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수입 16만 불 넘어야

 

news_img1_1560189380.png

 

캐나다 주요 도시들에 집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은 스스로 캐나다 상위권의 수입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다른 도시들로 눈을 돌려야 할 수도 있다. RateSupermarket.ca의 최근 보고서는 캐나다 상위권 수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만이 토론토, 밴쿠버, 몬트리올과 같은 캐나다 주요 도시에 집을 구매할 수 있다는 결과를 내었다. 캐나다 부동산 웹사이트인 Zoocasa의 보고서에서 나타낸 도시별 벤치마크 가격은 토론토가 $873,100, 밴쿠버가 $1,441,000로 상위 10%가 되어야 토론토에 집을 살 수 있고 상위 1%가 되어야 밴쿠버에 집 구매가 가능하다는 결과이다. 
RateSupermarket.ca의 에디터인 제이콥 블랙은 예비 집 구매자들에게 “지출할 수있는 현실적인 금액을 아는 것이 우선이고, 상자 밖에서 생각해보는 것이 두 번째이다.”라고 조언하며, “공동생활, 다세대 주택, 콘도나 작은 아파트로의 전환, 외곽 지역에 거주 등의 트렌트가 형성되는 것을 보고 있다.”라고 전했다. RateSupermarket의 분석은 빅토리아, 해밀턴, 키츠너-워털루, 캘거리, 오타와-가티노, 런던, 에드먼튼, 사스카툰, 리자이나를 포함한 캐나다 12개 도시들에서 집을 구매하려면 어느 정도의 가구 수입이 있어야 하는지를 3.25% 5년 모기지 고정이율, 1만 불의 가구 부채, 자동차 월상환금 $300, 20% 다운페이먼트, 할부상환 25년을 가정하고 비교했다. 
보고서는 밴쿠버에서 집을 구매하기 위해서 가구 수입이 24만 불이 있어야 하며, 토론토의 경우 16만 불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블랙은 토론토에서 70km 떨어진 해밀턴에서도 63만 불짜리 집을 구매하려면 12만 불의 수입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 놀라웠다며, “성장하는 지역의 기회가 부각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전통적인 중심지 이외의 인근 지역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라고 전했다. 
처음 집을 장만하는 사람들이 넘어야 할 진입 장벽도 만만치 않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주택을 선택한다 하더라도 밴쿠버에서 집을 장만하려면 적어도 상위 25%의 가구 수입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밴쿠버에 있는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구매할만한 집들의 벤치마크 가격은 $656,900이며, 토론토의 경우 $522,300이다. 블랙은 부동산 시장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며, “시장이 크게 변하지는 않을 것이며 교정이 이루어지지도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사용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리자이나는 캐나다에서 가장 집 구매 장벽이 낮은 곳으로 뽑히며 주택의 벤치마크 가격이 $275,900이며, 최소 가구 수입이 7만 불인 것으로 나타났다. 캘거리의 벤치마크 가격은 $467,600이고 최소 가구 수입은 10만 불이었으며, 에드먼튼의 경우 $372,100의 벤치마크 가격과 8만 불의 최소 가구 수입을 기록했다. (이남경 기자)

  • |
  1. news_img1_1560189380.png (File Size:77.5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37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유일 청정지역 ‘리버티’… 마이애미 700명대 증가치 나흘째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9.
4336 미국 [코로나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환자 증가치 600명대로, 하향곡선 그리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0.
4335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한국 환자수와 같아진 마이애미, 사망자는 딱 두배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1.
4334 미국 태평양 섬나라 10개국 등 17개국 ‘코로나 청정국’ 코리아위클리.. 20.04.12.
4333 미국 미국, 10년새 고학력 이민자 크게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4.12.
4332 미국 올랜도 UCF, 드라이브스루 코로나19 검진소 열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4331 미국 플로리다 전역 '자택칩거령', 지역정부는 자체 규정 시행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4330 미국 감기-독감-코로나19, 증상 확연히 차이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4329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정점 찍었나?...1100명대 ‘평형’ 깨고 하강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4328 캐나다 카놀라 중국으로 수출 재개 - 일년만에 수입금지 풀려 CN드림 20.04.13.
4327 캐나다 캐나다 실업률, 이미 10% 넘었을지도 - 전례 없는 경기 둔화가 기다리고 있다 CN드림 20.04.13.
4326 캐나다 전체 모기지 10% 연기시켰다 - 50만 건 이상 접수돼 CN드림 20.04.13.
4325 캐나다 실업 대란에 휘청이는 앨버타 - 식음료 부문 10만 명 실직 CN드림 20.04.13.
4324 캐나다 코비드 증상자 국내 여행 제한 - 국내항공, 철도 승객 전원 검사 CN드림 20.04.13.
4323 캐나다 유령도시로 변한 남부 국경 인접도시 - 국경 봉쇄로 사회/경제 활동 전면 중단 CN드림 20.04.13.
4322 캐나다 팬데믹, 사기범들을 조심하자 - 힘든 상황을 악용한 범죄 활개 CN드림 20.04.13.
4321 캐나다 자가격리가 생활 패턴도 바꾼다 - 가정 채소재배 관심 높아져 CN드림 20.04.13.
4320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부활절, 플로리다 증가치 큰폭 하락… 마이애미 잡혔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3.
4319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플로리다 일일 증가, 다시 1100명대로… ‘평형 상태’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5.
4318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마이애미 잡히니, 플로리다 잡히네! 플로리다 신규환자 '급전직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