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ng

▲Shek O에 있는 Big Wave Bay 해변이 폭우로 인하여 둑이 무너지고 잔해물들이 흘러와 흩어져 있다. 피해복구를 위하여 해변은 임시 폐쇄되었다. (사진=scmp)

 

 

유명 관광 명소인 쉑오(Shek O)의 빅 웨이브 베이 비치가 지난 4일(화) 폭우로 인한 홍수 피해로 폐쇄되었다. 그러나 홍수 피해 복구를 어느 기관에서 담당해야 하는지 파악이 되지 않아 근본적인 해결 및 완전 복구가 늦어지고 있다.

 

지난 4일(화), 황색 폭우경보주의가 1시간동안 내려지면서 쉑오 지역의 강물이 불러나면서 빅 웨이브 베이(Big Wave Bay) 해변가의 모래 둑을 무너트리면서 해변을 반으로 갈라버리는 현상이 벌어졌다. 불어난 강물이 해변가를 가로질러 바다로 강물이 흘렀던 그 흔적만이 생생하게 남아있다.

이 지역 주민, 라우(남, 55세)는 “할아버지 때부터 이 동네에서 살았는데 이러한 피해는 처음 목격한다”고 말했다.

 

해변 정비는 이미 시작되었지만 섹오 비치와 빅 웨이브 해변을 관리하는 레저 및 서비스 부서는 “이번 홍수 피해의 근원인 해당 강을 레저 및 서비스부에서 관활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 해결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 소관인 해변 운영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었으며 현재 긴급하게 사태 진단 및 해결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관련 기관에 연락을 취한 상태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어떤 기관에 연락을 취했는지 밝히지 않았으며 현재 강과 제방 관리를 어떤 기관에서 관활하고 책임을 지느냐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작년 태풍 망쿳이 홍콩을 강타했을 때도 해변가의 방호벽 역할을 하는 모래 둑을 무너트리고 나무들을 쓰러트리는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 이후 모래 둑 일부가 복구되었고 나무도 새롭게 다시 심은 후 커다란 모래주머니를 쌓아 보강을 했다. 그러나 지난 화요일 폭우로 다시 모래 둑이 무너져 내린 것이다.

포스트지가 환경보호부, 해양 및 농업부, 수산 및 보존부에 문의했을 때, 이들은 모두 빅 웨이브 해변의 홍수 피해 복구 문제를 이관 받지 않아 자신들의 소관이 아니라고 전했다.

 

라우씨는 지역 주민들이 정부에게 엉망이 된 강줄기를 재정비하고 지난 태풍 망쿳 피해로 무너진 모래 둑을 다시 보강할 것을 요구했지만 복구 작업 진전이 더디다며 불만을 표했다. 그는 “각 부서들이 자신들의 소관이 아니라서 못한다고 떠밀기만 할 뿐이다”고 말했다.

 

배수로 서비스부의 대변인은 “자연적으로 생겨난 강 및 수로는 우리 부서의 소관이 아니지만 인접 마을의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례적으로 이번 한 번만 강줄기 정비 작업을 수행하기로 마을 주민들과 합의했다”고 말하며 정비 작업은 6월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챈 리 푸이잉(Chan Lee Pui-ying) 스탠리(Stanley) 및 섹오 지역 의원은 도시 계획과 관료주의적 업무 처리 문제로 더 큰 혼란을 빚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지역은 지형적으로 저지대 특성을 가져 침수 피해가 잦은데 지난 망쿳 타격 이후 조금만 비가 많이 내리면 더 쉽게 범란하게 되었다. 이 문제를 긴급 사항을 간주해 최우선으로 처리하지 않으며 폭우가 2,3시간만 내리게 되면 마을 전체가 사라지는 불상사가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1.17M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6 홍콩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 240만 명→370만 명으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5 홍콩 올해 홍콩 고용 시장 여전히 ‘꽁꽁’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4 홍콩 홍콩 정부, 백신 부작용 고위험자 접종 세부 지침 발표 예정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16.
1172 홍콩 지난해 대학교 자퇴생 수, 2004년 집계 시작 이후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71 홍콩 옴부즈맨 ‘高수요 백신에 대한 모니터링 체제 강화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70 홍콩 미생물 전문가, 60세 이상 '바이오앤테크 백신' 권장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9 홍콩 2004년 이후 실업률 최고, 고용시장 단기간 회복 어려워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8 홍콩 15년간 주택 가격 4배 급등, ‘내 집 마련’의 꿈 멀어진 젊은 세대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7 홍콩 관광업에 HK$11.3억 배정…무료 투어, 호텔 할인 등 다각적 전략 펼쳐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09.
1165 홍콩 플라스틱 병당 10¢ 환급, 재활용 참여에 동기부여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4 홍콩 다시 등교하는 학생들, 감기 유행 조심해야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3 홍콩 2035년까지 ‘화석 연료 자동차 판매 금지’ 목표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2 홍콩 홍콩 집값, 11년 연속 세계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1 홍콩 홍콩 2021/22년 연례 예산 보고, 주요 정책 종합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6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3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3.02.
1159 홍콩 외국인 가사 도우미, 비자 거부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23.
1158 홍콩 도시별 갑부 수 상위 10위, 홍콩만 유일하게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1.02.23.
1157 홍콩 '코로나 블루'에 술 소비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