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인권자유헌장 위배

의료인 의견 등 필연성 주장

 

ICBC의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주정부가 비용 절감을 위해 작은 부상에 대한 소송을 제한하기로 했는데, 이에 대해 BC주 변호사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BC법정변호사협회(The Trial Lawyers Association of British Columbia, TLABC)는 1일자로 ICBC가 부상자에 대한 소송 제한 규정이 헌법정신에 위반해 BC주민의 권리를 위반했다며 위헌소송(constitutional challenge)을 냈다고 발표했다.

 

TLABC의 론 네언 씨는 "재판 접근권은 캐나다의 인권자유헌장(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에 의해 보장된 기본 인권"이라며, "ICBC가 잘못 운영을 한 문제점을 법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 법이 적용되야지, ICBC를 위해 적용되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TLABC 회원 변호사들은 ICBC의 최근 개정 규정이 과도하게 법정 접근권을 제한하고 불공정하게 부상자들의 보상을 줄일 것으로 우려했다. 

 

전 연방하원의원이자 연방장관을 지냈고 BC주 법무부 장관도 지냈던 우잘 도산지 전 BC주수상은 "도로에서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한 BC주민이 법적으로 도움을 받는 것을 제한하는 규정을 만드는 현 정부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캠벨리버 뇌부상소사이티(Campbell River Brain Injury Society)의 셀리 호워드 씨는 "부상에 대한 상한액을 정하는 규정이 BC주민의 뇌부상과 신체적 부상, 그리고 만성 통증에 대해 차별의 잠재성을 갖고 있다"며, "이로 인해 영구장애와 같은 부상에 대해 제대로 보상을 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TLABC는 이외에도 자동차 사고와 관련 전문의들도 소송 제한에 반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BC주 법원이 기본적인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재고할 수 있도록 위헌소송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17 캐나다 업소 탐방) 캐나다 배드랜드 지형 위에 만들어진 드럼헬러 공룡 (다이노소어) 골프장 file CN드림 20.06.06.
4116 캐나다 앨버타주 수상, "노년 층 코비드-19에 취약" - 경제활동 재개에 참고할 듯 CN드림 20.06.06.
4115 캐나다 체육관은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 사회거리 길게 적용 + 탈의실 없어질 수도 CN드림 20.06.06.
4114 캐나다 40년전 그날 - 5.18은 현재 진행형 _ 오충근의 기자수첩 CN드림 20.06.06.
4113 캐나다 전달대비 고용률 증가 불구 실업률 상승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2 캐나다 미국은 흑인 사망, 캐나다는 원주민 사망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1 캐나다 BC RCMP 인종차별적 과잉 공권력 행사에 선긋고 나서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0 캐나다 외국인 등록증에 ‘에일리언’ 표기, 54년만에 사라진다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9 캐나다 귀국 유학생들로 밝혀지는 캐나다 한인 코로나19 숨겨진 진실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8 캐나다 캐나다 한인 사기범 활개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7 캐나다 8일 오전 차이나타운 여성 피습 중상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6 캐나다 연대와 협력, 감사와 배려…마스크 해외지원에 담긴 뜻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5 캐나다 "더는 억울한 희생 없기를" 플로이드 마지막 추도식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4 미국 주 공화 의원, 트위터에 AR-15 소총 올려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3 미국 민간 유인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2 미국 트럼프 대통령, 사회연결망(SNS) 회사 무한 권한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1 미국 미국 대기업들, "침묵은 곧 동조" 시위 동참 지지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0 미국 세미놀 카운티, 코로나 피해 스몰 비즈니스에 무상보조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099 미국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괴질', 드물지만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20.06.10.
4098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학생 여름 캠프 및 스포츠 재개 허용 코리아위클리.. 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