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현에서 포탄 중국 전쟁터 수송

1939년 수포제 포탄 재채기유발제 포탄 실전 사용

 

 

Newsroh=임지환기자 nychrisnj@yahoo.com

 

 

중일 전쟁 중 일본의 화학무기 사용을 기록한 문서가 일본 역사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고 중국 신화통신과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미주한인네트워크 JNC TV가 외신 브리핑에서 7일자 교도통신과 9일자 신화통신의 보도를 소개했다.

 

교도 통신은 "이 문서는 일본제국군 스스로가 독가스 사용에 대해 자세히 기술한 최초의 문서"라고 밝히면서, "일본제국군이 패전 이후로 모든 전쟁기록을 조직적으로 破棄(파기)했으나, 이번 문건은 군부대의 군인이 개인적으로 보관해 오다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는 일본 역사학자 세이야 마츠노 씨의 말을 전했다.

 

전쟁에서의 포격 기록, 독가스 탄약을 사용하도록 한 명령문을 기술한 약 100페이지 분량의 이 보고서는, 중일 전쟁이 발발한 지 2년 후인 1939년 7월 산시(Shanxi)의 산악 지역에서 발생한 전투 전략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공식문서는 중국 북쪽에 배치됐던 최전방 독가스탄 부대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이 부대는 상부로부터 명령을 받은 후에 수포제를 포함하는 황색 포탄과 재채기 유발제를 포함한 적색 포탄의 활용 계획을 수립했고, 1939년에 이 무기를 전쟁에 사용했다고 기록되었다.

 

수포제는 피부와 점막을 손상시키고, 재채기 유발제는 호흡기관계에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7월 6일 일본군은 적색 포탄 31발을 중국군을 향해 발포했고, 7월 17일에는 적색 포탄 60발과 황색 포탄 28발을, 다음날에는 140발의 적색 포탄과 20발의 황색 포탄을 발사했다.

 

마츠노 씨는 “중일 전쟁 중 전장에서 발생한 일을 드러내는 것은 氷山(빙산)의 一角(일각)에 불과하며, 우리는 그것으로부터 배우고 불행한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문서에는 일본군이 중국군 병력을 분석한 후에, 산악지대의 안전한 기지에서 적을 와해시키기 위해 적색 포탄 사용을 고려했으며, 수포제가 포함된 황색 포탄을 “매우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

 

마츠노 씨는 “육군은 화학무기 사용이 국제법을 위반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으며, 이 지방의 산 깊은 곳에서 수포제를 최초로 사용한 것은 隱蔽(은폐)하기가 더 쉽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1907년에 일본이 비준한 헤이그 조약은 제2차 중일전쟁 이전에 이미 지상전에서 화학무기 사용을 금지하였다.

 

신화 통신은 9일 자 기사에서 도쿄 신문을 인용 보도했다.

 

일본제국군이 포탄을 색깔로 명명한 이유는 엄격한 비밀 유지를 위해서라고 한다. 피부를 부식시키는 가스가 포함된 “황색 포탄”, “재채기 탄”이라고 불리는 적색 포탄, 독성이 매우 강한 사이안화 수소가 장전된 “황갈색 포탄”, 최루탄은 “녹색 포탄”으로 불렸다.

 

당시 일본은 히로시마와 오쿠노시마에서 독가스 생산을 위한 기지를 설치했으며, 독가스는 후쿠오카현으로 수송되었고, 그곳에서 탄에 독가스를 채운 후에 중국 전쟁터에 수송되었다고 도쿄 신문은 전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마츠노 씨는 최근에 발견한 세부사항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해 이를 일본 월간지 세카이에 발표할 예정이다.

 

JNC TV는 일본의 화학무기 사용을 기록한 최초의 문서가 발견에 전 세계 국민들이 경악하고 있다. 일본 정부 및 유엔인권위원회는 중일 전쟁 중 사용된 화학 무기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를 하고, 더불어 일본 정부는 피해자들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北, 제재해제보다 체제보장 더 중요” 日요미우리 (2019.7.13.)

타스통신 북중정상회담 인용보도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9008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96 홍콩 홍콩서 '제72회 광복절 기념식' 거행...홍콩 영사관, 한인회 공동 개최 홍콩타임스 17.08.17.
1395 홍콩 홍콩 경찰, '경찰 오도 혐의' 하워드 람 체포 홍콩타임스 17.08.17.
1394 홍콩 [공동성명서 발표]홍콩한국국제학교 한국어과정 학부모, 학교 관련 악의적 왜곡∙허위∙비방 보도 강력 대응 방침 밝혀 홍콩타임스 17.08.17.
1393 홍콩 법인세 아시아 최저 홍콩, 세율 대폭 인하 계획 발표 홍콩타임스 17.08.19.
1392 홍콩 홍콩 고등법원, 우산 혁명 주역 3인에 실형 선고 홍콩타임스 17.08.19.
1391 홍콩 13호 태풍 하토, 홍콩-마카오 강타 홍콩타임스 17.08.24.
1390 홍콩 주홍콩총영사관, '글로벌 금융기관 취업설명회' 개최 예정 홍콩타임스 17.08.26.
1389 홍콩 [긴급 담화문 발표]김광동 주홍콩총영사, '홍콩 한인동포, 학생 및 학부모님들께 올리는 글' 홍콩타임스 17.08.26.
1388 홍콩 [국제]모스크바 유학 1세대 자녀 ‘바우만공대’ 4년 전액 장학생 합격 홍콩타임스 17.08.26.
1387 홍콩 홍콩 정부, 공영주택 재개발 계획 발표 홍콩타임스 17.08.29.
1386 홍콩 홍콩 대법원 최종선고, 바지오 렁-야우와이칭 입법위원 자격 박탈 홍콩타임스 17.08.29.
1385 홍콩 중국 인민군, 마카오 복구 작업 투입... 마카오 시민 '환영', 홍콩 시민 '우려' 홍콩타임스 17.08.29.
1384 홍콩 중국 전인대, '국가법 제정' 움직임에 홍콩 반발 홍콩타임스 17.08.31.
1383 홍콩 홍콩 주요 버스, 내년부터 12% 요금 인상 계획 홍콩타임스 17.09.04.
1382 홍콩 중국 공안 사칭 사기 전화 기승... '어느 투자분석가'의 한 달 홍콩타임스 17.09.04.
1381 홍콩 [이임인사] 김광동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 이임인사 홍콩타임스 17.09.07.
1380 홍콩 주홍콩총영사관, 한국 10월 문화제 기자발표회 개최 홍콩타임스 17.09.07.
1379 홍콩 홍콩 내 대학 불협화음, 민주파 對 친중파 대자보 싸움으로 물들다 홍콩타임스 17.09.15.
1378 홍콩 홍콩인의 캐나다 이민, 지난 20년간 최고치...홍콩인이 떠난 자리에는 본토인이 홍콩타임스 17.09.15.
1377 홍콩 홍콩 폐기물 처리 회사, 3일 만에 파업 중단 홍콩타임스 17.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