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평균 연봉 3% 증가, 아태 지역 4위

 

8.png

▲홍콩은 전반적인 임금 패키지 측면에서 4 위를 차지했다(사진=scmp)

 

 

2018년 홍콩의 외국인 주재원들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 일본, 중국 본토, 인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연봉을 수령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외국인 인재들에게 연봉 측면에서 여전히 매력적인 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원 컨설팅 회사인 ECA 인터내셔널은 홍콩 내 280개 다국적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160개국 출신의 외국인 주재원 1만 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 결과, 2019년에 해외 주재원 유치 전망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ECA 인터내셔널의 조사에 따르면, 홍콩의 외국인 주재원들은 2018년에 평균 3% 급여 인상이 되어 연봉이 61,600 홍콩 달러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관리자급 직무의 외국인 주재원들은 주택 보조 등 수당을 포함해 평균 연봉이 216만 홍콩 달러로 나타났다.

 

홍콩은 월 수령 급여, 수당, 세금 등을 반영한 전체 연봉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 4위이지만, 월 수령 급여만 고려했을 때 5위로 나타났다. ECA 인터내셔널은 “작년 주재원의 연봉 중 자녀 국제학교 학비, 주택 월세 보조 등 수당이 증가하면서 주재원의 전체 연봉 인상폭이 컸다. 다양한 수당 혜택으로 홍콩은 회사와 외국인 주재원 모두에게 매력적인 도시로 굳건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웨강아오 대만구 지역의 양질의 생활수준과 수준 높은 국제학교 등 거주 조건으로 대만구 지역의 타 도시가 홍콩보다 외국인 주재원 유치 경쟁에서 우위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현재 큰 논쟁이 되고 있는 홍콩 범죄인 인도법 도입이 홍콩 내 기업들이 외국인 인재를 유치하고 확보하는데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ECA 인터내셔널은 “아시아 태평양을 거친 유사한 정치적 불안정성이 그동안 홍콩의 매력으로 여겨진 고도 높은 개인의 자유도와 법의 지배 자유도가 약화되면서 홍콩의 외국인 주재원 유치 경쟁력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 개인의 자유가 위협된다고 생각하면 더 이상 홍콩 취업을 피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민국에 따르면, 2018년 취업비자 발급 건수가 41,592건으로 2014년의 31,676건보다 약 1만 건 가까이 증가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720.9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6 홍콩 서비스 아파트 임대료, 7분기 연속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2.02.
475 홍콩 지난해 홍콩 사망자 수, 출생아 수 처음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21.02.02.
474 홍콩 홍콩 ‘외국인 주재원이 가장 살기 좋은 도시’, 93위→58위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1.02.02.
473 홍콩 홍콩 기업 5개 중 1개, ‘1분기 사업 전망 악화’ 예상 file 위클리홍콩 21.02.02.
472 홍콩 홍콩 신생 항공사, 100여 개 노선운항권 신청 file 위클리홍콩 21.02.02.
471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2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2.09.
470 홍콩 공립 병원 인력난, ‘해외 의사에 대한 요건 완화’ 제안 file 위클리홍콩 21.02.09.
469 홍콩 새로운 트렌드 재택근무, 외곽섬으로 이사하려는 사람 늘어나 file 위클리홍콩 21.02.09.
468 홍콩 팬데믹에 지난해 소비자 불만 3만 건 훌쩍…26%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09.
467 홍콩 춘절 꽃 축제 특수 잃은 꽃 상인 ‘울상’ file 위클리홍콩 21.02.09.
466 홍콩 홍콩 은행권 실적 2008년 이후 최악…세전 이익 30%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1.02.09.
465 홍콩 전교생 조건부 등교 허용 조치, 교육계 불만 쏟아져 file 위클리홍콩 21.02.09.
464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2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2.23.
463 홍콩 거리두기 완화에 활기 띤 홍콩 요식업 file 위클리홍콩 21.02.23.
462 홍콩 동부 침사추이 상권 침체… Covid-19 칼바람 맞는 상인들 file 위클리홍콩 21.02.23.
461 홍콩 Covid-19, 변이 일으키는 이유는? file 위클리홍콩 21.02.23.
460 홍콩 '코로나 블루'에 술 소비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23.
459 홍콩 도시별 갑부 수 상위 10위, 홍콩만 유일하게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1.02.23.
458 홍콩 외국인 가사 도우미, 비자 거부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23.
457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