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부족, 교통 심화, 집값 상승, 자연 파괴 등
 
traffic.jpg
▲ 올랜도 도심지를 통과하고 있는 차량들. 주 인구가 증가하면서 교통난은 더 심각해질 전망이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주 공식인구가 2천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달 22일 공개된 미국 인구센서국 자료에 따르면, 플로리다 인구는 2천27만1272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로써 플로리다 주는 캘리포니아(3천900만명), 텍사스(2천750만명)에 이어 미 전역에서 2천만명이 넘는 세번째 주가 됐다.

 

플로리다대학 경제 및 비즈니스 연구소는 주 인구가 당분간 계속 늘어나 2030년에는 26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인구증가가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면에 영향을 끼치면서 부정적인 댓가를 결코 간과할 수 없다.

인구증가에 따른 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환경, 교통, 그리고 여타 사회기반들의 문제가 심각해진다는 것이다. 일례로 캘리포니아주는 근래에 유입 인구보다 이탈 인구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는 교통 체증, 물가 상승, 안전 시스탬의 쇠락 등에 따른 부작용 탓이다.

무엇보다 플로리다 수자원 공급 부족은 심각한 문제이다. 주 환경청(DEP)은 2030년까지 하루 물 부족량이 10억 갤런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애담 풋남 주 농림부 장관은 플로리다 스프링과 지하수 등 수자원 보호 정책 법안(Florida Springs and Aquifer Protection Act)을 올해 주 의회가 최고 의제로 삼도록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물 부족 문제는 탬파 베이보다는 올랜도가 더 심각하다. 최근 <탬파 트리뷴>에 따르면 탬파 지역은 현재 물 공급 원천이 되는 저수지, 호수, 개천 등 수자원이 2040년까지는 충분한 데다 5년 단위 수자원 공급 계획도 세워져 있다.

반면 지하수에 의존하는 메트로 올랜도는 펌프 작업의 한계로 2030년까지 일일 2억5000만 갤런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센트럴 플로리다내 3개 수자원 연합체(The Central Florida Water Initiative)는 이를 해결하는 데 30억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한다.

도로 교통도 심각한 문제이다. 부동산 침체 후 주택 건설과 관광 열기가 수그러들었지만 경기회복과 함께 되살아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가들이 한동안 밀쳐두었던 교통 개발 계획을 다시 진지하게 점검해야 할 시기가 된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미 전역에서 자동차 여행 마일수가 3.6% 증가했고 플로리다는 6% 늘어났다. 이는 자동차 판매 증가와 가솔린 가격 하락이 한몫 했지만 주 인구 증가로 인해 이같은 경향은 지속될 전망이다.

주정부는 I-275와 I-4 등 교통정체가 심각한 곳의 도로 개선과 확장사업에 그 어느때보다 많은 자금을 쏟고 있는 중이지만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주민들은 계속 교통 문제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

허리 휘는 베이비 부머들

베이비부머의 증가는 앞으로 20여년간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 인구중 1946년에서 196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는 7500만명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기후가 따뜻한 플로리다를 은퇴지로 정하고 있다. 올랜도에서 1시간 거리 중북쪽 은퇴도시인 더 빌리지스가 지난 1년 동안 인구가 5.4%가 증가하여 전국 1위의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과거에도 플로리다는 스노우버드(계절성 이동 은퇴인)를 포함한 은퇴인에게 인기 있는 지역이었다. 특히 당시의 스노우버드들은 주로 모빌홈에서 겨울을 보내다 다시 본 주거지로 돌아가곤 했다. 큰 부담없이 제2의 주거지를 장만할 수 있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요즘 나이든 베이비부머와 젊은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콘도 혹은 아파트들은 호화스럽다. 특히 마이애미, 탬파, 올랜도 지역내 다운타운 주거지는 일반인들의 형편으로 살아가기에는 턱없이 가격이 높다. 베이비부머의 주거지 마련이 점차 힘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환경 파괴 역시 인구 증가에 따라오는 문제이다. 신 주거지가 들어설 만한 땅을 확보하려면 자연지를 더욱 침범하는 것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다. 지난 2014년 플로리다가 뉴욕 인구를 앞지른 이후 지역 생태연구가들은 신 주거지 건설로 인한 자연환경 파괴를 우려하고 있다.

이들은 플로리다 인구 증가의 주된 이유 중 하나인 좋은 자연환경이 인구 증가에 의해 도리어 파괴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주 정부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관련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90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태로 정치와 경제 모두 불안 유로저널 14.03.20.
3589 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 독일 file 유로저널 14.03.25.
3588 G7 정상,러시아 고립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file 유로저널 14.03.26.
3587 스페인 천주교신자들,낙태와 동성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03.28.
3586 세계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향후 5 년이내 302억 달러 전망 file 유로저널 14.04.08.
3585 캐나다 밴쿠버중앙일보, 캐나다한인상공실업인총연합회와 MOU 체결 file 밴쿠버중앙일.. 14.06.03.
3584 캐나다 [캐나다] 밴쿠버에서 대한테니스협회장배 대회 개최 옥자 14.06.18.
3583 캐나다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한남수퍼마켓, BC 한인축구협회와 조인식 옥자 14.09.03.
3582 미국 현경대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달라스 찾는다” KoreaTimesTexas 15.02.10.
3581 미국 북텍사스 한인 간호사협회 2015 정기총회 개최 KoreaTimesTexas 15.02.13.
3580 미국 “세월호 유가족 달라스 찾는다” file KoreaTimesTexas 15.02.27.
3579 미국 만18세 국적포기, 3월 31일 놓치면 “병역의무져야" file KoreaTimesTexas 15.03.21.
3578 미국 추신수, 세월호 1주기 추모 “노란리본 달았다” file KoreaTimesTexas 15.04.17.
3577 미국 다운타운에 퍼진 ‘신명나는 우리 가락’ file KoreaTimesTexas 15.04.17.
3576 미국 중소기업 진출, “달라스 무역관이 돕는다” file KoreaTimesTexas 15.04.23.
3575 미국 한국전 참전용사 위한 ‘감사 음악회’ file KoreaTimesTexas 15.04.24.
3574 캐나다 캐나다 한인 노인회 전국대회, 캘거리에서 열려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5.
3573 미국 미주 호남향우회 총회 달라스에서 개최 file KoreaTimesTexas 15.05.16.
3572 미국 성영준, 시의원 도전 '실패'… 513표 차이로 낙선 file KoreaTimesTexas 15.05.16.
3571 미국 텍사스 레인저스, “한국의 날” 행사 개최 file KoreaTimesTexas 1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