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정부에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대책 요구
 
news_img1_1559662016.png

사진출처: 에드먼턴 저널  

 

산불이 번져 대피한 하이 레벨 주민들은 하늘이 온통 짙은 연기로 뒤덮혀 오렌지 빛 태양 아래 거의 인적이 드문 곳에 앉아 예상보다 오랫동안 집을 비울 것을 각오 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주민들은 월요일 슬레이브 호수, 라 크레타, 하이 프레이리, 그란데 프레이리, 피스 리버에 설치된 대피소로 대피했다. 크리스털 맥아더 하이 레벨 시장은 산불의 위험이 사라지거나 줄어들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인내심을 가지기를 당부하고 있으며, 우리의 대피는 가까운 미래에도 계속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시장은 화재 현황 업데이트 과정에서 "당신이 듣고 싶어했던 뉴스가 아닌 우리 현실의 불확실성을 이야기 하겠다"고 말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알리지 않는다면 시의회가 무책임한 것이다. 그러니 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오래 집을 비울 준비를 하라."고 촉구했다.

하이레벨 시장 주정부에 신속한 도움 촉구

나흘째 소방대원들의 헌신적 노력으로 9만7천 핵타르를 태운 불길이 잡히고 주민들을 대피 시키는 가운데 크리스탈 맥아터(Crystal McAteer) 하이 레벨 시장은 주 정부에 주민들을 직접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요청했다. 
맥아더 시장은 비상구급 요원들에 의해 피난 명령을 받은 5천 명에 가까운 주민들이 "매우 현실적" 위기에 직면해 경제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장은 제이슨 케니 주 수상에게 2011년 슬레이브 레이크 화재와 2016년 포트 맥머레이 화재 당시 주민들이 음식, 숙박, 의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1250달러 상당의 직불카드를 받은 프로그램을 반영할 것을 요청했다.
"우리는 다른 지역사회만큼 부유하지 않으며 취약한 사람들 중 일부는 금전적 여유가 없다"고 시장은 브리핑에서 말했다.
소방대원들이 문자 그대로 이틀 연속 화마와 싸우면서 마을로 들어오는 연료원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라 크레타(La Crete)에서 슬레이브 레이크에 이르는 지역사회 봉사자들은 대피자들이 편안하게 지낼 수 있게 노력을 계속했다. 
라 크레타에서는 하이 레벨에서 120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수백 명의 대피자들이 임시로 자리를 잡았다. 에스프레소 하우스를 공동 관리하고 있는 윌리 피터스는 산불로 인해 월요일 정전이 된 것만 다행이라고 말했다. 피터스는 "발전기가 월요일에 가동돼 화요일에 대부분의 음식을 제공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하이 레벨에서 약 540Km 떨어진 슬레이브 레이크에는 약 1,000명의 대피자들이 접수 센터에 등록되어 있다. 
타일러 워만(Tyler Warman) 슬레이브 레이크 시장은 400-500명의 대피자들이 슬레이브 레이크에 머물고 있다면서 이 마을의 호텔에서 현재 수용 가능하지만 필요하다면 1,200개의 침대를 더 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피자들이 지낼 수 있다면 추가 캠프를 만들겠다."는 워만 시장은 "현재 하이 프라리로 우회해서 그곳 호텔에서 먼저 대피자를 수용하기 때문에 캠프 설치를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하이 레벨 화재 피해자 돕기

통제불능의 산불로 하이레벨과 인근 마을 주민들에게 대피령이 내린 가운데 인근 마을에서 화재 피해자들을 따뜻하게 맞으며 재난 당한 이웃에게 온정을 베풀고 있다.
이번 화재로 300명 가까운 이재민들이 몰린 포트 버밀리온(Fort Vermillion) 주민들은 웃으며 즐거운 마음으로 문을 활짝 열고 불행을 당한 이웃을 기꺼이 돕고 있다. 
화재 현장의 연기가 대기를 오염시켜 대기의 질이 떨어져 대피 명령에 따라 이동해 온 피해자들은 숙소, 음식, 약품을 공급 받고 있다. 커뮤니티 센터 마당에는 대형 텐트 여러 동을 설치해 가족들과 함께 지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샤워시설, 세탁시설을 확충했다. 
산불이 처음 났을 때 대피 기간은 72시간이었으나 그 후 연장되었다. 금요일까지 9만8천 헥타르를 태운 산불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소방대원들이 불길과 싸우고 있다. 
하이 레벨 시장은 현재 5천명이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주 정부에 경제적 도움을 요청했다. 주 정부는 화재 피해자에 대한 지원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소방 당국은 154명의 소방대원이 화마로부터 공공 재산과 시민들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가연성 물질을 멀리 이동 시키고 시내 곳곳에 스프링 쿨러를 설치 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소방당국은 날씨가 화재 진압에 도움을 주고 있으나 시민들이 언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는 대답하지 어렵다고 유보적 태도를 취했다. (오충근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57 미국 [코로나 이모저모] 코로나 위기 상황서 팁 1만불... 따뜻한 온정의 손길도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3.
4356 캐나다 BC 공립대학생 대상 긴급재정지원 밴쿠버중앙일.. 20.04.04.
4355 캐나다 코로나19보다 더 빠르게 확산되는 가짜뉴스 밴쿠버중앙일.. 20.04.04.
4354 캐나다 트뤼도 총리, "언제 코로나19 해결될 지 예단하지 않겠다" 밴쿠버중앙일.. 20.04.04.
4353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확진 1만 명 눈앞… 마이애미, 매일 1천명씩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4.
4352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미국 30만 명-플로리다 1만 1천 명… 마이애미 '1천명 증가세' 지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4351 미국 드샌티스 주지사 I-95와 I-10 검문 명령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4350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공립학교 온라인 수업 들어가 코리아위클리.. 20.04.05.
4349 미국 미국 코로나 환자 20만명 육박 세계 최다...사망자도 크게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4.05.
4348 미국 연방정부 부양기금 2조2천억 달러 어떻게 지급되나 코리아위클리.. 20.04.05.
4347 미국 '사회적 거리두기' 4월말까지 연장, 6월까지 갈 수도 코리아위클리.. 20.04.05.
4346 미국 [코로나 이모저모] 코로나 위기 상황서 팁 1만불... 따뜻한 온정의 손길도 코리아위클리.. 20.04.05.
4345 미국 엣취! 중앙 플로리다 꽃가루 시즌 한창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4344 미국 코로나19 위협, 실생활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5.
4343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증가세 크게 꺾여… 스테이-엣-홈 효과?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6.
4342 캐나다 캐나다, 한국보다 코로나19 감염이나 사망 위험 2배 밴쿠버중앙일.. 20.04.07.
4341 캐나다 COVID-19 연방 정부지원 CERB 6일부터 신청 받아 밴쿠버중앙일.. 20.04.07.
4340 캐나다 쿠버 한인사회도 이미 코로나19 감염 확산 중?...밴쿠버 출발 20대들 한국서 양성 판정 밴쿠버중앙일.. 20.04.07.
4339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포함 플로리다, 연이틀 증가세 둔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7.
4338 미국 [코로나19 일일 브리핑] 코로나19 수그러들 조짐 보이나? 최근 증가세 둔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