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JPG

▲홍콩의 부동산거래규모는 1 월에서 5 월까지 최고수준으로 기록되었다. (사진=scmp)

 

4일(화), 토지등록부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홍콩 부동산 거래 규모가 지난 1997년 이래 최고 수준이었으며, 거주용 부동산, 주차장, 상점, 상업용 부동산, 사무실 등 부동산 거래 규모가 3,437억 홍콩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로 올해 하반기에는 상반기와 같은 호황이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카코롭 부동산(Ricacorp Properties)은 미중 무역전쟁의 격화로 부동산 거래규모가 감소될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 5월 대비 6월 거래 규모가 이미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5월 10일, 미국 정부는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두 배 이상인 25%로 인상했다. 이에 맞서 중국도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부과하는 보복조치를 연달아 내놓았다.

 

미드랜드 부동산(Midland Realty)은 최근 몇 개월간의 부동산 거래 규모가 급증한 것을 신규 아파트 분양 호황 덕분이라고 말했다.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신규 아파트 매입 거래 규모가 1,218억 홍콩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47.6% 증가했다.

 

JLL “홍콩은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로 이번 달부터 이미 거래 규모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상반기와 같은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성이 홍콩 경제와 부동산 구매자의 구매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제조업체들의 경우, 미국의 수주 주문량 감소로 작업량을 줄이거나 직원을 줄이는 등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며 이것이 홍콩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빈콘 컨설팅(Vincorn Consulting and Appraisal)은 만약 무역전쟁이 지속된다면 중국 정부는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빈콘 컨설팅은 “중국 본토인들이 홍콩에서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심지어 홍콩으로 여행하는 것마저도 제재할 것이며 중국의 규제로 인한 그 타격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고 말했다.

 

지난 5월 부동산 거래량은 총 10,353건이었으며 1월부터 5월까지 총 부동산 거래량은 37,280건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무역전쟁의 여파는 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 분위기는 사무실 임대차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CBRE는 “최근 몇 개월 동안 사무실 임대 거래량이 줄어들었다. 무역 전쟁이 장기전으로 돌입하면서 대부분 산업에 일정 수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CBRE는 무역, 물류, 제조 산업이 직접적인 무역전쟁의 타격을 받지만 장기적으로 은행, 금융 산업에도 점차 그 여파가 확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JPG (File Size:117.1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6 홍콩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 240만 명→370만 명으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5 홍콩 올해 홍콩 고용 시장 여전히 ‘꽁꽁’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4 홍콩 홍콩 정부, 백신 부작용 고위험자 접종 세부 지침 발표 예정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2 홍콩 지난해 대학교 자퇴생 수, 2004년 집계 시작 이후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71 홍콩 옴부즈맨 ‘高수요 백신에 대한 모니터링 체제 강화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70 홍콩 미생물 전문가, 60세 이상 '바이오앤테크 백신' 권장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9 홍콩 2004년 이후 실업률 최고, 고용시장 단기간 회복 어려워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8 홍콩 15년간 주택 가격 4배 급등, ‘내 집 마련’의 꿈 멀어진 젊은 세대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7 홍콩 관광업에 HK$11.3억 배정…무료 투어, 호텔 할인 등 다각적 전략 펼쳐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5 홍콩 플라스틱 병당 10¢ 환급, 재활용 참여에 동기부여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4 홍콩 다시 등교하는 학생들, 감기 유행 조심해야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3 홍콩 2035년까지 ‘화석 연료 자동차 판매 금지’ 목표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2 홍콩 홍콩 집값, 11년 연속 세계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1 홍콩 홍콩 2021/22년 연례 예산 보고, 주요 정책 종합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59 홍콩 외국인 가사 도우미, 비자 거부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23.
1158 홍콩 도시별 갑부 수 상위 10위, 홍콩만 유일하게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1.02.23.
1157 홍콩 '코로나 블루'에 술 소비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