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James Austin 1).jpg

영국에서 죄수로 유배돼 타스마니아에서 형기를 마친 후, 지금의 호바트 북부, 더웬트 강(River Derwent) 언덕에 정착한 제임스 오스틴이 직접 지은 코티지(James Austin Cottage). 최근 지역 사학자이자 예술가인 루이스 켐슬리(Louise Kemsley. 오른쪽)와 예술가 케이 그린(Kaye Green. 왼쪽)씨가 이 건물의 관리를 맡아 새롭게 단장한다는 소식이다.

 

죄수에서 성공한 사업가로... 지역 사학자-예술가, 코티지 관리 맡아

 

18세기 영국의 죄수 유배지로 백인들이 시드니 코브(Sydney Cove)에 첫 죄수 선박(First Fleet)이 들어온 이후 이어진 죄수 수용은 시드니뿐 아니라 호주 전역 곳곳에 수용됐다. 19세기 초반, 백인들의 정착이 시작된 타스마니아(Tasmania) 또한 당시 죄수들의 흔적이 상당히 많이 남아 있다.

호바트(Hobart) 시 북부, 더웬트 강(River Derwent) 언덕에 자리한 ‘오스틴 페리’(Austins Ferry)는 1809년 풀려난 죄수 제임스 오스틴(James Austin)이 이곳에서 시작한 페리(ferry) 서비스에서 이름을 딴 곳이다.

 

종합(James Austin 2).jpg

오스틴이 더웬트 강 페리 이용자를 위해 지은 숙박업소 ‘Roseneath Inn’의 1920년대 모습. 이 숙소는 이즈음 파산했으며, 1967년 발생한 산불로 소실됐다.

 

종합(James Austin 3).jpg

상공에서 내려다 본 오스틴 페리(Austins Ferry) 풍경. 유배를 마친 후 이곳에 땅을 하사받은 오스틴은 자신이 거주할 작은 코티지를 지었고, 더웬트 강을 건너는 페리 사업을 시작, 성공했다.

 

제임스 오스틴은 영국 서머셋(Somerset), 볼튼스보로(Baltonsborough) 출신이다. 이곳 농장 노동자였던 그는 아버지 존 오스틴(John Austin)과 함께 꿀벌 벌통과 꿀을 훔친 혐의로 유죄가 확정, 7년의 유배형을 받아 당시 호주로 이송된 사람이었다.

1803년, 영국 왕실 해군의 ‘HMS Calcutta’ 호에 실려 지금의 멜번(Melbourne) 남부 포트 필립(Port Phillip)에 도착한 그는 이듬해 ‘반 디멘스 랜드’(Van Diemen's Land)로 이송됐다. 반 디멘스 랜드는 당시 영국인들이 타스마니아 섬을 지칭하던 이름으로, 이 섬이 ‘타스마니아’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1856년이다.

1809년 형기를 마치고 풀려난 그는 더웬트 강 서쪽에 12헥타르의 땅을 부여받았고, 거기에 자신이 거주할 작고 단순한 형태의 코티지(cottage)를 지었다. 이곳에 농장을 개척하고 살아가던 그는 1816년 사촌인 제임스 얼(James Earl)과 함께 더웬트 강을 건너는 페리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페리는 1883년 브릿지워터 다리(Bridgewater Bridge)가 완성될 때까지 강 운송의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 페리 사업과 함께 그는 농장과 과수원, 더웬트 강을 건너는 이들을 위한 숙소를 운영하기도 하는 등 ‘죄수 신분으로, 성공한 인물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다.

오늘날 ‘오스틴 페리’라는 지명을 가진 타운에는 그가 지어 거주했던 코티지(James Austin cottage. 12-16 Austins Ferry Rd, Austins Ferry TAS)가 남아 있으며, 이 유산은 오스틴 페리 타운이 속한 글렌오치(Glenorchy) 카운슬이 관리하고 있다.

최근 타스마니아의 신예 역사학자인 루이스 켐슬리(Louise Kemsley)와 예술가인 케이 그린(Kaye Green)씨가 이 건물의 관리를 맡아 새롭게 단장한다는 소식이다.

