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보건부, "상처 있으면 물에 들어가지 말라"
 

sea.jpg
▲ 최근 인디애나주의 한 소녀가 플로리다를 방문한 후 비브리오균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연방질병통제센터(CDC)는 5월부터 10월까지 플로리다 해역을 방문 중 피부에 생채기가 있을 경우 해수에 접촉하는 것을 삼가하라고 경고했다. 사진은 탬파베이 인근 해역에서 물놀이를 하고 있는 피서객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인디애나주의 한 소녀가 플로리다를 방문한 후 생긴 것으로 의심되는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병원에 입원, 주민들에게 경종을 울렸다.

카일리 라는 이름의 12세 소녀는 지난 달 말에 플로리다 해변가 도시인 데스틴에서 휴가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뒤 응급실로 갔다. 의사들은 카일리가 따뜻한 해수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Vibrio vulnificus)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괴사성 근막염(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진단했다.

비브리오 블니피쿠스균은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 중 하나로 감염형과 패혈증을 일으키며, 연안에서 생산된 어패류를 비위생적으로 생식할 때와 상처난 피부가 오염된 해수 등에 접촉한 경우에 발병한다.

카일리는 휴가 전에 스케이트보드를 타다 발가락에 상처를 입었고, 상처가 아물기 전에 물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카일리는 다리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으나 다행히 생명은 구했다.

연방질병통제센터(CDC)는 특히 5월부터 10월까지 플로리다 해역을 방문하면서 피부에 생채기가 있을 경우 비브리오균을 경계하라고 경고했다.

CDC에 따르면, 여러종류의 비브리오균들은 연 8만 건에 달하는 크고 작은 감염 사고를 일으키고 100명 정도가 사망한다. 감염이 경미할 경우 3일 정도 지나면 회복되지만, 외음부 감염은 심각한 질병과 사지 절단 그리고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균에 오염된 해산물과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제대로 익히지 않고 먹을 경우에도 발생한다. 지난해에는 플로리다주 사라소타 거주 71세 남성이 지역 식당에서 생굴을 먹은 지 이틀만에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목숨을 잃었다.

CDC의 추산에 따르면 미국에서 1년에 200명 이상이 매우 희귀한 비브리오 패혈증에 걸리며, 일곱 명 중 한 명은 사망에 이른다.

비브리오균 감염 증상은 급격한 건강 쇠퇴와 함께 위경련, 메스꺼움, 구토, 열로 인한 설사, 피부 감염, 발열, 오한, 저혈압에 의한 혈류 감염, 피부 병변 등을 포함한다.

플로리다주 보건국(FDH)은 피부에 갓 베인 상처나 긁힌 자국이 있으면 물에 들어가지 말라고 경고해 왔다. 특히 만성 간 질환, 신장 질환, 당뇨, 악성 종양 그리고 백혈병 등 면역 시스탬에 문제가 있는 경우 더 위험하다. 면역 약화 질환을 지녔다면 해변의 바위와 껍질로 인한 상처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발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난해 플로리다주에서 9명이 비브리오균 감염과 관련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름철에 생굴 섭취도 조심

한편 미국의 상업적 수산업계의 규정이 까다롭고, 대부분의 굴이 물의 오염도가 측정되는 양식장에서 생산된다 해도 환자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 패혈증 사례는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는 여름철에 발생한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1년 12달 영어 스펠링 중 'R' 이 없는 달에는 생굴을 먹지 말라는 속담이 있다. 속담대로라면 5월부터 8월까지 생굴 섭취를 금해야 하지만, 기온이 높은 달이 많은 플로리다주의 경우 더 조심해야 한다.

다음은 보건국이 제시한 안전 사항이다.

- 굴이나 여타 어패류를 날 것으로 섭취하지 말고, 완전히 익혀 먹는다.

- 조리된 해물이나 다른 음식들이 날 것 해산물에 접촉되지 않게 유의한다. 어패류를 다듬은 도마와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해야 한다.

- 어패류는 섭씨 -5도 이하로 저온보관하고, 요리후 바로 먹고 남은 것은 냉장고에 바로 넣는다.

- 몸에 상처가 있을 경우 따뜻한 해수나 담수 혹은 어패류를 수확하는 물에 닿지 않도록 한다.

- 어패류를 다듬을 때는 반드시 장갑을 낀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97 캐나다 앨버타주 확진자 23명으로 늘어 (캘거리 15, 에드먼튼 7) file CN드림 20.03.13.
5096 캐나다 캘거리 데이케어, 코로나 확진 아동으로 폐쇄 file CN드림 20.03.13.
5095 미국 미국, ‘또’ 서킷브레이커…유럽도 증시 급락 “기준 금리 동결 탓?” 호주브레이크.. 20.03.13.
5094 미국 ‘미투 촉발’ 美 와인스타인, 1심서 23년형 선고 받아…’생전에 출소 못 할듯’ 호주브레이크.. 20.03.13.
5093 캐나다 (속보) 11일 오전 현재, 캐나다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돌파 밴쿠버중앙일.. 20.03.12.
5092 캐나다 코퀴틀람 살해 의심 시체 발견 밴쿠버중앙일.. 20.03.12.
5091 캐나다 10일 오전 캐나다 코로나19 감염자 80명 밴쿠버중앙일.. 20.03.12.
5090 캐나다 미 크루즈선 캐나다 승객들, 귀환 항공기 탄다 밴쿠버중앙일.. 20.03.11.
5089 캐나다 1월 건축허가액 증가 일등공신 메트로밴쿠버 밴쿠버중앙일.. 20.03.11.
5088 캐나다 10일 오전 캐나다 코로나19 감염자 80명 밴쿠버중앙일.. 20.03.11.
5087 미국 국제유가 폭락, WTI 배럴당 24.6% 하락…걸프전 이후 최대 폭 호주브레이크.. 20.03.10.
5086 캐나다 앨버타, 공원에서 음주?...주정부 음주 규제 현대화 시키려는 움직임 CN드림 20.03.10.
5085 캐나다 앨버타 주정부, 5백만 불 절감 위해 일부 공원 폐쇄한다...온라인 반대 청원 4,000명 넘어 CN드림 20.03.10.
5084 캐나다 에드먼튼 K-days 퍼레이드 재정 문제로 취소...퍼레이드 비용은 다른 프로그램에 전용할 것 CN드림 20.03.10.
5083 캐나다 앨버타 주정부, 연방 정부에 탄소세 환불 요구...연방 정부, “대법원 결정 기다려야” CN드림 20.03.10.
5082 캐나다 앨버타 에너지 회사, 툰베리 스티커 결국 사과...17세의 툰베리 성적 대상화 시킨 그림 담아 CN드림 20.03.10.
5081 캐나다 캘거리 관광 업계, 코로나 19 확산 우려...“당장 영향 없어도 악영향 불가피” CN드림 20.03.10.
5080 캐나다 (속보) 앨버타주 재스퍼 호텔 직원 4명, 코로나 검사 후 자가 격리 CN드림 20.03.10.
5079 캐나다 (속보) BC주 최초 사망자 나와...린밸리 요양원 입주자 밴쿠버중앙일.. 20.03.10.
5078 캐나다 알버타도 4명 추가...전국 코로나19 감염자 60명 아닌 64명? 밴쿠버중앙일.. 2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