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범죄자 투표권 허용한 ‘플로리다 수정헌법4조’ 통과 노력 공로
 

mead.jpg
▲ 중범죄자들의 투표권을 회복시키는데 공헌한 데스몬드 미드가 폭스뉴스 방송에 출연한 모습.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2018년 ‘올해의 중앙 플로리디언’으로 선정된 데스몬드 미드(Desmond Meade)가 타임이 선정하는 ‘타임 100 : 2019년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들(Time 100: The most influential people 0f 2019)’에 올랐다.

플로리다 지역에서 미드는 수정헌법 4조에 대한 풀뿌리 운동을 주도해온 인물로 이미 유명인이 되었지만, 이제 전국적인 인물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지난 3월 <올랜도 센티널> 편집위원회에 의해 ‘올해의 중앙 플로리디안(Central Floridian of the Year)’으로 지명된 미드는 지난해 11월 플로리다 선거에서 140만 명에 이르는 중범죄자들에게 투표권을 회복시킨 플로리다주 수정헌법 4조를 통과시키는 데 최대의 공헌을 했다.

‘올해의 중앙플로리디안’ 수상식에서 미드는 "만약 우리의 국가가 강하고 나라가 강해지기를 바란다면, 우리 중 가장 약한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홈리스, 배고픈 사람들, 침묵하는 대중들, 아이들, 노인들... 나는 그들을 존중히 여긴다"고 말했다.

중범죄자였던 올랜도 주민 미드는 플로리다주의 선거권회복 절차를 바꾸기 위한 운동을 꾸준히 펼쳐왔다. 플로리다 주는 형기를 마친 중범죄자들에게 자동적으로 모든 권리를 회복하지 않은 4개주 가운데 하나였다. 플로리다 주 사면위원회에 계류중인 투표권 회복 소청 서류는 1만 건이나 되었고, 이를 다 처리하기위해서는 10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미드는 작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75만 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투표용지에 수정헌법 4조를 포함시키는데 성공했고, 결국 플로리다 유권자의 65%가 찬성표를 던져‘플로리다 수정헌법 4조’로 최종 확정되었다.

미드는 형기를 마친 많은 사람들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는 것은 사실상 형기의 연장을 뜻하는 것으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때 홈리스였고 자살 시도까지 했던 미드는 중범죄 전과 때문에 주 의회 의원에 입후보한 자신의 부인에게조차 투표할 수 없는 부당한 시스탬을 깨고자 했다. 나중에 그는 플로리다권리회복연합회(Florida Rights Restoration Coalition) 의장이 되어 헌법수정안을 채택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플로리다 주 공화당은 비록 수정헌법 4조에 따라 중범죄가들에게 투표권이 부여되었지만, 이들 가운데 복역을 마친 후에 정해진 벌금을 완납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투표권을 부여해서는 안 된다는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미드을 비롯한 인권운동가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미드의 수정헌법 4조 통과 노력은 반세기 만에 미국에서 가장 큰 투표권 확대로 이어졌고, 그의 이같은 노력에 유력지 <타임>이 보답한 것이다.

미드는 보도자료를 통해 "’타임 100’에 이름을 올린 것은 이웃에게 봉사하는 것을 다짐하는 힘, 그리고 조건과 사람을 변화시키는 사랑의 힘에 대한 보답이라고 믿는다”면서 "이런 영예를 받는 것이 고통에 가장 가까이 다가서려는 사람들의 리더십을 고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타임 100 리스트’에 든 인물들은 개척자, 리더, 예술가, 대중적인 인기인으로 분류되는데, 미셸 오바마, 스파이크 리, 레이디 가가 등이 이번 <타임 100 리스트>에 올랐다. 미드는 <타임> 4월 29일자에서 99명의 다른 사람들과 함께 온라인 (time.com/time100)에 게재될 예정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97 미국 백악관서도 확진자 나와 '초비상'... 트럼프-펜스 이상 없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4196 미국 '러시아 추문' 마이클 폴린 기소 취하, 워싱턴 정가 '시끌시끌' 코리아위클리.. 20.05.17.
4195 미국 미 정부 관리들 "대공황 시절 실업률로 돌아갈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4194 미국 인구센서스, 신종 코로나로 차질... 4개월 연장 추진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4193 미국 디즈니월드 7월 후반 재개장 예정... 기대감 속 우려도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4192 미국 COVID19 대출 독점하는 대형 프랜차이즈사, 이래도 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4191 캐나다 응급사업신용대출 소규모 자영업까지 확대 밴쿠버중앙일.. 20.05.20.
4190 캐나다 호건 수상, 인종혐오범죄 강력 경고 밴쿠버중앙일.. 20.05.20.
4189 캐나다 포코 영아 유기 생모 신원확인 밴쿠버중앙일.. 20.05.20.
4188 캐나다 재외 한국인 27개국 121명 코로나19 확진 밴쿠버중앙일.. 20.05.21.
4187 캐나다 캐나다인도 한국 적폐 언론과 생각이 다르다 밴쿠버중앙일.. 20.05.21.
4186 캐나다 상업용렌트보조 신청 25일부터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5.21.
4185 캐나다 한국정부, 특별여행주의보 5월 23일까지 연장 밴쿠버중앙일.. 20.05.22.
4184 캐나다 전 세계 재외문화원에서 ‘코로나19 함께 극복’ 메시지 전파 밴쿠버중앙일.. 20.05.22.
4183 캐나다 19일부터 미용실은 영업재개, 많은 식당들 아직 투고만 밴쿠버중앙일.. 20.05.22.
4182 미국 오늘도 잠이 안오면 어떻게 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5.22.
4181 미국 연방 법원, 법무부의 마이클 플린 기소 취하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5.22.
4180 미국 트럼프 대통령 "각급 학교 가을학기 반드시 문 열어야" 코리아위클리.. 20.05.22.
4179 미국 미 방역 전문가 "종합대책 없으면 가장 어두운 겨울 맞을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0.05.22.
4178 미국 플로리다 해군 항공기지 총격범, 알카에다와 접촉 밝혀져 file 코리아위클리.. 2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