켐슬리씨는 “오래된 건축물을 좋아하는데, 오스틴 코티지를 보고는 한 눈에 반했다”면서 “지역 공동체 누구나 방문할 수 있는, 호바트 북부의 관광 명소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종합(James Austin 4).jpg

제임스 오스틴이 마지막으로 펼친 사업은 보다 큰 숙박업소 ‘Roseneath House’였다. 이 숙박업소는 1831년, 그가 사망하기 직전 완공됐다. 사진은 1860년대 촬영된 ‘Roseneath House’.

 

종합(James Austin 5).jpg

‘James Austin cottage’의 1970년대 모습.

 

그녀는 역사학자답게 제임스 오스틴이라는 죄수의 역사를 들려주는 역사 관광지 코티지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켐슬리씨는 오스틴에 대해 “그는 문맹이었지만 수완이 좋은 사업가였다”며 “형을 마치고 이곳에서 땅을 부여받았을 때, 그는 강을 건너야 할 필요성과 요구가 많을 것임을 예상했다”고 설명했다.

오스틴은 더웬트 강 페리를 시작하면서 사업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더웬트 강 건너편, 올드비치(Old Beach)로 가는 페리 사업을 시작한 이후 북부 론세스톤(Launceston)과의 무역 활동은 더욱 늘어났다.

1818년, 그는 당국으로부터 페리 서비스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독점이었던 그의 페리 운송 사업은 큰 수익을 안겨 주었으며, 그는 더 큰 농장을 만들어 과일을 재배하고 가축을 길렀다.

오스틴과 사촌 얼은 또한 페리 승객을 위한 대형 숙박업소를 운영했으며, 이곳은 당시 호바트 타운을 방문하는 이들의 휴가지가 됐다.

오스틴이 더웬트 강변에서 일궈낸 비즈니스는 당시 식민지 총독이었던 라클란 매콰리(Lachlan Macquarie)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매콰리 총독은 이곳에 ‘로즈니스’(Roseneath)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종합(James Austin 6).jpg

1967년, 이 지역에서 발생된 산불에 소실되기 전의 ‘Roseneath House’. 1960년대 촬영된 것이다.

 

평생 결혼을 하지 않았던 오스틴은 1831년 사망했다. 그는 사망 전 모든 재산을 조카에게 남겼다. 그가 죽기 전 마지막으로 만든 사업체는 보다 큰 숙박업소 ‘Roseneath House’였다.

