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익부 1).jpg

매년 자산 증가로 샴페인을 터뜨리는 사람들... 호주 경제-금융 전문지 파이낸셜 리뷰(Australian Financial Revie)가 호주 상위 200대 부자들의 자산을 집계한 결과 이들의 자산은 전년도에 비해 20% 확대됐다.

 

최하위 10% 자산, 전체 부의 2.8% 불과... 하위 40%, 자산증가 없어

 

전 세계 상위 부자들이 말하는 바는 한결 같다. 더 많은 부를 축적하기 위해 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넉넉한 자본은 더 많은 자본을 확보하는 기반이라는 점에서, 이는 두말 할 나위도 없다.

올해 호주 상위 부자들 목록은 이 진부한 표현이 얼마나 적절한지를 보여준다.

호주의 초저 임금 노동자들은 호주 공정근로위원회(Fair Work)의 결정을 기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최상위 부유층들은 최하위 노동자들을 다시금 빈털터리로 만들고 있다.

호주의 최저 임금 노동자들은 새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오는 7월1일부터 3%의 임금 인상을 맛보게 된다. 하지만 상위 부자들의 자산은 지난 한해에만 20% 이상 증가했다.

부유층의 자산 증가는 물론 지난 한 해만 크게 증가한 일회성이 아니다. 호주의 상위 부자들은 전 세계 다른 국가의 억만장자들에 비해 훨씬 빠르게, 지속적으로 그들의 부를 늘려왔다.

호주 경제전문지인 ‘Business Review Weekly’(BRW)는 지난 1983년부터 호주의 100대 상위 부자 자산을 집계, 억만장자 리스트를 발표했다. 그리고 이듬해부터 BRW는 상위 부자 리스트를 ‘200대 부자’로 넓혔다. 그만큼 상위 부자들의 수 및 자산이 크게 늘어난 때문이다.

BRW의 이 리스트는 이후 이 매체를 발행하던 ‘Australian Financial Review’(AFR)로 이관돼 매년 발표되고 있으며, 올해 호주 상위 200대 부자들의 자산은 총 3,420억 달러로 집계됐다.

호주 억만장자 리스트가 처음 발표된 이후 35년 만에 200위 안에 포함된 호주 최상위 부자들의 자산은 53배가 늘어난 것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부의 가치 하락을 감안하더라도 실질 자산은 17배가 증가했다.

 

종합(부익부 2).jpg

호주 최상위 200대 부자들의 자산 증가 속도를 보여주는 그라프. 이들이 가진 전체 자산 규모는 3,420억 달러에 달한다. 그라프 안의 인물은 2019년 집계에서 호주 최고 부자 자리를 차지한 Anthony Pratt(오른쪽)과 세 번째 부자인 Harry Triguboff(왼쪽).

 

0.001%의 최상위 부자들

 

물론 이 엄청난 부를 일궈낸 이들은 상위 200명 만이 아니다. 상위 부자 리스트 집계가 시작된 이후 얼마간은 불과 수십 명 만이 최상위 부자로 이름을 남겼으며, 종종 보유 자산이 크게 하락한 이들도 많았다.

지난 주 금요일(31일) ABC 방송은 ‘Australia's wealthiest have become 50 times richer in my lifetime’이라는 분석 기사를 통해 AFR의 억만장자 자산을 인용하면서, 이 리스트는 극단적인 부의 불평등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다고 진단했다. 최상위 부자들의 부의 증가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반면 하위 계층의 빈곤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지난 1980년대 말, 호주 통계청(ABS) 자료에 따르면 1989년 이후 호주 각 가정의 자산은 거의 8배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즉 약 30여 년 동안 자산이 16배 이상 늘어난 상위 부자들의 자료가 없다면, 이는 인상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물론 이 기간, 호주 인구는 1천700만 명에서 2천500만 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각 가정의 자산도 50% 이상 늘어난 이들에게 분배되어 있음을 뜻한다.

