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6만 8천명… 마약성 진통제 오이포이드 과용 여전
 

opium.jpg
▲ 양귀비에서 추출한 천연 마약 성분 샘플. <위키피디아 퍼블릭 도메인 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국 안에서 약물을 과용해 사망한 사람 수가 줄었다는 보고가 나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17일 최신 통계를 공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약물 과용에 의한 사망자 수가 전해와 비교해서 5.1% 정도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약물 과용 사망자는 지난해 대략 6만8천 명 정도였다. 전해인 2017년에는 약 7만 명에 이르렀다.

지역별로 결과가 엇갈렸는데, 오하이오주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20%가 줄었고, 반대로 미주리주에서는 17%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미국에서는 약물을 남용해서 사망한 사람들의 수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지난 1990년 이래 2017년까지 매년 증가했다. 그런데 거의 30년 만인 2018년에 드디어 사망자 수가 줄은 것. 이와 관련해 알렉스 아자르 연방 보건후생부 장관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사람들의 목숨을 구하고 있고 미국이 약물 위기와의 싸움에서 이기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줄었다고는 하지만, 사망자 6만8천 명도 사실 적은 수라고 할 수 없다. 이는 한 세대 전과 비교해보면 7배나 많은 사망률이다. 특히 지난 2014년과 2017년 사이엔 매년 사망자 수가 평균 5천 명 이상씩 늘기도 했다.

CDC측은 2018년에 약물 과용 사망자 수가 줄어든 원인을 헤로인과 처방 진통제 과용으로 인한 사망자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하지만, 코카인이나 메스암페타민 같은 마약, 그리고 펜타닐 같은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과용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늘면서 감소세를 상쇄했다.

지난해에 약물 과용으로 사망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쓴 약물은 펜타닐이나 펜타닐과 비슷한 오피오이드였는데,. 대략 비율이 46%에 달했다. 2015년에는 헤로인이 가장 많았고, 2016년부터는 펜타닐 같은 오피오이드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기 시작했다.

말기 암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 같은 극심한 통증을 완화하는 쓰이는 펜타닐은 진통제 가운데 하나인 모르핀보다 50배에서 100배나 강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오피오이드에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약 성분이 있어서 남용하면 중독되고, 중독이 심해지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오피오이드는 반드시 의사 지시에 따라 써야 한다. 최근 오피오이드를 의사들이 과다하게 처방하거나 외부에서 불법으로 반입해 과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망자 수가 크게 늘었다.

미국 정부는 약물, 특히 오피오이드 과용 문제가 심각해지자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다양하게 노력하고 있다. 연방 정부와 지역 정부는 오피오이드 과다 처방을 제한하거나 중독자 치료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중독 치료약을 광범위하게 보급하는 등 조처를 시행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37 캐나다 여객기로 밴쿠버 온 코로나 환자 주변 승객 역학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20.02.26.
5036 캐나다 앨버타, 의과 대학에서부터 의사 조력 자살 준비...환자와의 어떻게 대화하는지가 시작 포인트 CN드림 20.02.25.
5035 캐나다 케니 주 수상 “원주민 시위 앨버타 경제 위협한다”...캐나다 원유 할인율 높아질 수도 있어 CN드림 20.02.25.
5034 캐나다 웨스트젯, 유럽노선 수하물 요금 인상...첫 번째 수하물 60불, 두 번째 수하물 90불로 올라 CN드림 20.02.25.
5033 캐나다 핀처크릭의 호텔, 화재로 사라져...100년 전통의 역사적인 건물 CN드림 20.02.25.
5032 캐나다 에드먼튼 풋볼팀 에스키모스, 팀 이름 그대로...1년에 걸친 원주민과의 논의 결과 유지 결정 CN드림 20.02.25.
5031 캐나다 앨버타 독감 시즌, 아직 안 끝났다...독감 환자 지속적인 증가 보여 CN드림 20.02.25.
5030 캐나다 에드먼튼, 도로 제한 속도 시민 의견 듣는다...도시 모든 주거 지역 40km/h 변경도 제안 CN드림 20.02.25.
5029 캐나다 작년 캐나다 시민권 취득 한국 국적자 3350명 탄생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8 캐나다 BC주 코로나19 감염자 1명 추가...6명 감염자 나와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7 캐나다 가사분담은 잘 이루어지고 있나요?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6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이후 무엇이 바뀌었나? 밴쿠버중앙일.. 20.02.25.
5025 미국 NASA, 화성에서 발견한 구덩이에 학계 관신 집중! “설마 용암 동굴?” 호주브레이크.. 20.02.24.
5024 미국 “당신이 미국의 기생충”… 美언론 ‘기생충’ 연일 비판 트럼프 성토 호주브레이크.. 20.02.23.
5023 캐나다 한국산 삼계탕 간편식, 캐나다 첫 수출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2 캐나다 2017/18 학년도 캐나다 유학생 중 한인 2%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1 캐나다 주토론토총영사관 임시직 행정직원 채용 중 밴쿠버중앙일.. 20.02.21.
5020 캐나다 65% BC주 부모, 비싼 집값 자녀세대 외곽 이사 가야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9 캐나다 플레어 에어 애보츠포드 포기한다 밴쿠버중앙일.. 20.02.19.
5018 캐나다 봄바디어, 상용기 이어 열차 제작도 매각 밴쿠버중앙일.. 20.02.19.