이 숙박업소는 그의 사후 90여 년간 운영되다가 1920년대 파산했고, 건물은 1967년 이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파괴됐다. 또한 그가 처음 시작한 더웬트 페리는 1950년대까지 운영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James Austin 1).jpg (File Size:96.4KB/Download:15)
  2. 종합(James Austin 2).jpg (File Size:83.4KB/Download:15)
  3. 종합(James Austin 3).jpg (File Size:86.4KB/Download:17)
  4. 종합(James Austin 4).jpg (File Size:90.3KB/Download:19)
  5. 종합(James Austin 5).jpg (File Size:67.1KB/Download:12)
  6. 종합(James Austin 6).jpg (File Size:76.2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51 뉴질랜드 60일 동안 사용하지 않았다고 잔액이 0 ?? NZ코리아포.. 17.09.11.
4950 뉴질랜드 봄이 시작되는 9월, 전국이 한겨울같은 기상 NZ코리아포.. 17.09.11.
4949 뉴질랜드 함부로 절벽 오르다 오도가도 못하게 된 20대 NZ코리아포.. 17.09.11.
4948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하락,금융 시장 불확실성 커질 수 있어 NZ코리아포.. 17.09.12.
4947 뉴질랜드 여성 참정권 주장 록 뮤지컬, 여성에게 9.4%할인 NZ코리아포.. 17.09.12.
4946 뉴질랜드 추락한 차에서 3명의 어린이 구한 10대 NZ코리아포.. 17.09.12.
4945 뉴질랜드 용량 잘못 표시된 와인잔때문에 큰 손해 본 술집 주인 NZ코리아포.. 17.09.13.
4944 호주 [뉴스폴] 동성결혼 지지율 하락세…기권층 증가 톱뉴스 17.09.13.
4943 호주 대법원 "동성결혼 우편투표 합헌"...우편투표 초읽기 톱뉴스 17.09.13.
4942 호주 9.9 카운슬 선거 무소속 돌풍…라이드 웨스트선거구 피터김(상휘, 노동당) 당선 유력 톱뉴스 17.09.13.
4941 호주 호주 임금 성장률 20년만에 최저치 기록 톱뉴스 17.09.13.
4940 호주 국민당 “재생에너지 보조금 중단” 결의…조이스 당수 “필요는 하지만” 톱뉴스 17.09.13.
4939 호주 동성결혼 지지층 대규모 연대 집회 톱뉴스 17.09.13.
4938 호주 턴불 총리,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 통화…북핵 대응방안 논의 톱뉴스 17.09.13.
4937 호주 연방정부 “석탄화력발전 보전에 소매 걷고 나섰다” 톱뉴스 17.09.13.
4936 뉴질랜드 운전배우려던 아내 급발진으로 물속에 빠져.... NZ코리아포.. 17.09.13.
4935 뉴질랜드 NZ대학 학비, OECD 다른 국가 대비 일곱번째 NZ코리아포.. 17.09.13.
4934 뉴질랜드 총선 앞두고 오클랜드 부동산 경기 침체 양상 NZ코리아포.. 17.09.13.
4933 뉴질랜드 오클랜드 노스쇼어 한 고등학교,인종차별 스캔들 NZ코리아포.. 17.09.13.
4932 뉴질랜드 뉴질랜드, 주택 매매 소요 시간 점점 더 오래 걸려 NZ코리아포.. 17.09.14.
4931 뉴질랜드 오클랜드 교사 부족 위기, 심각한 수준 NZ코리아포.. 17.09.14.
493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근 이어진 낙찰률 하락서 ‘반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9 호주 NSW 주 정부, 전기요금 부담 경감 대책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8 호주 유나이티드 항공, ‘시드니-휴스턴’ 17.5시간 노선 취항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7 호주 미네소타 주 당국, ‘총격 사망’ 호주 여성 사건 조사 완료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6 호주 미 서부 개척 당시로의 여행, 사막의 별빛 아래 펼쳐지는 라이브 공연은 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5 호주 ‘호주산 양고기 광고’ 관련, 인도 정부 공식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4 호주 호주판 ‘스티브 잡스’ 기대... 호주 10대 청소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3 호주 오지의 목장을 아웃백 캠프로... 새 여행상품 시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2 호주 작가 조세핀 윌슨,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1 호주 “주류업계가 알코올 유해성 왜곡, 음주 부추킨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20 호주 한반도 유사시 한국 내 호주 시민들 대처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19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관련 페어팩스 미디어-입소스 여론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4918 뉴질랜드 뉴질랜드, 불확실성 요인에도 소비자 신뢰 지수 강하게 나타나 NZ코리아포.. 17.09.15.
4917 뉴질랜드 스위스의 교육제도, 뉴질랜드도 배워야... NZ코리아포.. 17.09.15.
4916 호주 석탄화력발전소를 둘러싼 여여 중진의 “충돌” 톱뉴스 17.09.15.
4915 호주 노동당, "동성결혼 과열 논쟁, 성소수자 정신건강에 악영향" 톱뉴스 17.09.15.
4914 호주 위기의 빌 쇼튼 노동당 당수…지지 의원 이탈 가속화? 톱뉴스 17.09.15.
4913 호주 연방하원 지역구 재조정에 자유당 연립 긴장 톱뉴스 17.09.15.
4912 호주 하워드, 애벗 전 총리 “동성결혼 반대 캠페인 지지한다”…턴불 “yes’ 입장 표명 톱뉴스 17.09.15.
4911 호주 “동성커플의 결혼이 허용되도록 법이 개정돼야 할까요?” 톱뉴스 17.09.15.
4910 호주 '아이폰X' 판매 열흘 전부터 매장 앞에서 노숙하는 남성 톱뉴스 17.09.15.
4909 호주 에어아시아, 얼리버드 빅세일..한국행 $268 톱뉴스 17.09.15.
4908 호주 여야의 무력한 에너지 요금 대책에 성난 호주국민 톱뉴스 17.09.15.
4907 호주 호주시장 외면하는 중국인 투자자들 톱뉴스 17.09.15.
4906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4905 호주 친환경 에너지 주택이 궁금하다면, 톱뉴스 17.09.15.
4904 호주 호주 삶을 찰칵, ‘오스트레일리안 라이프’ 톱뉴스 17.09.15.
4903 호주 봄마중 나갈까, 캔버라 꽃축제 ‘플로리에이드’ 톱뉴스 17.09.15.
4902 호주 가까운 곳에서 봄을 즐겨요, 시드니 보태닉 가든 톱뉴스 17.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