한 경제 전문가는 “부자는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이들의 부자는 극히 느리게 상승한다”고 말했다.

 

종합(부익부 3).png

호주의 억만장자 수를 보여주는 그라프. 현재 호주의 억만장자 수는 91명으로, 불과 4년 전만 해도 억만장자대열에 오른 이들은 50명이 채 되지 않았다. Source : AFR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지니계수

 

호주 생산성위원회는 지니계수(Gini’s coefficient)를 적용해 “거의 30년 동안 호주의 부의 불평등은 약간 증가했다”고 인정했다.

지니계수는 경제학에서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부의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분포의 불균형 정도를 의미하지만 특히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는가를 평가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즉 모든 것이 고르게 배분되는 경우를 가상해 소득이나 부의 분배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만약 이 격차가 0이라면 완벽한 부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 모두가 같은 결과를 얻는 것이다, 반면 이 수치가 1이라면 한 사람이 모든 것을 소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0에 가까울수록 사람들의 소득 분배가 공평해지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보면 호주의 소득분배는 비교적 균등한 편이다. 일단 저소득 계층에 대한 세금과 정부 보조금 지급을 감안하면 호주 국가 지니계수는 0.3을 약간 상회한다. 이는 선진국 가운데 중간쯤 되는 수치이다.

지난 수십 년 사이 전 세계적으로 소득 불평등은 심화됐다. 반면 호주의 소득불평등 속도는 다른 국가에 비해 느린 편이었다.

 

종합(부익부 4).png

1988-98년에서 2015-16년 사이 호주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를 보여주는 그라프. 이 그래프는 호주의 소득 불평등이 이 기간 사이 증가했음을 드러내고 있다. Source : Productivity Commission

 

부의 격차 확대로 중산층도 뒤쳐져

 

하지만 각 개개인의 부는 다른 사안이다. 호주는 부의 공평한 분배 측면에서 선진국 가운데 6번째이지만 지니계수는 0.6 수준으로 부의 분배는 소득분배에 비해 2배 이상 불균형을 이룬다.

지난 2003-04년에서 2015-16년 사이, 호주의 부의 불평등은 0.7%가 증가해 지난 10년 사이 상당히 악화됐다.

게다가 이는 부자 리스트에 있는 이들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가계조사에 기반을 두고 있어 부의 불평등이 과소평가될 수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호주 경제 규모와 중-상류층의 부를 감안할 때 200대 억만장자들을 제외하는 것이 부의 불평등 대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하지만 이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도 많다. 호주 경제-사회정책 싱크탱크인 ‘Evatt Foundation’의 크리스토퍼 쉐일(Christopher Sheil)과 프랭크 스틸웰(Frank Stilwell) 박사는 최근 한 미디어에 내놓은 기사에서 OECD 및 호주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호주의 최상위 부유층 10%가 호주 전체 부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2016년까지 4년 동안 지속적으로 늘어난 자산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의 자산 증가액수는 대부분 최상위 1%가 차지하며, 이들의 부는 국가 전체 부의 14.2%에서 16.2%로 증가했다.

대조적으로 중산 계층의 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40번째에서 90번째 사이 자산 계층의 부는 2016년 국가 전체 부의 47.1%였다. 이는 4년 전인 2012년 49.1%에서 2%포인트가 줄어든 것이다. 특히 하위 40%의 계층이 가진 자산 규모는 국가 전체 부의 2.8%만을 차지할 뿐이다.

쉐일과 스틸웰 박사는 이 기사에서 “호주의 부의 불평등은 두 개의 단점을 보이며 진화하고 있다”면서 “하위 40% 계층은 전체적으로 자산 상승 비율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설명과 함께 ABC 방송은 “AFR의 ‘호주 억만장자 리스트’는 호주 모든 가정의 보유 자산이 최상위 0.001%에 뒤처져 있음을 확인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비유했다.

