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술비자 1).jpg

호주사회 일각의 주장과 달리 숙련기술을 가진 해외 유입인력이 호주 현지의 일자리를 차지하고 임금을 낮춘다는 우려는 근거가 없다는 조사 보고서가 또 제시됐다. 사진은 최근 기술비자 관련 조사결과 보고서를 내놓은 <호주 경제개발위원회: 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of Australia>의 멜린다 칠렌토(Melinda Cilento) 대표. 사진 : 유투브 동영상 캡쳐

 

호주 경제개발위원회(CEDA) 지적... 457비자 폐지, 충분한 논의 없었다.

 

해외에서 유입되는 기술 이민자들이 호주 경제에 기여한다는 사실은 호주 산업계 전반의 공통된 의견이다. 극우 정치인들과 노동계 일각에서는 이들로 인해 호주 현지인들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임금을 낮춘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지만 사실 이들이 호주 경제 전반에 기여하는 부분이 훨씬 크다는 것이 호주정부와 일반사회의 보편적인 평가이다.

 

이런 가운데 그러한 사실을 입증해주는 또 하나의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금주 월요일(15일) 시드니모닝헤럴드가 보도했다. 신문은 호주 경제관련 기구로 사회적 영향력이 큰 ‘호주 경제개발위원회’(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of Australia. CEDA‘ 조사 보고서를 인용, “기술 이민자들이 호주 현지인들의 일자리를 차지하고 임금성장을 저해한다는 우려는 근거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럼에도 연방정부는 해외 기술 인력에게 발급하는 임시 기술비자에 대한 지역사회 및 기업의 신뢰강화를 위해 어느 분야에서 기술 부족을 겪고 있는지를 분석, 조언하는 독립기구를 설치해야 한다는 까다로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CEDA가 꼬집었다고 전했다.

CEDA는 또한 정부가 해외 기술인력 관련 규정을 지속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업들의 노동 인력계획을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2017년 취업비자인 <457 비자> 폐지를 결정할 때에는 산업계와의 협의가 전혀 없었다는 비판적 입장을 내보였다. CEDA는 해외 유입 인력이 현지인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지역사회의 우려를 인정하면서도 “하지만 숙련기술을 가진 이들이 호주 기업은 물론 경제 전반 및 기존 인력에게도 혜택을 제공했다”고 언급했다.

CEDA의 멜린다 칠렌토(Melinda Cilento) 대표는 “숙련 기술을 가진 해외 유입 노동자의 연봉은 평균 9만5천 달러로 높은 편”이라며 “이는 기술을 가진 해외 인력이 현지 고용조건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이들이 받아들이는 낮은 임금으로 현지인들의 임금에 영향을 준다는 지적은 잘못된 것이라는 얘기다.

칠렌토 대표는 이어 “특히 해외에서 유입된 기술 인력은 호주 전체 산업계에서 아주 작은 그룹으로, 전체 일자리들 가운데 1%를 차지할 뿐”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신문은 CEDA의 이번 조사결과 중 일부는 “임시 기술비자 소지자들이 기업들로부터 쉽게 착취당할 수 있기에 영주비자를 통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해 왔던 호주 무역노조(Australian Council of Trade Unions)의 반론에 부딪힐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임시비자로 호주에 거주하는 이들은 약 200만 명에 달한다. 여기에는 유학생,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 백패커, 뉴질랜드인들이 포함된다.

 

종합(기술비자 2).jpg

이민 노동자들은 고달프다. 직장 안에서는 언어와 문화가 틀린 환경에서 박봉과 차별에 시달리는가 하면 바깥에서는 현지인들의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는 편견에 시달린다. 숙련기술을 가진 해외 기술자들에게는 차별과 편견을 없을까? 사진은 이민 노동자들이 흔히 일하게 되는 건설 노동 현장. 사진 pixabay

 

