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택운 한인회장이 기자들과 가벼운 오찬을 통해 한인사회 화합과 한인문화센터 추진에 대한 생각을 나누었다.(표영태 기자)

 

노인회 상의 장기적으로 추진기반 마련 

한인사회 화합을 최우선 과제 다시 확인

 

지난 4월 13일 열린 한인회 총회에서 단독후보로 인준을 받아 임기를 시작한 정택운 한인회장이 현재의 한인회관을 대체할 한인센터 건립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5일 한인 기자들과 오찬 자리를 마련한 정 회장은 취임 후 2달 20일이 흐른 시점에 어떻게 한인회를 운영해 갈 지에 대한 질문에 이 같이 대답했다.

 

그 동안 한인회가 한인사회의 분란의 중심에 있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던 정 회장은 취임 때 최우선으로 한인사회의 화합에 힘쓰겠다는 뜻을 취임사로 밝힌 바 있다. 따라서 한인회관 문제에 대해 조심스럽게 한인회 이사회뿐만 아니라 노인회와도 의견을 나누어 왔다는 것이 정 회장의 대답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버나비나, 코퀴틀람, 또는 랭리 지역에 니케이헤리티지센터나 크로아시안문화센터와 같은 새 한인 중심지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와 함께 현재 노인회와 지분이 7 대 3으로 나뉘어져 있지만, 한인회나 노인회나 한인사회의 대표 단체로 함께 공존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런 기본적인 계획 아래 노인회와 의견 교환을 통해 객관적으로 투명하게 한인회관 매각과 새 한인문화센터 건립 추진을 위한 독립적인 기구를 출범시켜야 한다는 아이디어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특히 한인회관 매각이나 새 문화센터 건립이 단기간 내에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임기 내에 욕심을 부리고 추진하기보다는 방향성이나 기틀을 만들어 놓기 위해 더더욱 독립성이 보장된 특별한 기구가 필요하다는 점도 인정했다.

 

사실 일반 한인들에게 한인회가 한인사회의 중심단체로 인정을 받지 못한 지가 오래 돼 한인사회의 장기적인 비전을 세우고 실행 계획도 내 놓아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 조만간 이사들과 임원들과 의견을 모은 후 기자회견을 통해 비전과 실천계획 등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한인회는 현재 전임회장들과 전임 이사들간 송사로 소송을 맡아던 변호사의 수임료가 주로 4만 5000달러 이상 빚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또 계속 된 불화와 자주 회장단과 이사들이 바뀌면서 제 역할을 하지 못했었다. 이에 따라 정 회장이 다시 한인회를 정상화 시키며 동시에 한인사회 대표 단체로 위상을 새롭게 만들어야 하는 중책을 짊어지게 됐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17 미국 버지니아주, 남부연합군 기념물 제거 관련 법안 통과 코리아위클리.. 20.03.16.
4416 미국 선두 주자 바이든, 전국 지지율 샌더스에 크게 앞서 코리아위클리.. 20.03.16.
4415 미국 플로리다주 예비선거 17일 실시, 양당 대통령 후보 선출 코리아위클리.. 20.03.16.
4414 미국 플로리다 시에스타 비치, 미국 ‘베스트 비치’ 1위 코리아위클리.. 20.03.16.
4413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 코로나19 관련 비상사태 선포 file 코리아위클리.. 20.03.16.
4412 캐나다 투자 사기꾼들 기승…앨버타의 어려운 시기를 악용하고 있어 CN드림 20.03.17.
4411 캐나다 에드먼튼, 이-스쿠터가 돌아온다…새로운 기업도 진출 준비 CN드림 20.03.17.
4410 캐나다 플레임즈, NHL도 코로나 바이러스와 전쟁 CN드림 20.03.17.
4409 캐나다 코로나바이러스 원유시장 강타…금융위기때 보다 수요 더 줄어 CN드림 20.03.17.
4408 캐나다 캘거리 에너지 부문 패닉 상황 접어 들어…세노버스 등 에너지 기업 주가 반토막 CN드림 20.03.17.
4407 캐나다 앨버타 의사 600명, “예산 삭감으로 두뇌 유출 우려”…의사와 의대생 떠나고 의료 시스템 압박 커질 것 CN드림 20.03.17.
4406 캐나다 앨버타 시민들, “일년에 두번 시간조정은 피곤” _ 여론조사 응답자 91%, 시간변경 안하는 것 선호 CN드림 20.03.17.
4405 캐나다 그리즐리, 동면 끝내고 나와_ 따뜻한 겨울 기온 탓 CN드림 20.03.17.
4404 미국 美,中 ‘코로나 대전’…트럼프, “모독 하지마라!” vs 발끈한 中 “음모론 중단 하라!” 호주브레이크.. 20.03.17.
4403 캐나다 캘거리/에드먼튼, 비상사태 선언 - 도서관 등 시 공공시설 운영 잠정 중단 file CN드림 20.03.17.
4402 캐나다 캐나다 한 시민, 진단 검사 경험 공유, AHS-온라인 자가진단 사이트 시작 file CN드림 20.03.17.
4401 캐나다 코로나바이러스, 공포는 금물 _ 사재기보다 이웃과 긴급상황 논의 file CN드림 20.03.17.
4400 캐나다 17일 오전 9시 현재 코로나19 캐나다 사망자 5명으로 늘어 밴쿠버중앙일.. 20.03.18.
4399 캐나다 공항 입국 검역 까다롭게 밴쿠버중앙일.. 20.03.18.
4398 캐나다 코로나19에 트랜스링크 대중교통 이용 문제없나? 밴쿠버중앙일.. 2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