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타임스>, ‘트럼프 1980~1990년대 11억 7천만 달러 넘는 손해’
 

donald.jpg
▲ 2016년 공화당전국대회 무대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모습. <위키피디아 공유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연방 의회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세금 명세를 제출하라고 국세청(IRS)에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사업에서 많은 돈을 잃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뉴욕타임스> 는 7일 부동산 재벌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이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호텔과 도박장, 부동산 사업에서 10억 달러가 넘는 손해를 봤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1985년에만 4600만 달러의 사업 손실을 봤고, 1990년과 1991년에 각각 2억5천만 달러 손해를 봤다고 보고하는 등 1994년까지 10년 동안 총 11억7천만 달러를 잃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사실은 <뉴욕타임스>가 관련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인물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IRS에 낸 세금 보고 내용을 담은 인쇄물을 입수해 알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밝혀진 내용대로 라면 지난 대선 내내 선거운동 당시부터 자수성가한 사업가, 성공한 기업인이란 점을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에 금을 가게 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거래의 기술(Art of the Deal)>이란 책을 낼 만큼 협상의 달인으로 자처해 왔다.

<뉴욕타임스 >는 세금 정보를 다른 고소득자들과 비교한 결과, 이 시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어느 납세자보다도 더 많은 돈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이같은 사업 손실 덕분에 10년 중 8년은 트럼프 대통령이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하원 세입위원회가 트럼프 대통령 세금 명세를 요구하고 있긴 한데 기간이 다른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 민주당 소속인 리처드 닐 하원 세입위원장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년 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과 사업 세금 보고 명세를 제출하라고 연방 국세청(IRS)에 요구했는데,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6일 개인 정보가 정치적으로 악용될 우려가 있다며 세입위 요구를 거부한 상태다.

미국 정치인들은 보통 세금 보고 명세를 자진해서 공개한다. 대통령과 부통령 등 고위 공직자뿐 아니라, 대선 후보들도 세금 보고서를 공개하는 것이 관례화 되어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거듭되는 요구에도 공개를 거부해왔는데, 세금 보고서 공개를 거부한 대통령은 1970년대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세금 보고 공개를 거부하는 이유를 IRS 감사가 진행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앞서 IRS는 감사와 세금 보고 공개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이 생각보다 많지 않거나, 세금 보고를 통해 불법 행위가 드러날 가능성 때문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 측은 8일 변호인을 통해 <뉴욕타임스>이 보도한 세금 정보가 “매우 정확하지 않다”고 반박한데 이어, 트위터를 통해 ‘당시에는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활발하게 건물을 짓고 있으면, 거의 모든 경우에서 손해가 난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었다’고 해명했다. 당시의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세금 절감을 위해 했던 관행이라는 주장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캐나다 18세 미만도 자가격리대상으로 밴쿠버중앙일.. 20.05.06.
5276 캐나다 트랜스링크, 6월 1일부터 버스요금 징수 재개 밴쿠버중앙일.. 20.05.05.
5275 캐나다 버나비 한산한 도로 기분내고 달리는데 483달러 밴쿠버중앙일.. 20.05.05.
5274 캐나다 호수에 빠진 어린이 2명 결국 숨진채 발견 밴쿠버중앙일.. 20.05.05.
5273 캐나다 대한민국은 선진국일까? 실감나지 않는 단어 ‘선진국’ - 오충근의 기자수첩 file CN드림 20.05.04.
5272 캐나다 직원 1천명 확진 판정, 앨버타 육류 공장 조사 - 사망자도 발생, 노조 “미리 임시 폐쇄 했더라면” file CN드림 20.05.04.
5271 미국 캐나다 캘거리 멈추지 않는 바이러스 확산세..정점 도달은 언제? file CN드림 20.05.04.
5270 캐나다 캐나다 록키산맥의 심장 밴프 경제, 올 스톱 - 관광산업에 직격탄 CN드림 20.05.04.
5269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시민들, “코비드 보다 경제 충격 더 무서워” -응답자 70%, “경제 후폭풍 우려” file CN드림 20.05.04.
5268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도 경제 재개 계획 발표 - 5월 14일부터 1단계 시행 CN드림 20.05.04.
5267 캐나다 써리겅찰 마약범죄자 잡으니 분실 신분증 신용카드 쏟아져 밴쿠버중앙일.. 20.05.02.
5266 캐나다 경찰 500명 자가격리 감시대상자 직접방문 밴쿠버중앙일.. 20.05.02.
5265 캐나다 한-캐나다 양국 국방장관 양국 협력 확인 밴쿠버중앙일.. 20.05.02.
5264 캐나다 캐나다KEB하나은행, 한인금융기관중 최초 CEBA대출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5.01.
5263 캐나다 식품가공공장 새로운 코로나19 감염 중심지가 되나? 밴쿠버중앙일.. 20.05.01.
5262 캐나다 BC주 비상선포 기간 3번째 2주 연장...5월 12일까지 밴쿠버중앙일.. 20.05.01.
5261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5월 4일 식당-소매업 등 문 연다... 드샌티스 주지사 "터널 끝 빛이 보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30.
5260 캐나다 [29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BC주 4번째 닭고기가공공장 집단 감염 밴쿠버중앙일.. 20.04.30.
5259 캐나다 2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890명 밴쿠버중앙일.. 20.04.30.
5258 캐나다 캐나다인, 한국만 캐나다보다 코로나19 대응 잘한 국가 밴쿠버중앙일.. 2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