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아치볼드 1).jpg

올해로 제98회를 맞는 호주 최고 권위의 미술상인 ‘아치볼드’(The Archibald Prize)는 시드니 출신 작가 토니 코스타(Tony Costa. 사진)씨에게 돌아갔다. 그의 우승작 ‘Lindy Lee’는 현대 예술가인 린디 리씨를 그린 작품이다.

 

사상 최다 출품-소재 다양화 특징... 참가 작가 성별 격차도 점차 줄어

 

올해 아치볼드(The Archibald Prize) 상은 예술가 린디 리(Lindy Lee)의 초상화 작품 ‘Lindy Lee’를 출품한 시드니 출신 작가 토니 코스타(Tony Costa)씨에게 돌아갔다.

지난주 금요일(10일) 오후 ‘Art Gallery of NSW’(AGNSW)는 올해 아치볼드 수상자를 최종 발표했으며, 코스타씨는 갤러리에서 수상 소감을 통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

코스타씨는 “마음이 가는 곳을 따라가라”(Follow your heart)라는 어머니의 말씀이 “인생 최고의 조언이었다”며 예술가로 전념하게 된 배경을 전했다.

코스타씨는 2015년, 2017년, 2018년 세 차례에 걸쳐 아치볼드 최종 심사작에 오른 바 있으며, 최종 우승작 ‘아치볼드’의 영예를 차지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올해 아치볼드 수상작의 소재가 된 린디 리씨는 유명 현대 예술가이자 실천적 불교신자로 알려져 있다.

코스타씨는 “린디씨가 AGNSW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본 적이 있는데 당시 그녀의 생각에 동의하는 부분이 많았다”면서 “그녀의 지혜와 겸손함, 용기와 유머가 좋았고, 무엇보다 예술을 향한 그녀의 깊은 관심에 매료됐다”는 말로 린디 리의 초상화를 그리게 된 배경을 밝혔다.

 

종합(아치볼드 2).jpg

올해 아치볼드 우승작의 ‘린디 리’. “그녀의 지혜와 겸손함, 용기와 유머가 좋았으며, 무엇보다 예술을 향한 그녀의 깊은 관심에 매료됐다”며 그녀의 초상화 작업을 하게 된 배경을 전했다.

 

“매번 그림을 그릴 때마다 머리를 비운다”는 코스타씨는 “목탄화 작업을 시작할 때마다 감정과 정보를 모은다”며 자신의 작품 활동 과정을 설명했다. 이어 “모델의 에너지, 즉 물리적인 현실에 대한 정서적인 감정을 모으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털어놓았다. 이어 “이번 린디 초상화에서는 시각적 소음을 배제시키기 위해 색감을 최소화했다”며 “궁극적으로 작품의 독창성과 통일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올해 최종 심사작,

다양화된 소재 특징

 

올해 아치볼드 상의 최종 심사작에 오른 작품들의 가장 큰 특징은 소재의 다양성이 다. 전체적으로 권위적인 인물은 찾아보기 어렵고, 남성보다 여성을 그린 작품이 많았으며, 정치인이나 부유한 자선가는 없었다. 9개 작품이 아시아 출신 호주인을 소재로 했으며, 셀프 초상화는 두 작품에 그쳤다.

AGNSW에 전시되는 51개의 최종 심사작 가운데에는 장애인올림픽에서 세 차례 금메달을 획득한 딜란 앨코트(Dylan Alcott) 선수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모습을 그린 초상화도 올해 눈에 띄는 작품 가중 하나로 꼽혔다. 또한 사무엘 콘돈(Samuel Condon) 작가의 수수한 셀프 초상화와 케이트 그래드웰(Kate Gradwell)씨의 ‘Yindyamarra: a portrait of Professor Michael McDaniel’는 넥타이를 맨 남성을 그린 초상화 두 작품에 포함됐다.

