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9-2.jpg

(사진=scmp)

 

트럼프 미국 정부의 보복관세에도 2018년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해관총서는 지난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17.2% 늘어난 3천233억2천만달러(약 363조원)라고 14일 발표했다.

중국의 대미 수출은 11.3% 늘었지만, 미국에서 중국으로 온 수입액은 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의 호조와 중국 경제의 둔화 때문에 미국 내의 수입 수요가 늘어나고 중국의 수요는 줄어 무역 불균형이 심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무역적자를 줄이려는 트럼프 정부의 노력에도 미국 측의 적자는 오히려 늘어났다.

중국의 막대한 대미 무역흑자는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난 직접적 원인이다.

 

이날 발표된 중국의 12월 수출과 수입 규모는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급감했다.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4.4% 감소했다.

이런 수출 감소는 2년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로이터통신 설문에 응한 전문가들은 세계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12월 수출 규모가 3.0% 증가해 11월의 5.4%보다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지난달 중국의 수입 역시 7.6% 줄어 2016년 7월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시장은 전월에 3.0%에 그쳤던 수입 증가율이 12월에는 5.0%로 다소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이런 수출입 부진이 중국 경제의 둔화와 글로벌 수요 악화를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12월 무역수지는 570억 6천만 달러(한화 64조원)로 전월의 447억1천만달러(50조원)보다 증가했다.

 

중국의 2018년 한해 무역흑자는 2013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되었다.

지난해 무역흑자는 3천517억6천만달러(약 394조원)로 전년보다 16.2% 감소했다.

중국의 지난해 수출은 달러화 기준으로 2조4천800만달러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9.9%로 7년 만에 최고치이다.

수입은 2조1천400만달러로 15.8% 늘었다.

수출입 금액을 합하면 4조6천200만 달러로 12.6% 증가했다.

 

해관총서는 올해 무역에서 가장 큰 우려는 대외 불확실성과 보호주의라고 밝혔으며 중국의 무역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309-2.jpg (File Size:81.2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6 홍콩 홍콩 침사추이, 아시아태평양 쇼핑지구 중 가장 비싸 file 위클리홍콩 21.04.27.
395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5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5.04.
394 홍콩 경기 회복 전망에도 홍콩 고용시장 위축 file 위클리홍콩 21.05.04.
393 홍콩 홍콩 럭셔리 부동산 임대료, 세계 1위 file 위클리홍콩 21.05.04.
392 홍콩 3명 중 1명 ‘올해 주택 가격 상승 기대’ 낙관적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1.05.04.
391 홍콩 홍콩 사이버 범죄 10년간 6배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1.05.04.
390 홍콩 토지 프리미엄 세수액 5년래 최저 file 위클리홍콩 21.05.04.
389 홍콩 전자 담배 사용 젊은 흡연자, 3년 연속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5.04.
388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5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5.11.
387 홍콩 홍콩 1분기 경제성장률 ‘V’자 반등 보여…11년래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1.05.11.
386 홍콩 4월 총 부동산 거래 규모, 23개월 래 최고 기록 file 위클리홍콩 21.05.11.
385 홍콩 소비자 84%, 다양한 전자 결제 방법 사용 file 위클리홍콩 21.05.11.
384 홍콩 "백신 버블에도 접종하겠다" 10명 중 3명에 불과 file 위클리홍콩 21.05.11.
383 홍콩 코로나 검사 키트 수요 급증에 온라인 불법 판매 성행 file 위클리홍콩 21.05.11.
382 홍콩 ‘어머니 날’ 맞아 현지 투어 6개월 만에 재개 file 위클리홍콩 21.05.11.
381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5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5.18.
380 홍콩 공공 주택 대기 기간 5.8년, 22년래 최장 file 위클리홍콩 21.05.18.
379 홍콩 준사립학교(DSS) 절반 이상, 9월 신학기 학비 동결 file 위클리홍콩 21.05.18.
378 홍콩 ‘리브홈세이프’ 개인정보 노출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1.05.18.
377 홍콩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62%, 최신 안전 지침 충족 못해 file 위클리홍콩 2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