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 축산업 인력 부족 개선 차원

 

news_img1_1554141894.jpg

 

이번에 발표된 연방정부 예산에 만성적 인력부족에 시달리는 농, 축산업의 만성적 인력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3년 기한의 시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해 수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했다.

캐나다 농 축산업의 노동력 부족은 전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육류 가공, 도축의 인력부족은 더욱 심해 시장의 요구를 따르지 못하고 있는 설정이다. 

마리-프랑스 맥키논 캐나다 육류위원회 대변인은 "우리는 수출 주도 업종이나 TPP, 캐나다-EU 자유무역협정 등의 새로운 무역협정도 노동력 부족으로 자본화조차 할 수 없는실정"이라면서 "현실이 따라가지 못하는데 어떻게 사업을 키우겠나?"라고 덧붙였다. 

캐나다 농업인력 협의회가 2017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연구에 따르면 농촌지역 육류 가공시설 공실률은 약 9.3%로 캐나다 전역에 걸쳐 1,475개 자리가 비어 있었다. 이 중 앨버타가 80-90%를 차지하는데 특히 하이 리버 브룩스 지역의 인력난이 극심했다.

농업 평의회 자넷 크레이든(Janet Krayden) 의장은 "육 가공업체들은 여러군데 취업 게시판과 광고를 통해 인력을 구하고 있고 심지어 임금 50% 인상을 내 거는 곳도 있으나 어떤 캐나다인도 지원하지 않는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캐나다 노동자가 없는 상황에서 임시 외국인 노동자 프로그램(TFWP)을 이용해 외국인 노동자를 채용해 인력을 충원했다. 이 외국인 노동자들은 영주권을 받아 일을 계속하며 삶의 터전을 마련했다.

그러나 2014년 연방정부는 TFW 규제를 강화하여 고용주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들여올 수 있는 근로자 수를 제한하고 또한 근로 허가 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였다. 후자의 움직임은 근로자들이 그들의 노동 허가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필요한 영주권 요건을 완성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에게 매우 불리했다"고 말했다. "우리 노동력 부족이 급증한 건 2014년부터다."

맥키논 대변인은 농업프로그램이 20일 발표한 캐나다에 얼마나 많은 노동자가 들어올 수 있을지는 아직 확실치 않지만 3년간 2,750명의 일자리를 요구해 왔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새 프로그램이 근로자들에게 캐나다에 장기 체류할 수 있는 진정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TFW 프로그램과 달라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에게 아무 효과가 없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우리는 꼼짝 못하고 있다. 우리는 임시 외국인 노동자 프로그램을 사용해 왔지만, 우리 직업에는 일시적인 것이 없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캐나다 육류협회에 따르면, 소고기 처리능력은 20년 전보다 떨어졌고 돼지고기 처리능력은 정체되어 있고, 국내 수요를 따라갈 양고기 처리능력은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 이는 의회가 부분적으로 계속되는 노동력 부족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의회는 노동력 부족이 육류 가공업체의 연간 매출 손실 7억 5천만 달러와 관련 된 연관 업종 생산자들의 매출 손실을 초래한다고 말한다. (오충근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17 캐나다 업소 탐방) 캐나다 배드랜드 지형 위에 만들어진 드럼헬러 공룡 (다이노소어) 골프장 file CN드림 20.06.06.
4116 캐나다 앨버타주 수상, "노년 층 코비드-19에 취약" - 경제활동 재개에 참고할 듯 CN드림 20.06.06.
4115 캐나다 체육관은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 사회거리 길게 적용 + 탈의실 없어질 수도 CN드림 20.06.06.
4114 캐나다 40년전 그날 - 5.18은 현재 진행형 _ 오충근의 기자수첩 CN드림 20.06.06.
4113 캐나다 전달대비 고용률 증가 불구 실업률 상승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2 캐나다 미국은 흑인 사망, 캐나다는 원주민 사망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1 캐나다 BC RCMP 인종차별적 과잉 공권력 행사에 선긋고 나서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0 캐나다 외국인 등록증에 ‘에일리언’ 표기, 54년만에 사라진다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9 캐나다 귀국 유학생들로 밝혀지는 캐나다 한인 코로나19 숨겨진 진실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8 캐나다 캐나다 한인 사기범 활개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7 캐나다 8일 오전 차이나타운 여성 피습 중상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6 캐나다 연대와 협력, 감사와 배려…마스크 해외지원에 담긴 뜻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5 캐나다 "더는 억울한 희생 없기를" 플로이드 마지막 추도식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4 미국 주 공화 의원, 트위터에 AR-15 소총 올려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3 미국 민간 유인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2 미국 트럼프 대통령, 사회연결망(SNS) 회사 무한 권한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1 미국 미국 대기업들, "침묵은 곧 동조" 시위 동참 지지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0 미국 세미놀 카운티, 코로나 피해 스몰 비즈니스에 무상보조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099 미국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괴질', 드물지만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20.06.10.
4098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학생 여름 캠프 및 스포츠 재개 허용 코리아위클리.. 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