 

종합(아치볼드 3).jpg

최종 심사작에 오른 빈센트 나마찌라(Vincent Namatjira) 작가의 작품 ‘Art is our weapon– portrait of Tony Albert’. 호주 예술가 토니 앨버트(Tony Albert)를 소재로 했다.

 

이와 함께 호주 원주민 배우 나키아 루이(Nakkiah Lui), 저널리스트 애나벨 크랩(Annabel Crabb)과 레이 세일스(Leigh Sales)씨 등 TV 진행자 및 저널리스트와 작가 벤자민 로(Benjamin Law), 휠체어 테니스 선수 딜런 앨코트(Dylan Alcott)도 올해 출품작의 소재였다.

성별 차이를 보면 최종 심사작 가운데 남성 작가 28명, 여성 작가 23명으로 여전히 남성 작가들의 수가 많았지만, 남성 작가의 수가 여성의 세 배에 달했던 10년 전과 비교하면 작가의 성별 격차는 점차 좁혀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셀프 초상화가 많아 20개 작품이 모두 작가 자신을 그린 작품들이었으며 최종 심사에 오른 14명의 작가가 다른 예술가를 그린 작품이었으나, 올해는 반대로 셀프 초상화는 11개 작품이었으며, 다른 예술가를 그린 작품이 17개에 달했다.

 

올해 출품 작품 수

‘아치볼드’ 사상 ‘최다’

 

1921년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는 아치볼드 상은 올해로 98회째를 맞았다. 올해에는 총 919개의 작품이 출품되 역사상 최다치를 기록했다. ‘아치볼드 상’의 최종 수상자는 NSW 주립미술관(Art Gallery of NSW) 이사회에서 결정했으며, 이사회에는 교육 사업가 데이빗 곤스키(David Gonski), 호주 화가 벤 퀼티(Ben Quilty), 카딤 알리(Khadim Ali)씨 등이 포함되어 있다.

 

종합(아치볼드 4).jpg

최종 심사작에 오른 존 베어드(John Beard) 작가의 ‘Edmund (+Bill)’.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의 전 관장인 에드문드 카폰(Edmund Capon)씨를 소재로 했다.

 

우승 작가에게는 전체 20만 달러 가운데 10만 달러의 상금이 주어지며, 호주 최고 초상화 화가들과 함께 작품이 전시된다. 나머지 10만 달러는 ‘Art Gallery of NSW’가 주관하는 호주 최고의 풍경화 및 조각품 대회인 ‘웨인 상’(Wynne Prize) 및 ‘술만 상’(Sulman Prize) 우승 작품에 돌아간다.

아치볼드의 경우 작품 모델은 스포츠, 예술, 미디어, 또는 정치계와 같은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인사로 선택해야 하는 규칙이 있어 호주 삶의 스냅샷으로 여겨진다.

아치볼드 상의 최종 심사작 전시회는 AGNSW의 가장 인기있는 연례 전시회로 자리매김 했으며, 지난해에는 13만 명의 관객이 최대 20달러의 입장료를 지불하고 이를 관람했다.