이번 CEDA 보고서에 따르면 임시 기술비자 소지자는 2016-17년 회계연도 순이민 증가의 71%를 차지했으며, 그해 인구 성장의 45%에 기여했다. 특정 기술을 가진 임시비자 소지자의 절반 이상이 호주 현지에서 일하는 가운데 추후 영주비자를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임시비자로 유입되는 이들이 특정 산업-지역 경제상황에 특히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광산업의 경우 원자재 수요가 많았던 지난 2010년에서 2013년 사이 약 6천 명으로 이전에 비해 두 배로 증가했다가 현재는 약 1천200명으로 줄었다. 아울러 CEDA는 이번 보고서에서 현재 호주 현지에서 연간 500명을 배출하고 있는 사이버 보안 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여 향후 7년 이내 연간 1천700명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런 한편 CEDA는 영국의 기술이민자문위원회처럼 기술인력 부족 상황에 대해 정부에 조언을 제공하는 독립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위원회가 기술이민 시스템에 대한 투명성 및 신뢰도를 높일 것이라는 이유에서이다.

CEDA는 또한 ▲불필요한 비자 수수료를 지불하는 사업장을 피하기 위해 고용주가 숙련 기술 인력을 위해 최대 1천800달러의 비자 지명 부담금을 비자승인 시점에 납부하도록 변경하고, ▲다국적 기업의 고용자들이 보다 쉽게 호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며, ▲생산성위원회(Productivity Commission)가 매 3년 또는 5년마다 비자 시스템을 검토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안했다.

