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자들, 저가 주택 건설 피해… 저임금 소득자들, 아파트로 몰려


 

housing.jpg
▲ 올랜도 다운타운에 고급 콘도 건설이 한창이지만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건설은 부진하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미국 전체 기준으로 '매우 낮은' 소득으로 꼽히는 연 2만4600달러 이하를 버는 사람들에게 올랜도 지역이 가장 살기 힘든 곳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고 지난 22일 <올랜도센티널>이 보도했다.

현재 올랜도 지역의 식품점 카운터, 개인병원 카운터, 일반 레스토랑 종업원, 탁아소 보모 등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은 시간당 15달러 이하 수입을 올리고 있는데, 주택을 산다는 것은 ‘꿈’에 불과하다.

지금과 같은 상황은 지난 수 년 동안에 변화된 주택 사정 때문이다. 주택 시장이 붕괴된 이후 미국 경제가 숨통이 트이기 시작하면서 건설업계는 안전시장인 큰 주택과 고급 아파트를 짓기 시작했다. 주택 전문가들은 이같은 상황을 두고 '무시된 중산층'이라고 불렀다.

주택 건설업자들은 20만 달러에서 30만 달러 범위의 주택을 더이상 짓지 않았다. 이 범위의 주택을 건설해서는 그리 큰 이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다른 문제는, 건설업자들이 번거로운 연방 또는 주정부 규정에 따라 지어야 하는 저소득층 주택 건축을 피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렴한 주택 건설 명목으로 책정된 주택 신탁 기금이 있는데, 이 조차도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론 드샌티스 주지사는 이 기금을 주택에만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지만, 그것은 지금 회기 중에 있는 입법부에 묶여 옴짝 달싹 못하고 있다. 오렌지 카운티 산하의 저렴한 주택 위원회도 4월에 해결책을 검토할 예정이지만 당장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 같지는 않다.

올랜도 지역만 해도 지난 2년 동안 약 585채의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이 이 지역에 지어졌는데, 완공되기 전에 광고도 없이 임대되었다.

결국 시장의 한 부분이 없어지면서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아파트로 몰려들게 되었다. 이는 사실상 미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인데, 엄청난 임대 수요로 인해 아파트 임대료가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메트로 올랜도 지역은 저 소득층을 위한 아파트 11만 5000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 소득층은 수입의 절반 이상을 아파트 비용으로로 내고 나머지 수입으로 겨우 살아간다.

오렌지 카운티의 주택 및 지역사회 개발 부문 관리자 미첼 글래서는 시장이 변해야만 이 상황이 바뀔 것이라고 예측했다.

가장 큰 문제는 저 소득층의 수입에 당장 큰 변화가 생길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플로리다 주 최저 임금 8.46달러, 연수입 1만7600달러 수입을 가진 사람이 2베드룸 아파트에 월 1200달러를 지불하고 나면 식품비를 대기 조차도 버겁게 된다. 올랜도 지역의 테마파크에서 시간당 10달러 혹은 12달러를 받고 일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저렴한 가격대의 주택의 부족은 단지 저소득층 노동자나 그 가족에게만 손해를 입히는 것이 아니다. 아파트의 공급량이 대폭 늘어나면 집값이 떨어지니 결국 기존 주택 소유주들에게도 손해를 입힌다.

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메디케이드 비용을 충당해 주기기 위해 일반 주민들은 세금도 더 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레이크 카운티의 경우가 바로 그렇다. 자동차 보험료를 낼 형편이 못 되는 운전자들과 시비가 붙을 경우 당하는 고통 또한 일반 주민의 몫이 된다. 사회통합에도 걸림돌이 되는 것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17 캐나다 업소 탐방) 캐나다 배드랜드 지형 위에 만들어진 드럼헬러 공룡 (다이노소어) 골프장 file CN드림 20.06.06.
4116 캐나다 앨버타주 수상, "노년 층 코비드-19에 취약" - 경제활동 재개에 참고할 듯 CN드림 20.06.06.
4115 캐나다 체육관은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 사회거리 길게 적용 + 탈의실 없어질 수도 CN드림 20.06.06.
4114 캐나다 40년전 그날 - 5.18은 현재 진행형 _ 오충근의 기자수첩 CN드림 20.06.06.
4113 캐나다 전달대비 고용률 증가 불구 실업률 상승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2 캐나다 미국은 흑인 사망, 캐나다는 원주민 사망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1 캐나다 BC RCMP 인종차별적 과잉 공권력 행사에 선긋고 나서 밴쿠버중앙일.. 20.06.06.
4110 캐나다 외국인 등록증에 ‘에일리언’ 표기, 54년만에 사라진다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9 캐나다 귀국 유학생들로 밝혀지는 캐나다 한인 코로나19 숨겨진 진실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8 캐나다 캐나다 한인 사기범 활개 밴쿠버중앙일.. 20.06.09.
4107 캐나다 8일 오전 차이나타운 여성 피습 중상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6 캐나다 연대와 협력, 감사와 배려…마스크 해외지원에 담긴 뜻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5 캐나다 "더는 억울한 희생 없기를" 플로이드 마지막 추도식 밴쿠버중앙일.. 20.06.10.
4104 미국 주 공화 의원, 트위터에 AR-15 소총 올려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3 미국 민간 유인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2 미국 트럼프 대통령, 사회연결망(SNS) 회사 무한 권한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1 미국 미국 대기업들, "침묵은 곧 동조" 시위 동참 지지 코리아위클리.. 20.06.10.
4100 미국 세미놀 카운티, 코로나 피해 스몰 비즈니스에 무상보조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4099 미국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괴질', 드물지만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20.06.10.
4098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학생 여름 캠프 및 스포츠 재개 허용 코리아위클리.. 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