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통계청 자료, 지난 5년간 50% 이상 증가

총기, 강도, 성폭력 증가, 경찰 예산 삭감 앞두고 논란

 

news_img1_1564425977.png

(사진: 캘거리 헤럴드) 

 

지난 월요일 캐나다 통계청이 밝힌 범죄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 간 캘거리의 중대 폭력 범죄, 강도, 총기, 성폭력 등이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캘거리 시의회가 6천만 달러의 예산을 절감하기 위해 주요 서비스인 캘거리 경찰의 예산을 대폭 삭감하기로 한 계획을 두고 논란이 일 전망이다. 
캘거리에서 지난 해 발생한 중대 폭력 범죄 건수는 총 12,499건으로 2017년 대비 12.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시 전체 범죄 건수는 83,277건으로 2017년 보다 10.5% 증가, 지난 2014년 이후 57.4% 늘어 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캐나다 범죄 심각성 지수에서도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캐나다 전체 평균이 75인 것에 비해 캘거리의 중대 폭력 범죄 지수는 88.1로 나타났다. 
지난 화요일 캘거리 시의회가 시의 서비스 중 48개 서비스를 대상으로 예산 삭감을 승인하면서 캘거리 경찰 예산 또한 대규모 삭감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캘거리 시가 경찰에 통보한 예산 삭감 규모는 약 7백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경찰 서비스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해 레벨 1의 성폭력 범죄 건수는 941건으로 2017년 대비 20%가 증가했으며 이 보다 심각한 수준의 성범죄 레벨 2, 총기, 신체 손상 등을 포함한 성폭력은 지난 해 40건이 발생했으며 2017년 대비 27%가 늘어 난 수치이다. 
지난 2년 간 급증한 중대 범죄 중의 하나는 바로 총기 사건으로 2018년 총 67건, 2017년 대비 45건으로 67% 증가했으며 그 이전 해들 보다 무려 78%나 늘어 난 것으로 집계되었다. 
강도 사건은 2018년 1,281건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 레벨 1, 레벨 2 폭력 사건은 각각 5,931건, 12% 증가, 2,581건, 13%이나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살인사건은 지난 해 18건으로 2017년 29건에 비해 대폭 줄어 든 것으로 나타났다. 
캘거리 경찰 라이언 알리프 감독관은 “최근 수 년간 캘거리의 중대 범죄가 증가한 것은 거리의 불법 약물 유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경기 침체에 따른 가정폭력 증가 등의 다른 요인들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브라이언 티센 캘거리 경찰 위원회 의장은 “시의회가 예산 삭감을 결정하기 전에 통계청 자료에 따른 중대 범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경찰 서비스에는 영향이 가지 않는 범위에서 예산 삭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캘거리의 중대 폭력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다른 일반 범죄들은 전년과 큰 변동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 재산상의 손괴 범죄는 전년 대비 3% 증가한 57,715건, 차량 절도는 총 7,267건으로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침입 범죄는 2017년 대비 7% 증가한 9,851건으로 나타났다. 
반면, 쇼핑몰 등에서의 절도 사건은 2017년 대비 무려 28%나 증가한 6,012건으로 나타나 최근의 경기 침체 여파를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덕수 기자)

  • |
  1. 5.png (File Size:429.1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37 캐나다 여객기로 밴쿠버 온 코로나 환자 주변 승객 역학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20.02.26.
5036 캐나다 앨버타, 의과 대학에서부터 의사 조력 자살 준비...환자와의 어떻게 대화하는지가 시작 포인트 CN드림 20.02.25.
5035 캐나다 케니 주 수상 “원주민 시위 앨버타 경제 위협한다”...캐나다 원유 할인율 높아질 수도 있어 CN드림 20.02.25.
5034 캐나다 웨스트젯, 유럽노선 수하물 요금 인상...첫 번째 수하물 60불, 두 번째 수하물 90불로 올라 CN드림 20.02.25.
5033 캐나다 핀처크릭의 호텔, 화재로 사라져...100년 전통의 역사적인 건물 CN드림 20.02.25.
5032 캐나다 에드먼튼 풋볼팀 에스키모스, 팀 이름 그대로...1년에 걸친 원주민과의 논의 결과 유지 결정 CN드림 20.02.25.
5031 캐나다 앨버타 독감 시즌, 아직 안 끝났다...독감 환자 지속적인 증가 보여 CN드림 20.02.25.
5030 캐나다 에드먼튼, 도로 제한 속도 시민 의견 듣는다...도시 모든 주거 지역 40km/h 변경도 제안 CN드림 20.02.25.
5029 캐나다 작년 캐나다 시민권 취득 한국 국적자 3350명 탄생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8 캐나다 BC주 코로나19 감염자 1명 추가...6명 감염자 나와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7 캐나다 가사분담은 잘 이루어지고 있나요?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6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이후 무엇이 바뀌었나?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5 미국 NASA, 화성에서 발견한 구덩이에 학계 관신 집중! “설마 용암 동굴?” 호주브레이크.. 20.02.24.
5024 미국 “당신이 미국의 기생충”… 美언론 ‘기생충’ 연일 비판 트럼프 성토 호주브레이크.. 20.02.23.
5023 캐나다 한국산 삼계탕 간편식, 캐나다 첫 수출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2 캐나다 2017/18 학년도 캐나다 유학생 중 한인 2%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1 캐나다 주토론토총영사관 임시직 행정직원 채용 중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0 캐나다 65% BC주 부모, 비싼 집값 자녀세대 외곽 이사 가야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9 캐나다 플레어 에어 애보츠포드 포기한다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8 캐나다 봄바디어, 상용기 이어 열차 제작도 매각 밴쿠버중앙일.. 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