지난해 3월, 기존 457 비자를 대신해 도입된 TSS(Temporary Skill Shortage) 비자(subclass 482)는 현재 영주비자로 가는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어 있다. 칠렌토 대표는 “연방 정부가 457 비자를 폐지했을 때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고 말했다. 이는 필요한 기술인력 확보를 실제로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그녀는 “이번 분석결과 임시 기술비자는 호주 노동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호주의 기술부족을 메우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들(임시 기술비자 소지자들)이 직장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했다면 그들에게 영주비자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칠렌토 대표는 첨단 기술분야의 엔지니어링 인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10여 년 동안 해외 기술인력을 활용했던 의료기기 제조업체 Cochlear사의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임기 기술비자에 대한 CEDA의 이 같은 조사결과와 제안에 대해 노동조합 일각에서는 ‘단기간에 걸친 지역사회 변화, 기업들이 제도를 악용하여 임금을 낮추고 해외 유입인력을 착취할 수 있다’는 최근의 상원의회 조사를 언급하면서 반대 입장을 내놓고 있지만, 그러나 시드니모닝헤럴드에 따르면 호주 최대 노동조합인 ACTU는 CEDA 전체 보고서를 확인하기까지 의견을 유보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술비자 1).jpg (File Size:47.5KB/Download:23)
  2. 종합(기술비자 2).jpg (File Size:90.2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01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대약진” 톱뉴스 17.12.03.
2300 호주 중국기업체 유착 의혹 샘 다스티야리 상원의원, 당직 사퇴 톱뉴스 17.12.03.
2299 호주 해외 출생 대졸자 풀타임 취업률 45%...호주 출생자에 뒤쳐져 톱뉴스 17.12.03.
2298 호주 PM 중산층 소득세 인하 방침 ‘거센 후폭풍’ 톱뉴스 17.12.03.
2297 호주 <12.16 베넬롱 전투> 턴불 총리, 이스트우드 “연쇄 출격”…$1억 규모 버스 환승 센터 공약 톱뉴스 17.12.03.
2296 뉴질랜드 뉴질랜드 비즈니스 신뢰도, 11월 급격하게 하락해 NZ코리아포.. 17.12.01.
2295 뉴질랜드 키위 아기들, 세계 권장 기준 못미친 모유 수유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7.12.01.
2294 호주 “백호주의 시대보다 영어요건 더 어렵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93 호주 호주, 북한 미사일 발사 ‘가장 강력하게’ 규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92 호주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법안 연방상원 표결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91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한국전 호주 참전용사 초청 오찬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90 호주 호주 최대 육가공업체 ‘토마스 푸드’, 이민자 착취 이익 극대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9 호주 “학생 4명 중 1명 중증정신질환 우려…저학년으로 점차 내려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8 호주 호주 한인 변호사, 교통 벌금 고지서 이름 위조 혐의로 ‘제명’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7 호주 멜번서 대규모 총격 테러 계획한 이십대 남성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6 호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 ‘시민모금운동’에 호주서도 열띤 동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5 호주 ‘2018년 호주의 날’에 노래하는 앤서니 칼리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4 호주 “소득 절반 렌트비로 지출…아이 교육 등 감안해 이사 못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3 호주 AEMO “올 여름 정전 걱정 ‘뚝’…추가 전력공급으로 충분” 장담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2 호주 코알라 “감소 위기” vs “너무 많았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1 호주 호주 부동산 소유자 절반은 가격 상승 희망…24%는 하락 원해 호주한국신문 17.11.30.
2280 뉴질랜드 뉴질랜드 정부, 외국인 투자 통제 내부 계획 발표해 NZ코리아포.. 17.11.30.
2279 뉴질랜드 클랜드 운전자들, 내년부터 리터당 11.5센트 추가 유류세 NZ코리아포.. 17.11.30.
2278 뉴질랜드 뉴질랜드, 지난 겨울 동안 소비 활동 줄어들어 NZ코리아포.. 17.11.30.
2277 뉴질랜드 보령머드에서 영감을 얻은 머드토피아 축제 로토루아에서.... NZ코리아포.. 17.11.30.
2276 뉴질랜드 정부, 높은 휘발유가에 대해 정유 회사들 압박 NZ코리아포.. 17.11.29.
2275 뉴질랜드 주택 임대료 급 상승, 국민 42%가 부담느껴 NZ코리아포.. 17.11.29.
2274 뉴질랜드 ‘남섬의 관문’ 상징하는 고가육교, 영상으로 공개한 NZTA NZ코리아포.. 17.11.29.
2273 뉴질랜드 “지름길로 택했던 기차터널이 결국…” NZ코리아포.. 17.11.29.
2272 뉴질랜드 시신 싣고 입항한 한국 원양어선, 밤 사이 선원 3명 사라져 NZ코리아포.. 17.11.28.
2271 뉴질랜드 뉴질랜드 젖소 수, 지난 4년 동안 가장 적어 NZ코리아포.. 17.11.28.
2270 뉴질랜드 운전자 목숨 구해준 행운의 소나무 NZ코리아포.. 17.11.27.
2269 뉴질랜드 “둥지 급감한 노란눈 펭귄, 멸종 우려 커져” NZ코리아포.. 17.11.27.
2268 뉴질랜드 아픈 환자들 미소 짓게 만든 치료견 NZ코리아포.. 17.11.27.
2267 뉴질랜드 한국 원양어선에서 사상자 발생, 남섬 최남단 블러프 항구에 입항해 NZ코리아포.. 17.11.27.
2266 호주 <속보> 젯스타와 버진, 오늘 발리 운항편 모두 취소 호주한국신문 17.11.27.
2265 뉴질랜드 주차빌딩 달려 올라간 이색적인 사이클 대회 열려 NZ코리아포.. 17.11.27.
2264 뉴질랜드 비상 통신장비로 빠르게 구조된 고산 등반가들 NZ코리아포.. 17.11.27.
2263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찰, 재미있는 채용 비디오 공개 NZ코리아포.. 17.11.27.
2262 뉴질랜드 해변에 처음 등장한 자외선 미터기 NZ코리아포.. 17.11.24.
2261 뉴질랜드 허재 감독이 이끄는 한국 농구 대표 팀 뉴질랜드팀 격파. NZ코리아포.. 17.11.24.
2260 호주 한 여름 시드니 도심서 크리스마스 즐기는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9 호주 “북한 사람들은 그저 재미있고 평범한 사람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8 호주 26일부터 시드니 열차운행 스케줄 대폭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7 호주 2001년 이후 전국적으로 16만4천 채 주택 과잉공급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6 호주 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전차 퀸슬랜드 박물관에 전시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5 호주 배저리스 크릭 신공항 인근 주택 3만채 건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4 호주 호주달러, 2019년 미화 1달러 당 65센트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3 호주 소득지원 받아온 십대 부모 4년새 13% 감소 호주한국신문 17.11.23.
2252 호주 주말마다 호주성인 270만 명 자외선에 피부 노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