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입국순위 작년 한 계단 상승

2018년 총 EE 초청자 89,800명 

 

캐나다 이민의 주요 통로가 되는 EE카테고리 이민자의 절반 가까이가 캐나다 내에서 초청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이민부가 발표한 2018년도 EE연간보고서(Express Entry year-end report 2018)에 따르면, 캐나다 내에서 초청장을 받은 비율이 45%였다. 이는 2017년도의 49%에 비해서는 하락했지만 절반 가깝게 캐나다 내에서 학업이나 취업 등으로 자격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도에 캐나다 이외 국가에서 초청장을 받은 순위를 보면 인도가 19%, 미국이 11%, 나이지리아가 4% 등이었으며, 캐나다를 제외한 15개 주요 거주 국가 중에 한국은 포함되지 못했다.

 

반면 초청장을 받은 EE카테고리 이민희망자의 국적에서는 한국은 10위에 들었다. 2017년도 11위에서 한 계단 올라간 셈이다.

 

작년에 초청장을 받은 전체 8만 9800명 중 한국 국적자는 총 1256명으로 재작년의 1251명과 비슷했다. 작년 국가별 순위에서 인도가 46%로 절대적으로 높았고, 중국이 7%, 나이지리아가 7%, 파키스탄이 3%,영국이 3%, 브라질이 2%, 그리고 미국이 2%였다.

 

EE카테고리를 다시 세분화 해 보면 연방EE가 3만 571명이었으며, 주정부지명이 1만 802명, 그리고 연방숙력노동자(Federal Skilled Workers)가 4만 7523명, 숙련기술 (Skilled Trades)이 904명이었다.

 

2018년도에 총 신청 건 수는 27만 8590건으로 통과자 비율은 30%, 즉 10명 중 3명만이 초청장을 받은 셈이다. 또 전체 신청자 중 유효 신청자 수는 19만 5659명이었는데, 이들 중 기본 점수만으로 신청한 수는 71%였다. 추가 점수를 받은 경우 중 고용약속이 5%, 캐나다 교육경험이 11%, 프랑스어 우선이 4%, 그리고 형제자매 혜택이 12%로 나왔다.

 

인구통계학적으로 나눠, 학위에서는 석사 이상 고학력자가 48%로 가장 높았고, 연령별로는 20-29세가 51%, 캐나다 경력에서는 1년 이하 무경력자가 60% 등으로 나왔고, 해외에서 근무 경력은 5년 이상자가 39%로 가장 높았다.

 

직종별로는 소프트에지니어와 디자이너가 가장 많았고, 이어 정보시스템분석 및 컨설턴트, 컴퓨터 프로그램머 및 인터액티브 미디어 개발자 순이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17 캐나다 코로나바이러스, 공포는 금물 _ 사재기보다 이웃과 긴급상황 논의 file CN드림 20.03.17.
5116 캐나다 캐나다 한 시민, 진단 검사 경험 공유, AHS-온라인 자가진단 사이트 시작 file CN드림 20.03.17.
5115 캐나다 캘거리/에드먼튼, 비상사태 선언 - 도서관 등 시 공공시설 운영 잠정 중단 file CN드림 20.03.17.
5114 미국 美,中 ‘코로나 대전’…트럼프, “모독 하지마라!” vs 발끈한 中 “음모론 중단 하라!” 호주브레이크.. 20.03.17.
5113 캐나다 그리즐리, 동면 끝내고 나와_ 따뜻한 겨울 기온 탓 CN드림 20.03.17.
5112 캐나다 앨버타 시민들, “일년에 두번 시간조정은 피곤” _ 여론조사 응답자 91%, 시간변경 안하는 것 선호 CN드림 20.03.17.
5111 캐나다 앨버타 의사 600명, “예산 삭감으로 두뇌 유출 우려”…의사와 의대생 떠나고 의료 시스템 압박 커질 것 CN드림 20.03.17.
5110 캐나다 캘거리 에너지 부문 패닉 상황 접어 들어…세노버스 등 에너지 기업 주가 반토막 CN드림 20.03.17.
5109 캐나다 코로나바이러스 원유시장 강타…금융위기때 보다 수요 더 줄어 CN드림 20.03.17.
5108 캐나다 플레임즈, NHL도 코로나 바이러스와 전쟁 CN드림 20.03.17.
5107 캐나다 에드먼튼, 이-스쿠터가 돌아온다…새로운 기업도 진출 준비 CN드림 20.03.17.
5106 캐나다 투자 사기꾼들 기승…앨버타의 어려운 시기를 악용하고 있어 CN드림 20.03.17.
5105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 코로나19 관련 비상사태 선포 file 코리아위클리.. 20.03.16.
5104 미국 플로리다 시에스타 비치, 미국 ‘베스트 비치’ 1위 코리아위클리.. 20.03.16.
5103 미국 플로리다주 예비선거 17일 실시, 양당 대통령 후보 선출 코리아위클리.. 20.03.16.
5102 미국 선두 주자 바이든, 전국 지지율 샌더스에 크게 앞서 코리아위클리.. 20.03.16.
5101 미국 버지니아주, 남부연합군 기념물 제거 관련 법안 통과 코리아위클리.. 20.03.16.
5100 미국 연방대법원, 임신 중절 제한 심리에 ‘시끌시끌’ 코리아위클리.. 20.03.16.
5099 미국 미국 코로나19, 10일 현재 사망자 26명-환자 704명 코리아위클리.. 20.03.16.
5098 미국 美연준 '제로금리' 시대 열었다! “7000억달러 양적완화 재개”… 호주브레이크.. 2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