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업체 ‘임대료·인력난·직원이직’ 직면

 

6.png

▲ 쇼핑객이 침사추이 (Tsim Sha Tsui)의 옷가게에서 옷을 구경하고 있다. (사진=scmp)

 

최근 조사에 따르면, 홍콩의 악명 높은 비싼 임대료가 현지 소매업자들에게 가장 큰 장벽이며 인력 부족으로 인한 제한적인 고객 서비스가 그 뒤를 이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과 홍콩 소매관리 협회가 홍콩 전역 소매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79%가 천문학적인 임대료가 사업 성공의 가장 큰 장벽이라고 말했다. 높은 임대료 다음으로 응답자 53%가 인력 부족, 응답자 48%가 직원 이직이 사업 경영하면서 가장 어렵다고 답변했다. 이 공동 설문조사는 2019년 1분기 기준 시내 곳곳의 281개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홍콩 소매관리 협회는 “그동안 비싼 임대료가 항상 큰 장벽으로 손꼽혔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쇼핑몰 입점 임대료가 더욱 높아졌다”고 말했다.

 

협회는 소매 산업은 공휴일에도 근무를 해야 하는 등 불규칙한 근무시간 등으로 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직원의 근로시간 제약을 받거나 한명의 근로자가 멀티태스킹을 할 수 밖에 없게 되며, 이는 고객 서비스 품질에 바로 악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대부분 응답자들은 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향후 2년 간 고객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협회 또한 매출 성장 둔화, 판매 부진, 직원 사기 및 생산성 저하 등 다른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가장 채용하기 어려운 직무로 응답자 72%가 고객서비스 직원 및 판매원 채용이라고 답변했으며 64%가 IT 기술 인력이라고 답변했다. 협회는 빅데이터 등 전문 IT 인력 부족 문제는 홍콩 소매산업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향후 2년 동안 직원 교육 확대, 새로운 기술 도입 등을 고려한다고 답변했다. 협회는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기존의 지루한 업무에서 벗어나 새롭고 흥미로운 업무를 배정하면서 직원들이 더욱 활력있게 근무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직원의 이직율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소매 산업은 미중 무역전쟁과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로 인한 불확실성에 직면해있다. 홍콩 소매 산업 판매가 지난 5월 4개월 연속 하락해 400억 홍콩 달러로 감소했다. 2019년 1월부터 5월까지 홍콩 총 소매 판매 규모는 작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최근 윈롱(Yuen Long)역에서 흰색 옷을 입은 수십 명의 무리가 승객과 검은 옷을 입은 시위 반대자들을 공격하면서 최소 45명 이상의 부상자를 초래한 사건이 벌어진 후 다음날 22일(월) 오후 수많은 윈롱의 가게들이 문이 닫혔다. 협회는 “불안정한 정세에 윈롱의 가게들이 강제적으로 장사를 하지 못하면서 이 지역의 소매업자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다.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된다면 홍콩 소매 판매 규모가 올해 두 자릿수로 감소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915.3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36 홍콩 깨끗해진 바다와 공기…Covid-19의 역설 file 위클리홍콩 20.12.01.
535 홍콩 홍콩, ‘외국인이 살기 좋은 도시’ 하위 10위권 file 위클리홍콩 20.12.01.
534 홍콩 안전 점검 미이행 노후 건물, 후속 조치 제때 안 돼 file 위클리홍콩 20.12.01.
53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2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12.08.
532 홍콩 ‘리브홈세이프’ 앱, 개인정보 침해 걱정 해소 file 위클리홍콩 20.12.08.
531 홍콩 Covid-19 백신 접종 시작한 세계 각국, 홍콩은 ‘내년 중 백신 공급’ file 위클리홍콩 20.12.08.
530 홍콩 MPF 회원당 HKD22만5천 저축.... 은퇴생활 턱없이 모자라 file 위클리홍콩 20.12.08.
529 홍콩 홍콩 기업 72%, 2년 후에 Covid-19 이전 수준으로 회복 file 위클리홍콩 20.12.08.
528 홍콩 부유층 투자자, 지속가능투자(ESG)에 관심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0.12.08.
527 홍콩 홍콩 돼지고기 가격, 점차 안정화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0.12.08.
52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2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12.15.
525 홍콩 홍콩 정부 자문 의료진 ‘대체로 선정된 백신 찬성해’ file 위클리홍콩 20.12.15.
524 홍콩 내년에도 부동산 회복 쉽지 않다 file 위클리홍콩 20.12.15.
523 홍콩 코비드19 4차 확산세에 홍콩 출국자 수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12.15.
522 홍콩 위기의 사립 고등교육기관, 신입생 모집정원 미달 file 위클리홍콩 20.12.15.
521 홍콩 설문 결과 ‘중국 선전, 홍콩 대체 가능성 낮아’ file 위클리홍콩 20.12.15.
520 홍콩 2020년 구글 검색어 순위...‘Covid-19’, ‘미국 대선’ file 위클리홍콩 20.12.15.
51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12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12.22.
518 홍콩 주거 취약계층, 전년 대비 2.4%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0.12.22.
517 홍콩 시중 판매 마스크, 대부분 여과 효율 우수 file 위클리홍콩 20.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