관람객 입장료로 인한 전체 수입 약 200만 달러와 작가들이 지불하는 참가비(한 명 당 50 달러)가 모여 주최측은 지난해 비교적 많은 수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아치볼드 1).jpg (File Size:58.2KB/Download:20)
  2. 종합(아치볼드 2).jpg (File Size:64.7KB/Download:25)
  3. 종합(아치볼드 3).jpg (File Size:77.0KB/Download:24)
  4. 종합(아치볼드 4).jpg (File Size:93.6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51 호주 마리아 윅 작가, 올해 ‘KAAF Art Prize’ 1등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50 호주 “부동산 시장, 내년에도 완만한 성장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9 호주 지난 주말 경매, 올 봄 시즌 매물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8 호주 에타놀 혼용 휘발유 판매, 의무 규정 강화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7 호주 시드니 무슬림들, 타 소수민족 비해 인종차별 3배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6 호주 “시드니 주택부족, 테라스 주거지가 정답?”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5 호주 젊은층의 ‘이슬람 급진화’ 차단,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4 호주 던컨 게이 장관, “올림픽 파크에 경전철 건설” 암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3 호주 정치적 의리와 권력, 그리고 은밀한 수상 교체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2 호주 ‘스마트 도시’ 지향의 시드니가 본받을만한 도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41 뉴질랜드 뉴질랜드 공식 국기 변경을 위한 1차 국민투표 실시중 굿데이뉴질랜.. 15.12.04.
6340 뉴질랜드 에어 뉴질랜드, 3년 연속 ‘올해의 항공사’로 선정 굿데이뉴질랜.. 15.12.04.
6339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 “휴가철 맞아 승객 급증, 공항 이용 시 참고해야” file 굿데이뉴질랜.. 15.12.04.
6338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문화 워크숍’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7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호주 교사들 대상 ‘독도 홍보’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6 호주 이민자 정착 서비스에서 노인 복지까지... 한인복지회 26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5 호주 시드니 경매시장, 12월 첫 주 낙찰률 57.5%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4 호주 라이카트 지역, 구매자 움직임 여전히 ‘활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3 호주 어번 카운슬, 지역 업소 대상 서비스 평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2 호주 루시 턴불, 광역시드니위원회 위원장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1 호주 주택가격 상승, 구입시 부모 도움 더욱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30 호주 파라마타-올림픽 파크 경전철, 2019년 공사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29 호주 호주인들, 2014년 자선단체에 68억 달러 기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28 호주 흡연-음주량 줄었지만 운동부족-과체중 문제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27 호주 맥팔레인 의원 ‘당적 변경’ 시도, 집권당 ‘당혹’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26 호주 턴불 정부, 미래 비전 아이디어에 11억 달러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25 호주 NSW 주 교육부 직원 1천800명, 파라마타 배치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324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기교체 국민투표 1차 결과 - 검정∙하양∙파랑 실버 펀 디자인 최다 득표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3.
6323 호주 총영사관, 한호 친선의 밤 행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22 호주 한인 스몰 비즈니스 대상 '재무전력‘ 워크숍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2.17.
6321 호주 호주 유일 ‘이중언어’ 학교 캠시초등, 내년도 유치원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20 호주 한국 전통주, 술 소비 많은 호주 현지 소비층 ‘겨냥’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9 호주 “호주 현지 소비자 대상 마케팅에도 주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8 호주 크리스마스 앞두고 단독주택 판매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7 호주 켄싱톤 소재 주택, 경매 개시 60초 만에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6 호주 NSW 주, 모바일 스피드 카메라 차량 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5 호주 호주 동부 및 남부 지역 산불 대부분은 ‘인재’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4 호주 시드니 기반의 ‘아틀라시안’, 올해의 ‘성공 신화’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3 호주 호주 청소년들, 소셜 미디어 순위에 매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2 호주 마틴 플레이스 비극 1년. “우리 슬픔은 끝나지 않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1 호주 퀸즐랜드 LNP, 맥팔레인 의원 당적 변경 막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0 호주 올해 New Year's Eve 불꽃쇼 주제는 ‘City of Colour’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09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인지세 수입 확대로 ‘행복한 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08 호주 올해 HSC, 남학생 강세 과목서 여학생들 ‘두각’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07 호주 2016년 해외여행에서 알아둘 16가지 팁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06 뉴질랜드 오클랜드도 '도시 브랜드' 바꾼다, 50만달러 투자 계획세워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8.
6305 뉴질랜드 독성물질 포함된 좀약 전량 회수 처분 file 굿데이뉴질랜.. 15.12.18.
6304 호주 “재외선거, 쉽고 편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303 호주 올해의 마지막 시드니 주말 경매 낙찰률 61.4%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302 호주 달링하버 ‘시드니 엔터테인먼트 센터’, 문 닫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