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2d45bce77c909ffc1e5f819d9cbfd0_1558168
 

 39주년 광주민중항쟁을 기념하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5.18기념식이 뉴질랜드에서 역사를 기억하고 잊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동포들과 함께 오늘(18오후 4오클랜드 한인회관에서 진행했다기념식은 애국가 제창 등 국민의례순국선열 및 민주 영령에 대한 묵념, 5.18 민주화운동 관련 동영상 시청 그리고 홍배관 주 오클랜드 총영사의 대통령 기념사 대독박세태 오클랜드 한인회장의 기념사로 이어졌고 행사 말미에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이어졌다

 

e22d45bce77c909ffc1e5f819d9cbfd0_1558168
 

박세태 오클랜드 한인 회장은 ”5.18기념 행사가 뉴질랜드에서 열리게 되어서 가슴이 뛴다며 "오늘의 민주주의는 당시 시민들의 노력과 많은 희생을 통해 만들어왔다"라며 "이제 더 나은 민주주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자"고 말했다.

 

 e22d45bce77c909ffc1e5f819d9cbfd0_1558168 

오늘 행사에 참여한 남인숙 교민은 대학시절에 겪은 5.18이 어느 덧 39년이 지났지만 하루 하루 급박했던 당시 상황이 어제 일처럼 떠오른다"며 "아직 지혈이 되지 않은 상처인 5.18 민주화운동은더 많은 사람이 역사인식과 정의감을 가질 때 우리 현대사의 비극적인 역사는 진화할 수 있을 것이다임을 위한 행진곡을 힘차게 불렀다.

 

 

김보연씨는 당시 5.18민주화 운동 현장에는 없었지만 5월이면 항상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며 오늘 행사에 참여 하는 것이 희생당한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위로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참여했다.앞으로는 더 이상 이러한 희생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라며 오늘 행사에 참여한 동기를 밝혔다.  

 

 

오늘 행사 사회를 진행한 더좋은 세상 뉴질랜드 한인 모임’ 김명진(22세) 씨는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해외에 있는 한인 이민 1.5세대, 2세대 들이 더 많이 인지하여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오늘 행사의 사회를 진행하면서 뉴질랜드 한인들에게 민주화 운동이 얼마나 큰 의미가 있는지 다시한번 새롭게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7살의 아이와 함께 행사에 참여한 강세연(핸더슨 거주, 43)씨는 “5.18을 처음 알게 되었던 대학시절 정말 큰 충격이었다서울 출신이지만 해마다 5.18이면 망월동에 가서 그들을 생각하며 함께 했다오클랜드에서는 처음 맞는 5.18 행사에 참여해서 간절한 마음으로 그들을 대했다대한민국 반대편 뉴질랜드에서 이렇게 가족 함께 5.18을 기억하고 함께 할 수 있게 해 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마지막으로 5.18에 숨어 있는 모든 진실이 명명백백히 밝혀 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e22d45bce77c909ffc1e5f819d9cbfd0_1558168
e22d45bce77c909ffc1e5f819d9cbfd0_1558168
 

 

한편 호남 향우회 주체로 지난 15일부터 열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치유 사진전은 1980 5월 광주의 긴박했던 상황들의 사진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5.18 민주화 운동을 모르는 우리 교민 자녀들에게 생생한 사진들을 통해 가슴 아팠던 한국 현대사를 보여주었다.  

 

e22d45bce77c909ffc1e5f819d9cbfd0_1558168
e22d45bce77c909ffc1e5f819d9cbfd0_1558168
 

사진김수동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03 호주 노조의 ‘전력 민영화 비방’에 NSW 베어드 수상 분노 호주한국신문 15.02.19.
2502 호주 NSW 경찰 노조, “대테러 강화 위한 훈련 필요” 호주한국신문 15.02.19.
2501 호주 NSW 주, ‘학생 과밀’ 해소 위해 신규 고교 설립 호주한국신문 15.02.19.
2500 호주 호주 크리켓 선수들, ‘스포츠 부자’ 상위권 호주한국신문 15.02.19.
2499 호주 레드펀 ‘The Block’ 천막 원주민들, 시위 이유는... 호주한국신문 15.02.19.
2498 호주 이슈 / ‘발리 나인’- 사형 집행 위한 교도소 이감 일단 연기 호주한국신문 15.02.19.
2497 호주 이슈 / ‘발리 나인’- “재판 과정서 판사가 뇌물 요구” 제기 호주한국신문 15.02.19.
2496 호주 이슈 / ‘발리 나인’- 감형 청원, 호주인 서명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5.02.19.
2495 호주 이슈 / ‘발리 나인’- 애보트 수상, “모든 호주인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호주한국신문 15.02.19.
2494 호주 이슈 / ‘발리 나인’- 발리 마약밀반입 시도 타임 라인 호주한국신문 15.02.19.
2493 호주 중국 투자자, 시드니 ‘경매시장’서 강세 호주한국신문 15.02.26.
2492 호주 NSW 노동당, 한인 대상 ‘정책 발표회’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2.26.
2491 호주 ‘가정폭력’ 가해자 처벌 ‘솜방망이’... 우려 제기 호주한국신문 15.02.26.
2490 호주 NSW 경찰, 10개 음주운전 특별 단속 지역 공개 호주한국신문 15.02.26.
2489 호주 외국인 부동산 투자자에 5천 달러 수수료 ‘제안’ 호주한국신문 15.02.26.
2488 호주 ANZ, 멜버른·시드니 지역 140명 직원 감축 호주한국신문 15.02.26.
2487 호주 노동당, ‘파라마타-올림픽 파크’ 경전철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5.02.26.
2486 호주 노동당, 200억 달러 인프라 계획 공개 호주한국신문 15.02.26.
2485 호주 “동성결혼 고려...” 루크 폴리 입장 바꿔 호주한국신문 15.02.26.
2484 호주 “발리 나인’ 사형 집행 연기는 없을 것...” 호주한국신문 1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