 동아시아계는 73%가, 유럽계는 61%가 동의를 했다. 

 

이에 앞서 IMF 끝난 2000년 전후로 미국으로 원정출산을 가는 한인 부모들이 많아, LA타임스는 그 수가 15만명에 달한다는 기사를 쓰기도 했다. 미국에서 원정출산에 대한 감시가 강해지자, 당시 조기 유학 등으로 한인들이 밴쿠버를 많이 찾아오며 캐나다 원정출산 붐이 일기도 했다. 이후 원정출산에 의한 선척적 복수국적자는 병역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되며 원정출산 분위기가 한 풀 꺾였다.

 

사실 한국 재벌가의 현재 2, 3세 중에는 미국에서 출생한 경우가 많다. 이들은 여행자율화가 되기도 한참 전인 1960년, 70년대에 미국에서 출생을 했다. 한국 재벌 1, 2위를 다투는 집안의 아들 딸과, 3세들까지, 그리고 10위권 안 재벌의 현 대주주들의 적지 않은 수가 미국에서 태어났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57 캐나다 BC 렌트보조금 8월말까지 연장 지원 밴쿠버중앙일.. 20.06.23.
4056 캐나다 全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밴쿠버중앙일.. 20.06.23.
4055 캐나다 [22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퀘벡주 사망자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아 밴쿠버중앙일.. 20.06.24.
4054 캐나다 밴쿠버시 야외 수영장 7월부터 개장 밴쿠버중앙일.. 20.06.24.
4053 캐나다 "자살한다는 여성 질질 끌고, 꼭 발로 머리 밟아야 했니?" 밴쿠버중앙일.. 20.06.24.
4052 캐나다 주캐나다대사관 국방무관부 연구행정직원 모집 중 밴쿠버중앙일.. 20.06.25.
4051 캐나다 6.25전쟁 70주년 행사 서울공항서 개최 밴쿠버중앙일.. 20.06.25.
4050 캐나다 해외거주 가족이 재외동포여도 마스크 보낼 수 있다 밴쿠버중앙일.. 20.06.25.
4049 캐나다 주택렌트비 연체는 아직도 퇴거 유예 대상 밴쿠버중앙일.. 20.06.26.
4048 캐나다 재외국민 비대면 국내 의료진 진료 길 열려 밴쿠버중앙일.. 20.06.26.
4047 캐나다 국적신고 공관방문접수 올해 말로 재연기 밴쿠버중앙일.. 20.06.26.
4046 캐나다 [25일 코로나19 업데이트] 4일 연속 BC주 사망자 나와...총 5명 밴쿠버중앙일.. 20.06.27.
4045 캐나다 프레이저밸리 보건소 관할 공립학교 교사 확진자로 밝혀져 표 밴쿠버중앙일.. 20.06.27.
4044 캐나다 트뤼도, 대학졸업생 대상 새 금전적 지원책 발표 밴쿠버중앙일.. 20.06.27.
4043 미국 [속보] 플로리다 신규환자 9585명... 전체 환자 13만명 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6.28.
4042 캐나다 포코 공원에서 음주 시범적 허용 밴쿠버중앙일.. 20.06.30.
4041 캐나다 코로나 이후 한국문화 해외홍보 전략은…학술대회 열린다 밴쿠버중앙일.. 20.06.30.
4040 캐나다 재외동포 사증(F-4) 신청시 결핵검사 결과 의무 제출? 밴쿠버중앙일.. 20.06.30.
4039 캐나다 캐나다 정부 워킹홀리데이 유효기간 90일 연장 밴쿠버중앙일.. 20.07.01.
4038 캐나다 캐나다 58%, 공공장소 마스크 필수 착용 찬성 밴쿠버중앙일.. 2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