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105070542_cn_hongkong_causeway_bay_paul_lee_976x549_afp_nocredit.jpg

 

150여년간 외국의 지배를 받아오며 지정학적으로 복잡성을 띤 홍콩의 역사 속에서 다국적 소지자라는 사실은 더 이상 중국의 법망을 피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사라진 출판사 사장 리 보(李波·65)의 행선지가 어디이고 그리고 어떤 상태로 있는지 여전히 오리무중인 가운데 한 가지는 확실해졌다. 홍콩 시민 중 인종이 중국인이라면 중국의 법망을 피해갈 수 없다는 것이다. 리 보는 홍콩 시민이면서 영국령 여권 소지자였다.


앞서 중국의 왕 이 외무장관은 영국령 여권 소지자인 리 보의 사건이 빨리 해결되기를 바란다는 영국 정부 관료의 말에 대해 “리는 무엇보다 중국 시민”이라면서 타국이 상관할 바가 아니라는 입장을 보였었다.


사실 중국인으로서 중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여권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은 이중 국적을 부여한 해당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 많은 홍콩 시민들이 홍콩 이외에 다른 나라의 여권을 소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중국 정부는 홍콩 시민들이 다른 나라 여권을 사용하는 데 대해 관대한 태도를 보여왔다.


그러나 이번 왕 이 외무장관의 발언은 이중국적을 가지고 있는 많은 홍콩 시민들을 불안에 떨게 만들었다. 중국 인민공화국 국적법 3항에 따르면, 이중 국적 또는 이중 시민권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런데 중국인종의 후손으로서 홍콩을 포함한 중국 영토에서 출생한 홍콩 시민은 중국 정부가 중국 국민으로 규정하고 있다. 1996년 중국 정부는 전인대 상무위원회를 통해, 영국이 식민지였던 홍콩 주민에게 부여한 영국 시민권은 인정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바 있다. 전인대 발표는 “그들은 모두 중국 국적자이며 홍콩은 물론 중국 어디에서도 영국 영사관의 보호를 받을 수 없다”고 명시했다.


홍콩 시민 중 340만명은 ‘BNO(British National Overseas/ 영국 거주권은 인정하지 않음)’소지자이며 20만명은 호주나 캐나다 국적을 소지하고 있다. 


홍콩은 이중 국적에 대해 거의 아무 제재가 없어 많은 인재를 끌어들이는 요인이 되었으나 공직에 오르려면 이것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실제로 소캄렁 통상국장은 앞서 행정직에 임명될때 캐나다 유학시 시민권을 취득한 사실이 알려져 곤욕을 치뤘으며 결국 캐나다 국적을 포기한 후 공직을 가질 수 있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16 중국 로홍군, 훈춘 경산릉원에 안치 연변방송국 15.09.16.
1615 중국 무지개길 2015연변공익활동 가동식 연변박물관서 연변방송국 15.09.20.
1614 중국 연변 홍기민속촌 전국각지의 관광객들로 붐벼 연변방송국 15.09.22.
1613 중국 “장춘은 이제부터 연변에서 '가까운' 도시...” 연변방송국 15.09.23.
1612 중국 연변 태양광발전산업의 시대 열리나?! 연변방송국 15.09.25.
1611 중국 2015갑급리그 순위표 연변방송국 15.09.26.
1610 중국 <렬사기념일> 맞아 혁명선렬 추모 연변방송국 15.10.01.
1609 중국 연변의 금강산-선경대 연변방송국 15.10.07.
1608 중국 훈춘 맹령사과 판매호황을 연변방송국 15.10.10.
1607 중국 연변장백산축구구락부에 보내는 연변주당위와 주정부의 축하편지 연변방송국 15.10.19.
1606 중국 훈춘 "야거얼"국제복장성 공사, 순조롭게 진행 연변방송국 15.10.20.
1605 홍콩 분노하는 홍콩 공립병원 의사들 옥자 15.10.22.
1604 홍콩 홍콩인 영어 구사력, 아시아 12개 국가 중 9위 홍콩타임스 15.11.11.
1603 홍콩 홍콩 aT, 호텔 아이콘과 함께 한식 세계화·대중화 앞장서 홍콩타임스 15.11.12.
1602 중국 황소담보 대출..연변황소사양업의 융자난 해결 file 연변방송국 15.11.16.
1601 홍콩 홍콩, 새로운 바람은 불 것인가? 홍콩타임스 15.11.26.
1600 홍콩 마카오에서 엑소가 뭉쳤다! ‘엑소 플래닛 #2-디 엑솔루션’ 성료 홍콩타임스 15.11.28.
1599 홍콩 홍콩에서 바라본 '2015 MAMA'..."한류바람 이용 마케팅 성공" vs "팬 서비스 아쉬움 커" 홍콩타임스 15.12.04.
1598 홍콩 美서 대유행 '푸드트럭’... 홍콩서도 볼 수 있을까 홍콩타임스 15.12.10.
1597 홍콩 홍콩쇼핑센터 ‘CTF HOKO’ 선전 첸하이에 개장... 중국 본토 첫 진출 홍콩타임스 15.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