 

종합(부익부 5).jpg

영국 기반의 국제 빈민구호기관인 옥스팜(Oxfam)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수퍼 부자들은 세무 당국으로부터 7조6천억 달러(미화 기준)를 곳곳의 조세 회피처에 숨기고 있다. 사진은 호주 지폐

 

호주 억만장자들

(순위. 이름 : 2019년 자산 / 2018년 자산)

1. Anthony Pratt & family : $15.57b / $12.9b

2. Gina Rinehart : $13.81b / $12.68b

3. Harry Triguboff : $13.54b / $12.77b

4. Hui Wing Mau : $10.39b / $9.1b

5. Scott Farquhar : $9.75b / $5.16b

6. Mike Cannon-Brookes : $9.63b / $5.16b

7. Frank Lowy : $8.56b / $8.42b

8. Andrew Forrest : $7.99b / $6.1b

9. Ivan Glasenberg : $7.17b / $8.32b

10. John Gandel : $6.6b / $6.45b

Source: AFR Rich List 2019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부익부 1).jpg (File Size:39.2KB/Download:24)
  2. 종합(부익부 2).jpg (File Size:37.8KB/Download:24)
  3. 종합(부익부 3).png (File Size:24.6KB/Download:21)
  4. 종합(부익부 4).png (File Size:56.2KB/Download:24)
  5. 종합(부익부 5).jpg (File Size:152.1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01 호주 NSW 주, 하계 학교 정비에 1억1천만 달러 전격 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2400 호주 부동산 화제- 싱가포르 거물, 버클루즈 저택 매물 리스트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2399 뉴질랜드 프로 골퍼 최경주, 내년 3월 뉴질랜드 오픈 골프 참가 NZ코리아포.. 17.12.20.
2398 뉴질랜드 10년 이내 뉴질랜드 남북섬 사이 큰 지진 발생 가능성 NZ코리아포.. 17.12.20.
2397 뉴질랜드 외국인 NZ 주택 구입 금지, 국회 1차 독회 통과 NZ코리아포.. 17.12.20.
2396 뉴질랜드 “국민 1인당 연간 20kg 전자쓰레기 배출한다” 국가적인 처리 규정은 전무 NZ코리아포.. 17.12.19.
2395 뉴질랜드 호주에서 대학 공부하는 NZ학생들, 학비 지원 중단 취소 가능성 NZ코리아포.. 17.12.19.
2394 뉴질랜드 뉴질랜드관광객 증가, 71만명 이상 와인 투어 NZ코리아포.. 17.12.18.
2393 호주 눈부신 햇살 아래서 즐기세요! 한여름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15.
2392 호주 빛으로 영상으로, 환상의 세계와 마주하다 톱뉴스 17.12.15.
2391 호주 시드니 FC, 시드니 더비 역대 최대 득점차 승리 톱뉴스 17.12.15.
2390 호주 세상을 바꾼 거대한 상자 ‘컨테이너’ 톱뉴스 17.12.15.
2389 호주 시드니-멜버른 부동산 붐, ‘새로운 재테크’ 촉진 톱뉴스 17.12.15.
2388 호주 호주중앙은행 총재 ‘비트코인은 범죄자에 매력' 톱뉴스 17.12.15.
2387 호주 "국제유가 상승압력 약해진다…셰일오일 증산효과" 톱뉴스 17.12.15.
2386 호주 “법정 임금 현실적인가….? 깊어지는 호주 사업체의 고민 톱뉴스 17.12.15.
2385 호주 '꽃보다 청춘' 서호주 퍼스로 떠나볼까 톱뉴스 17.12.15.
2384 호주 호주 최대 유통기업 웨스트필드 해외 매장, 프랑스 기업에 "매각" 톱뉴스 17.12.15.
2383 호주 재연되는 “베넬롱 초박빙 전투”…12월 16일 톱뉴스 17.12.15.
2382 호주 제프리 러쉬, 데일리 텔레그라프 상대 명예훼손 소송 제기 톱뉴스 17.12.15.
2381 호주 동성결혼법 근거 이민규정 개정…동성 파트너, 배우자 비자 신청 허용 톱뉴스 17.12.15.
2380 호주 시드니 FC, 시드니 더비 역대 최대 득점차 승리 톱뉴스 17.12.15.
2379 호주 2017 HSC 성적 발표...동포자녀 최우연 양, 제2외국어 영어 및 한국어 수석 2관왕 톱뉴스 17.12.15.
2378 호주 사커루즈 차기 감독에 브라질 출신 명장 스콜라리 감독 영입설 톱뉴스 17.12.15.
2377 호주 베넬롱 보궐선거의 승자는?...50-50 초박빙 톱뉴스 17.12.15.
2376 호주 중국 유착 의혹 샘 다스티야리, 결국 낙마…상원의원 직 사퇴 톱뉴스 17.12.15.
2375 호주 케넬리 “아시아 교민사회, 턴불 총리 중국 혐오성 발언에 우려” 톱뉴스 17.12.15.
2374 호주 다스티야리 상원의원 파문, 호-중 설전 촉발 톱뉴스 17.12.15.
2373 뉴질랜드 길에서 10년 노숙자, 오클랜드에서 디플로마 학위 받아 NZ코리아포.. 17.12.15.
2372 뉴질랜드 향후 5년간 417억 달러 집행,노인 연금에는 77억달러 NZ코리아포.. 17.12.15.
2371 호주 취업시장 개선 속 ‘인력 충원’ 가장 어려운 20개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70 호주 중국 억만장자 후앙 시앙모, 노동당 대표에도 기부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9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가결... 턴불, ‘경제 살리기’로 관심 돌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8 호주 직장 접근성, 기대수명, 비만률 등 호주 각 도시별 생활지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7 호주 아파트 등 고밀도 주거지에 ‘vertical families’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6 호주 호주 내 가장 인기 있는 홀리데이 도시는 ‘멜번’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5 호주 시드니 지역 첫 주택구입자, 주거지 구매 더욱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4 호주 호주인, 생활습관 변화로 암 사망의 40%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3 호주 호주 내 외국인 소유 주거용 부동산, 40만 채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2362 뉴질랜드 뉴질랜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고 골프 목적지 선정. NZ코리아포.. 17.12.14.
2361 뉴질랜드 지각 변동 지속, 뉴질랜드 지형 바뀌고 있어 NZ코리아포.. 17.12.14.
2360 뉴질랜드 “성인보다 키가 더 큰 ‘자이언트 펭귄’ 남섬에 살았다” NZ코리아포.. 17.12.13.
2359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암 환자 늘어, 치료에 몇 달씩 기다려야... NZ코리아포.. 17.12.13.
2358 뉴질랜드 [포토뉴스] 한-뉴 FTA 발효 2주년 기념행사 열려 NZ코리아포.. 17.12.13.
2357 뉴질랜드 해변 바위에서 점프 후 돌아오지 못한 타이완 출신 20대 NZ코리아포.. 17.12.12.
2356 뉴질랜드 키위들 35%, 크리스마스에 경제적 압박 받아 NZ코리아포.. 17.12.12.
2355 뉴질랜드 NZ, 인도네시아와 쇠고기 수입 제한 분쟁에서 승소 file 나우엔젯뉴스 17.12.11.
2354 뉴질랜드 NZ 첫 난민출신의원, 전범자 변론 과거 들어나 곤혹 file 나우엔젯뉴스 17.12.11.
2353 뉴질랜드 NZ 인공지능 정치지망생 등장, 샘 '편견없는 결정이 장점' file 나우엔젯뉴스 17.12.11.
2352 뉴질랜드 현대 전기차 아이오닉, NZ판매 1위 등극-전기차판매 부문 file 나우엔젯뉴스 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